• 제목/요약/키워드: 분자분획

검색결과 445건 처리시간 0.029초

식염을 첨가한 계육의 부위별 최종가열온도 측정을 위한 근장단백질의 이용

  • 김수희;진구복
    • 한국축산식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축산식품학회 2004년도 제34차 추계 국제 학술대회
    • /
    • pp.213-217
    • /
    • 2004
  • 본 연구는 계육의 가슴과 다리부위에서 2%의 식염을 첨가하여 $64^{\circ}C$부터 $74^{\circ}C$까지 $2^{\circ}C$ 간격으로 가열하여 pH와 일반성분, 가열감량, 단백질 용해성 그리고 단백질 분획의 변화를 비교 분석하였다. pH는 2%의 식염을 첨가한 것과 온도별로는 차이가 없었지만 다리부위가 가슴 부위보다 높았다. 일반성분 중 수분과 지방 함량은 식염을 첨가한 것과 차이는 없었지만 수분과 지방 모두 다리부위가 높게 나타났다. 단백질 용해성은 가슴부위가 높게 나타났으며 온도가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지만 식염의 첨가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색도에 있어서는 L 값은 가슴부위에서 a 값은 다리부위에서 높게 나타났다. 각 부위에서 가열온도와 식염처리에 영향을 받은 단백질 분획은 다리부위에서 75 kDa와 가슴 부위에서 58 kDa 와 44 kDa이 가열온도 $66{\sim}68^{\circ}C$에서 사라졌다. 또한 원료육에서 다리부위에서 약92,80,60.5 kDa의 분자량을 갖는 단백질이, 가슴부위에서는 90,68,48 kDa의 분자량을 갖는 단백질이 원료육에서만 나타났다. 이러한 근장 단백질 분획은 최종가열 온도 측정을 위한 지시제로서 좋은 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Isolation and Structure Elucidation of Adenosine Deaminase Inhibitor from Soil Microorganism

  • 김경자;김정환;임병규;조성은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1994년도 춘계학술대회 and 제3회 신약개발 연구발표회
    • /
    • pp.268-268
    • /
    • 1994
  • 포자의 전자현미경사진과 mycelium의 광학현미경사진을 찍어 strain V-8 균주의 형태학적인 특성을 조사하였을 때 방선균 계열인 streptomyces로 확인되었다. 이 균주의 배양액은 노란색을 띠고 있고 이 노란색은 430 nm에서 특징적인 흡광을 보였다. 이 물질은 유기 용매로 추출되었다. 이 물질의 자외선 흡광스펙트럼의 특징을 기존에 보고된 화합물과 비교하여 이 물질이 actinomycin계열에 속함을 발견하였다. 이 물질의 FAB mass spectrum에서 각 분획들의 주성분들의 분자의 질량 + H 이온이 1290과 1292에서 각각 관찰되었다. 이 화합물들은 분자량이 1258인 actinomycin D와는 상이한 구조를 소유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각 분획 성분들의 proton 및 carbon HIR spectra를 얻어 기존에 알려진 화합물의 자료와 비교하였을 때 actinomycin계열에 속하는 신물질로 생각되었다. 지금까지 actinomycin 계열의 항생물질이 adenosine deaminase의 효소 활성을 저해한다는 사실은 보고된바 없다. 본 연구자는 분리한 2개의 화합물에 대하여 구조 연구를 계속하고 있다.

  • PDF

UF 및 MF 중공사막의 오염 및 세정특성

  • 이주형;이용택;김정학
    • 한국막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막학회 1998년도 추계 총회 및 학술발표회
    • /
    • pp.166-168
    • /
    • 1998
  • 막분리공정에서 분리막 오염은 투과율 감소에 큰 영향을 받는데 그 이유는 주로 막재질의 변질 및 막 표면에서의 농도 분극 현상에 기인하고 분리막의 종류 및 분획분자량의 차이에 따라 막분리 능력이 달라질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상용화되어 있는 UF/MF 중공사막에 미치는 막오염 정도와 세정 특성을 알아보았다. 막오염 정도는 막의 Pore size, 소재, 막구조에 따라서 단백질 수용액을 처리하여 막의 오염이 어떻게 일어나는지를 알아보았고 막오염 정도를 검토하기 위하여 초기순수에 대한 흡착후 투과량을 DOF(Degree of fouling)로 정의하였다. 막의 세정특성은 0.1N-NaOH을 사용하여 화학적 세정효과를 확인하였고 초기 순수에 대한 세정후 회복정도를 DOC(Degree of Cleaning)로 정의하였다. 또한 UF막에서 분획분자량별 특성과 MF막에서 소재별/구조적 특성이 DOF와 DOC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 PDF

전분의 분자량 분포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of Starch)

  • 김경이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496-502
    • /
    • 2004
  • 도토리 가루를 알칼리로 침전시키면서 정제하여 도토리 전분을 얻었다. 다시 이 starch를 부탄올 개량법으로 분획하여 도토리 amylose와 amylopectin을 얻었고 Corn starch와 corn amylose, corn amylopectin은 시판되는 시약을 사용하였다. 이 시료들의 분자량 분포도를 관찰하기 위하여 GCP측정을 하였다. GCP측정은 DMSO와 DMF의 용매사용과 표준물질로 pullulan을 사용하여 검정하고 각 시료들의 지연시간으로부터 행하여졌다. 분자량분포도로부터 수평균분자량 (Mn)과 중량평균분자량(Mw) 및 다 분산도를 얻었다. 그 결과 acorn amylose와 corn amylose의 중량평균 분자량이 amylopectin에 비해서 뚜렷이 작게 나타나 ${\alpha}-1,4$ 선형결합을 갖는 amylose와 ${\alpha}-1,4$ 선형결합에 ${\alpha}-1,6$ 결합가지가 있는 amylopectin의 구조상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분획한 acorn과 시판되는 corn과의 분자량분포도 측정을 비교한 결과 같은 경향을 나타내어 도토리 전분의 분획이 잘 이루어졌음을 확인하였다. 다분산도는 acorn starch와 corn starch 모두 amylose와 amylopectin에 비해 크게 나타났으며 이는 전분이 분획되기전 두 성분의 불균일성에 의한 성질로 분자량분포 범위가 넓게 나타났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전단속도와 온도에 따르는 점도를 관찰하였더니 전단속도가 증가하면 점도는 감소하는 현상을 나타내는 pseudo plastic power law fluid 거동(13)을 보였으며 온도가 증가하면 점도는 지수 함수적으로 감소하였다.

미성숙 복분자 과실의 항산화 효능 및 타이로시네이즈 저해 활성 평가 (Antioxidative Effect and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of the Unripened Fruit Extract of Rubus coreanus Miquel)

  • 한샛별;권순식;공봉주;김경진;박수남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295-302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미성숙 복분자 추출물의 항산화 효능과 타이로시네이즈 저해 활성을 평가하고 이들의 기능성 화장품 원료로서의 응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모든 실험은 미성숙 복분자의 50% 에탄올 추출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 아글리콘 분획을 이용하여 진행하였다. DPPH (1,1-diphenyl-2-picrylhydrazyl)법을 이용한 자유 라디칼 소거 활성($FSC_{50}$)은 에탄올 추출물(6.56 ${\mu}g/mL$)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6.14 ${\mu}g/mL$)이 대표적인 지용성 항산화제인 (+)-${\alpha}$-tocopherol (8.98 ${\mu}g/mL$)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Fe^{3+}-EDTA/H_2O_2$ 계에서 생성된 활성산소종에 대한 소거 활성($OSC_{50}$)은 에탄올 추출물(0.83 ${\mu}g/mL$), 에틸아세테이트 분획 (0.84 ${\mu}g/mL$), 아글리콘 분획(1.13 ${\mu}g/mL$) 세 분획 모두 대표적인 수용성 항산화제인 L-ascorbic acid (1.5 ${\mu}g/mL$)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Rose bengal로 광증감된 $^1O_2$에 의한 적혈구 파괴에 대하여, 세 분획 모두 농도 의존적(1 ~ 50 ${\mu}g/mL$)인 세포보호 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50 ${\mu}g/mL$ 농도를 기준으로 비교하였을 때, 50% 에탄올 추출물의 ${\tau}_{50}$은 296.3 min으로 가장 높은 세포보호 활성을 나타내었다. 타이로시네이즈 저해 활성에서 에틸아세테이트 분획과 아글리콘 분획은 알부틴보다 높은 저해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들로부터 미성숙 복분자 추출물은 라디칼을 포함한 활성산소종을 소거하는 항산화제로서, 알부틴을 대체하는 미백 기능성 원료로서 응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망초(Conyza canadensis) Ethyl Acetate 추출물의 항산화성 물질의 분리와 동정 (Isolation and Structural Identification of Antioxidant Substances from Ethyl Acetate Extract of Conyza canadensis)

  • 송현숙
    • 한국자연치유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7-15
    • /
    • 2023
  • 배경: 야생 망초(줄기와 잎)의 성분을 분석한 결과에서 생리활성 성분의 함유가 확인되어 화합물의 규명이 필요하다. 목적: 망초에는 항산화성 물질이 함유되었다는 선행연구 결과가 있어서 화합물의 분자적 구조를 연구하는 것이 목적이었다. 방법: 망초(줄기와 잎) 초음파 분쇄물을 1차로 90% 메탄올로, 다음에 유기 용매로 추출하였다. 다음에 HPLC, LC/MS 크로마토그래피 등으로 분획하였고, 분핵물을 NMR 분광기로 정밀 분석하여 분자의 구조를 동정하였다. 결과: 망초 100 g을 초음파기로 파쇄하여 90% methanol로 추출하고, 감압 농축하여 조 추출물 11.96 g을 얻었다. 조추출물을 유기용매로 재추출하여 n-hexane으로 123.8 mg, dichloromethane으로 448.2 mg, ethyl acetate(EA)로는 1047.7 mg, butanol로는 2563.8 mg, water로는 7.04 g을 얻었다. EA 추출물을 LC-MS 크로마토그래피로 분획하고, 정밀 분획하여 F1~F20의 20개를 얻었다. F15 분획을 다시 분획하여 9개를 얻었다. F17 분획을 재분획하여 10개의 분획을 얻었다. F15-7 분획물을 LC-MS 분석과 NMR 분광기로 분석한 결과는 이 화합물의 구조가 3,5-di-caffeoylquinic acid로 확인되었다. F17-4와 F17-5의 구조를 조사한 결과는 Quercetin-3-o-β-galactose로 동정 되었다. F17-10의 구조를 확인한 결과는 1,3,4-tri-caffeoylquinic acid로 확인되었다. 결론: 본 연구에서 망초 성분에도 항산화성 물질이 있었으며, 이의 활용성을 기대하며, 식물에는 항산화성 물질인 phenol 성분을 다양하게 함유하였다.

면양(緬羊) Squamous Cell Carcinoma의 세포추출액(細胞抽出液)중에 함유된 종양특이(腫瘍特異) 및 면역기능저하물질(免疫機能低下物質) (Tumour Specific and Immunosuppressive Components in Soluble Cell Extracts from Ovine Squamous Cell Carcinoma)

  • 전무형
    • 농업과학연구
    • /
    • 제13권2호
    • /
    • pp.299-310
    • /
    • 1986
  • 3M KCl을 이용하여 면양 squamous cell carcinoma 및 정상면양 조직(組織)에서 획득(獲得)한 추출액(抽出液)의 성상을 sephadex column chromatography, lymphocyte blastogenicity assay, acid dissociation method 및 gradient 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등을 이용하여 연구하였다. Sephadex column chromatography에서 얻은 5개의 종양분획(腫瘍分劃)중 분획(分劃)III은 가장 종양특이(腫瘍特異)한 항원(抗原)을 보유하고, 분획(分劃)V lymphocyte reactivity를 저하(低下)시키는 성분을 함유하고 있었다. 각 분획(分劃)을 분자량(分子量) > 100,000, 10,000~100,000 및 < 10,000의 3군(群)으로 분리한 바 종양특이항원(腫瘍特異抗原) 및 면역저지물질(免疫沮止物質)은 10,000~100,000분획(分劃)에서 나타났다. 분획(分劃)I tumour specific antigen - antibody complex를 내포하고 있음이 밝혀졌다. Gradient gel electrophoresis를 이용하여 분획(分劃)을 더욱 세분했을 때 분획(分劃)III은 Slice No 4~6에서 종양특이물질(腫瘍特異物質)이 인정되었고, 분획(分劃)V Slice No 9~11에서 면역기능저하물질(免疫機能低下物質)이 있음이 밝혀졌다.

  • PDF

한외여과를 통한 난백 중 라이소자임의 분리정제 (Separation and Purification of Lysozyme from Chicken Eggwhite Through Ultrafiltration)

  • 구자경;손동호;전회진;이윤희;조남준;장동일
    • 멤브레인
    • /
    • 제15권2호
    • /
    • pp.121-131
    • /
    • 2005
  • 한외여과를 통하여 난백으로부터 라이소자임을 분리, 정제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교반식 한외여과장치에 분획 분자량(MWCO)이 각각 10 kDa, 30 kDa 및 100 kDa의 셀룰로즈 재질 분리막을 사용하여 알부민과 라이소자임의 투과실험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단백질 용액은 20 mM, pH 6, 7, 8의 인산염 완충용액에 난단백 함량을 $1\%,\;2\%,\;3\%$$10\%$ 첨가하여 제조하였으며, 막간압력차(TMP)는 $0.5\~3$ bar의 구간에서 실험을 하였다. 분리막의 분획분자량이 증가하면서 투과유속은 증가하였으며, 분리막에서의 막간압력차가 증가하면서 그리고 공급원액의 난백농도가 감소하면서 투과유속은 증가하였다. 또한, 분리막의 분획분자량이 감소하면서 알부민의 라이소자임에 대한 선택도는 증가하였으며, 모든 분리막에서 pH 와 공급원액의 난백농도 그리고 막간압력차가 증가하면서 라이소자임의 알부민에 대한 선택도는 증가하였다.

호도기름의 Triglyceride 분자종에 관한 연구 (Molecular Species of Triglycerides in Walnut Oil)

  • 천석조;박영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34-139
    • /
    • 1987
  • 호도유의 트리글리세르드는 HPLC에 의하여 PN별로 분획하고 분취하였다. 각 트리글리세리드는 GLC에 의하여 아실탄소수별로 분획하고 PN별 트리글리세리드의 지방산조성도 분석하였다. 또한 HPLC에 의하여 분획한 각 PN별획분에서 글리세롤의 ${\beta}$위치에 결합하고 있는 지방산은 췌장리파제에의한 효소적 가수분해에 의해서 분석하였다. 호도유의 주요 트리글리세리드의 분자종은 $C_{18:2}{\cdot}C_{18:2}{\cdot}C_{18:1}$(LLO; 10.9%), $C_{18:3}{\cdot}C_{18:2}{\cdot}C_{18:2}$(LnLL; 17.6%) 및 $C_{18:2}{\cdot}C_{18:2}{\cdot}C_{18:2}$(LLL; 37.3%)이었다. ${\beta}$ 위치에 불포화지방산이 차지하는 트리글리세리드 분자종은 90%이상이었다.

  • PDF

Streptomyces coelicolor A[3]2에서 Mycothiol 생합성에 관여하는 Inositol Monophosphatase 유전자의 클로닝 및 발현 (Cloning and Expression of Inositol Monophosphatase Gene from Streptomyces coelicolor A[3]2)

  • 김진권;최학선;김성준;김시욱
    • KSBB Journal
    • /
    • 제19권6호
    • /
    • pp.462-466
    • /
    • 2004
  • S. coelicolor A3(2)로부터 항산화 저분자 thiol분자인 MSH를 HPLC 및 monobromobimane 형광 검출 방법으로 분리${\cdot}$정제하여 그 존재를 확인하였다. 표준물질인 MSH-bimane과 동일하게 용출되는 MSH 분획을 확인하였으며 여러 thiol 분획 중 MSH 분획이 가장 많은 것으로 보아 MSH가 S. coelicolor의 주된 thiol 화합물로 판단되었다. MSH 생합성에 관여하는 효소 중 I-1-Pase의 유전자의 기능을 알아보기 위하여 이 유전자를 방선균에서 분리한 후 대장균에 클로닝하여 과도발현시켰다. 발현된 I-1-Pase를 Ni-NTA column을 사용하여 정제하였다. 정제된 I-1-Pase는 soluble protein으로 281개 아미노산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분자량은 32 kDa이었다. 인간 및 대장균의 I-1-Pase와 각각 24와 $25\%$의 sequence homology를 보였으며, 기존의 I-1-Pase가 가지고 있는 공통의 I-1-Pase motif A와 motif B를 S. coelicolor A3(2)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