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분양가격

검색결과 51건 처리시간 0.023초

아파트 분양가격(分讓價格) 규제(規制) 논의(論議)에 대한 연구 (Review on the price control scheme for new apartment)

  • 장성수;최재순
    • 한국주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주거학회 2003년도 정기총회 및 추계학술대회
    • /
    • pp.271-274
    • /
    • 2003
  • 1999년부터 20세대 이상의 신규 주택분양시 분양가격 규제가 철폐되었다. 2001년 이후 아파트를 중심을 가격이 상승하자 그 원인이 신규 주택의 분양가격이 상승하였기 때문이라는 주장이 나오면서 분양가를 다시 규제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오고 있다. 본 연구는 분양가격의 상승 실태와 재고 주택가격간의 관계를 고찰하여 분양가격 규제가 필요한지 여부를 검토한다.

  • PDF

민간 아파트 사업의 초기계약률 예측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ediction of Initial Sales Rate on Apartment Housing Projects)

  • 이성수;김리영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6권4호
    • /
    • pp.3-11
    • /
    • 2015
  • 우리나라 주택공급은 주로 민간에 의한 선(先) 분양 아파트 개발사업 형태가 주로 이루고 있다. 선 분양 개발사업은 분양을 통해 사업비를 충당한다는 점에서 초기 계약률과 분양가격은 매우 중요함에도 연구의 축적은 미흡하며, 계약률과 분양가격 간의 관계를 고려한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이 연구는 분양가격과 초기 계약률간의 관계에 중점을 두고 분양사업계획 수립시 초기계약률을 고려한 합리적 분양가격을 책정하기 위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지역 내 합리적 분양가격 수준보다 높거나 낮게 책정되면 초기계약률이 낮아진다. 따라서 사업주체가 분양가격을 책정하는 경우 초기계약률을 고려한 합리적 분양가격을 책정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초기계약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분양가격, 학교입지, 근린공원, 건폐율, 판상형 비율, 건설사 순위 등으로 나타났다. 이들 변수 중에서, 입지와 관련한 요인은 고정적이고 사업자의 노력으로 개선하기 어려운 사항이다. 입지 이외의 사업주체가 노력으로 해결할 수 있는 변수로는 분양가격의 책정, 건폐율이나 판상형 비율, 건설의 브랜드 등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사업계획 수립시 어떠한 건설사를 통해 어떤 주택을 건설하느냐는 사업의 성패를 결정하는 데 중요한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연구결과를 종합해보면, 사업주체가 분양가격을 책정하는 경우 지역에서 선호하는 특성을 합리적으로 고려하여 가격을 책정할 필요가 있으며, 연구에서 확인한 바와 같이 지역에서 적절한 분양가격과 초기계약률 간의 관계를 토대로 적절하게 분양가격을 책정하게 된다면 사업실패의 리스크를 줄이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HP기법을 이용한 공동주택 분양가 결정에 관한연구 (A study of the decision to standardize sale price of supplying apartment houses using Analytic Hierarchy Process)

  • 황규성;이찬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1호
    • /
    • pp.121-129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아파트 분양가격의 결정요인에 대하여 AHP 분석방법으로 신규공급 아파트의 가격 산정을 위한 기준을 마련하고자 한다. 아파트 분양가격의 분양가격 결정요인을 계층구조로 모델링한다. 모델링한 계층구조에 따라서 부동산전문가그룹의 설문으로 분양요소들의 상대적 중요도를 파악한다. 그리고 AHP 분석방법으로 단계별 분양가격 결정요인의 상대적 중요도 찾아내어서 신규공급 아파트의 경쟁력 있는 분양가격 산정을 위한 기준을 마련하고자 한다.

공동주택 분양가 결정모형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Decision to Standardize Sale Price Model of Supplying Apartment Houses)

  • 황규성;이찬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1호
    • /
    • pp.181-189
    • /
    • 2017
  • 본 연구는 아파트 신규 공급 시 시장 내 경쟁력 있는 분양가격을 결정하기 위한 산정기준을 마련하였다. 도출된 모형은 건설사가 새로운 아파트 분양 시 가격결정을 토지비와 공사비 등 들어가는 비용에 일정 이윤을 합하는 방식이 아니고 최근 공급한 새로운 아파트 단지의 가격을 기준으로 결정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지고 있음을 고려하여 인근 아파트와 분양가격 비교분석의 모형을 만들었다. 아파트를 새로 공급할 때 결정요인에 대하여 1단계 4가지요인, 2단계 9가지요인, 3단계 25가지 요인으로 계층화하여 분석함으로써 새로이 공급되는 아파트의 가격을 산정하기 위한 기준을 마련하고자 한다. 분양가격 결정요인의 상대적 중요도도 파악하여서 신규공급 아파트 분양가격의 분양시 지표로 활용한다. 또한 2단계 9가지 요인특성을 기준으로 분양가 비교 모형을 만들어 실무에 적용할 수 있도록 제시하였다. 향후에는 마케팅 외적인 요인도 추가적으로 고려하여 일반화된 기준을 찾는 연구가 필요 할 것이다.

도시형생활주택의 입지별 분양가격 및 수익률 결정요인 (Determination of Urban-Life Housing Price and Return Ratio by Location)

  • 박진아;우철민;백민석;심교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11호
    • /
    • pp.469-481
    • /
    • 2012
  • 부동산 경기의 하락과 소형가구가 증가함에 따라 소형주택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특히 도시형생활주택은 소형가구의 생활패턴에 맞는 주택형태와 지리적 위치에 입지하고 있기 때문에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높은 수익률을 앞세워 투자 부동산으로 홍보 되면서 많은 투자자들이 분양을 받고 있다. 반면, 도시형생활주택의 분양가격과 수익률을 고려한 실증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서울의 도시형생활주택을 조사하여 분양가격과 수익률에 대하여 실증분석 하였다. 이를 통하여 공급주체 및 투자주체들에게 다양한 가이드라인과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의 50세대 이상의 도시형생활주택 51개 단지를 조사하였으며, 실증분석을 위하여 선형회귀분석과 PLS(Partial Least Square Regression) 분석을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분양가격 결정요인을 위한 선형회귀분석에서는 주변 주택가격과 역세권 변수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익률 분석에서는 주변 주택가격과 역세권, 주변 편의시설이 수익률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요자 중심의 마케팅 전략을 통한 미분양 주택 해소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olution of Unsold Houses through User Centered Marketing Strategies)

  • 이광균;이주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3호
    • /
    • pp.1318-1326
    • /
    • 2014
  • 부동산 마케팅 개념의 변화와 미분양 주택해소에 대한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는 시점에서 본 연구는 미분양 주택해소에 대한 영향요인을 입지환경, 거주환경, 거시환경, 마케팅 부문으로 구분하였으며, 실제 수요자가 어떤 요인을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실제 수요자의 미분양 아파트 매수의향 및 분양가격만족도(분양가격만족도, 주택가치상승)라는 관점에서 미분양 주택해소 요인과 어떠한 영향관계와 구조를 가지고 있는지 PLS 구조방정식을 통해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분양가격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은 거시환경, 거주환경, 입지환경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나타났다. 하지만 마케팅 전략은 분양가격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도출되었다. 둘째, 매수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거시환경, 마케팅 전략, 분양가격 만족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택하부시장 특성을 고려한 신규 분양가와 입주후 가격 변화에 관한 연구 (Differences between Sale Prices and Lotting Prices in New Multi-family Housing Considering Housing Sub-Market)

  • 최열;김형수;박명제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8권4D호
    • /
    • pp.523-531
    • /
    • 2008
  • 본 연구는 신규 아파트 가격의 규제에 대한 결과로 나타난 신규 아파트의 분양가격과 입주 시점의 매매가격의 차이 즉 프리미엄의 원인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부산지역 아파트 시장은 기존의 주택 형태에서 벗어나 새로운 형태의 아파트에 대한 수요가 높은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분석결과 아파트의 층수가 고층이고 타워형 아파트인 경우에 가격 상승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주택의 형태도 더 많은 베이를 가진 아파트가 가격이 상승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둘째, 신규 아파트의 가격은 주거한 후에 평가되는 가격이 아니므로 가격상승에 대한 기대감을 높여주는 단지정보가 가격상승에 중요하게 작용하는 것으로 분석할 수 있다. 유의하게 나타난 변수는 녹지율과 아파트 세대수, 브랜드 및 도심지 접근성 등과 같은 변수였는데, 이러한 경향은 기존의 중고 아파트에 대한 연구 결과와 동일한 것이다. 셋째, 신규 아파트 중에서도 대단지의 규모를 가지며 건설업도급순위 상위에 위치하는 건설회사의 브랜드 아파트가 가격 상승률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는데, 이는 지역 건설 업체의 불리한 상황에 대한 반증이기도 하다. 넷째, 변수들 중에서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아파트 분양가인 것으로 드러났다. 각종 선행연구들에서는 아파트 가격 상승요인으로 정부의 분양가격 규제정책을 지목하였는데, 분양가격의 규제로 인해 주택의 초기 분양가가 시장가격보다 낮게 책정되어 아파트 입주시에 가격이 상승하게 된다는 것이다. 또한 하부시장 특성에 대한 중요성을 알 수 있었는데, 중고주택시장의 상승률, 제1선호구와 제2선호구, 아파트 비율이 유의한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