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cessing math: 100%
  • Title/Summary/Keyword: 분석문제

Search Result 24,030, Processing Time 0.054 seconds

한국의 수학 경시대회 문항분석에 관한 연구

  • Lee, Gang-Seop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5
    • /
    • pp.303-308
    • /
    • 2003
  • 이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시행되는 수학경시대회의 문항분석 현황을 다루고 이를 바탕으로 문제은행 구축에 필요한 문항분석을 위하여 기본 및 선결과제를 제시한다. 또한, 몇가지 오답유형에 대한 문항을 분석하여 경시대회 문제의 질적 수준 확보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한다.

  • PDF

A Numerical Study on the Quantification of Rock Joint Roughness (암석 절리면 거칠기의 정량화에 대한 수치적 연구)

  • 천병식;김대영
    •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 /
    • v.17 no.1
    • /
    • pp.85-97
    • /
    • 2001
  • Tse와 Cruden(1979)에 의해 암석 절리면 거칠기 정량화에 대한 연구가 시작된 이후 통계적인 정량화방법, 프랙탈 차원을 이용하는 방법 그리고 스펙트럼 분석을 이용하는 방법이 제안되었다. 이러한 통계적 정량화방법은 치수의존적이라는 단점이 있으며, 프랙탈 차원을 이용하는 방법은 크로스오버 차원이라는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이 문제점들을 보완하는 방법으로 스펙트럼 분석법이 제시되어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다. 본 연구에서는 Barton과 Choubey(1977)가 제안한 10개의 절리면 프로파일을 수치화하고 통계적 분석, 프랙탈 차원 분석 그리고 스펙트럼 분석을 실시하여 이들 문제점을 살펴보고 스펙트럼 분석법이 위상이 변조된 프로파일에 대하여 문제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들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측정간격과 프로파일의 기울기를 의미하는 통계적 파라미터의 관계를 선형으로 회귀분석하였다. 이렇게 구한 10개의 1차식의 기울기와 절편은 JRC와 매우 상관성이 높게 나타났다. 이 기울기와 절편을 거칠기 정량화의 변수로 사용함으로서 통계적 분석법에서의 치수의존적인 문제와 스펙트럼 분석에서의 위상변조의 문제를 해결하였다.

  • PDF

Designing a Model of Problem Posing focusing on the Analysis of Meaning (의미 분석을 강조한 문제설정 모형 설계하기)

  • Jun, Young Bae;Roh, Eun Hwan;Kim, Dae Eui;Kang, Jeong Gi
    •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Society
    • /
    • v.16 no.2
    • /
    • pp.383-407
    • /
    • 2013
  • As an alternative of making students active and independent under the passive learning conditions in school math classes, many researchers have paid much attention to problem posing and done a lot of research on it. Above all, Brown and Walter proposed What I f Not strategy as a means of problem posing. In this strategy, during the process of posing problems, the transformation of their attributes is inevitably made, and so after problem posing, the process is finished by explaining the problem. But only the simple transformation of attributes could pose wrong problems. It suggests that it is very important to recognize the relationship which leads to organic connection between attributes in order to pose the right problem. However, many other studies of problem posing haven't focused on this fact. Thus, this study tried to design a model of problem posing to help recognize inherent knowledge in the problem and then pose the right problem by adding an activity of meaning analysis. We concretely showed a model of problem posing emphasizing the analysis of meaning by means of an example, thereby examining the meaning of the model. This study expects students to have the chance to understand the true meaning of problem posing and to be active learners after all.

  • PDF

The Actural Condition and the Impact of Psychosocial Factors on Problem Drinking among the College Students (대학생의 문제성음주의 실태와 관련 심리사회적 요인)

  • Jeong, Weon-Cheol
    •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 /
    • v.58 no.1
    • /
    • pp.347-372
    • /
    • 2006
  • Drinking Problems among college students have been increasing and being severe social problems. When it is compared with other areas, the research about drinking problems of college students are rare. This study was to examine psychosocial factors influencing on problem drinking among college students. The sample size of this study was 414, which made it possible to do statistical inference. AUDIT was applicated to measure the drinking problems in college student. As statistical method, X2-test, t-test, hierarchi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The main finding provided that drinking problem of college students was more severe than adult one. Especially binge drinking pattern was remarkable. Male student had many alcohol problems than female students. This study also revealed gender, religious activity, first drinking age, sensation -seeking, drinking motivation, parents' drinking problem, schoolwork record, peer influence had significant direct impact in problem drinking of college student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author suggested some practical implication and preventive program based on the results and added further study tasks.

  • PDF

A Study on Measuring the Improvement of Creative Problem-Solving Competency in Project-Based Courses (프로젝트수업 기반 창의적 문제해결역량 향상도 측정에 관한 연구)

  • Younghee Noh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57 no.3
    • /
    • pp.143-161
    • /
    • 202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students' creative problem-solving skills improve through project-based courses. Rather than measuring overall competencies, the focus was specifically on measuring the improvement of problem-solving skills. The study involved a literature review, the design of project-based courses, and the assessment and analysis of students' competencies before and after the course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 measurement of students' creative problem-solving skills before and after the project-based courses indicated an overall improvement in the five dimensions of problem identification, analytical thinking, flexible thinking, alternative generation, and a proactive attitude. Secondly, significant correlations were found among these five dimensions, particularly strong correlations were observed between problem identification and alternative generation, problem identification and analytical thinking, and analytical thinking and alternative generation. To generalize the findings of this study,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apply similar approaches in different types of courses and across various universities and departments.

Gender Differences in the Effects of Preschoolers' Age, Temperament and Parenting for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Problems (유아기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행동에 대한 연령, 기질과 양육행동의 영향에 있어서의 성차)

  • Kang, Ji Hyeon;Oh, Kyung Ja
    • The Korean Journal of Woman Psychology
    • /
    • v.16 no.1
    • /
    • pp.1-21
    • /
    • 2011
  • In order to explore the impact of gender in the effects of age, temperament, and parenting on preschoolers' psychosocial problems, 339 preschoolers, 3-5 year old, were assessed using parent report measures of externalizing and in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temperament, and parenting. The results of ANOVA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es are as follows. First, the main effects of age and gender for externalizing problems and the interaction effect of age and gender for internalizing problems were significant. Second, the important predictors of preschoolers'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problems were different by gender. In boys, Novelty Seeking(NS), Harm Avoidance(HA), and hostile parenting significantly predicted both problems. In girls, NS, HA, and warm parenting significantly predicted both problems. In addition, girls were more strongly influenced by parenting whereas boys were more influenced by their temperam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highlight some important suggestions for prevention strategies for preschoolers' behavioral problem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further discussed.

On Mathematics Teachers' Recognition about Problem-Based Learning(PBL) Implementation : Taxonomic Analysis & Componential Analysis by using cards (문제중심학습(PBL)의 실행에 관한 수학교사의 인식 조사 : 카드 활용 면담을 이용한 분류체계 및 성분 분석을 중심으로)

  • Huh, Nan;Ha, Young-Hwa
    •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Society
    • /
    • v.14 no.2
    • /
    • pp.143-161
    • /
    • 2011
  • Mathematics PBL, which has recently attracted much attention, is a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to increase mathematical ability and help learning mathematical concepts and principles through problem solving using mathematical knowledge the students have. In spite of the attention, however, the implementations are yet significant. In this study, we worked to find the needs of mathematics teachers for mathematics PBL implementation. The methods of this study are taxonomic analysis and componential analysis by using cards depth interviewing. As a result, mathematics teachers' needs are to consider how to develop the mathematics PBL problems and how to make progress.

  • PDF

인과지도의 타당성 확보와 정보 표현력 향상을 위한 이론적 고찰

  • Jeong, Jae-Un;Kim, Hyeon-Su
    • 한국경영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6a
    • /
    • pp.817-822
    • /
    • 2007
  • 시스템 다이내믹스에서의 인가지도는 동적 환경의 문제를 분석하고, 분석된 내용을 논의할 수 있는 도구로써 활용되고 있다. 하지만, 인과지도는 복잡도가 높은 문제를 설명함에 있어서 문제에 대한 정보의 표현과 논리적인 전개에 한계가 존재한다. 그리고 인과지도의 작성 과정에서 연구자의 주관성을 배제 하고 오류를 검증하기 위한 객관적 기준이 미흡한 실정이다. 또한, 문제 해결을 위한 세부적인 개체 모델링과의 연계성이 부족하다. 이에 일각에서는 시스템 다이내믹스의 문제분석에 관한 방법론에 지적을 가하는 경우도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인과지도의 타당성 확보와 정보 표현력 향상을 위한 이론적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본문에서는 인과지도가 객관적인 논리에 의해 작성될 수 있도록 수리적, 논리적 근거들을 제시함과 동시에, 인과지도의 정보 표현력 향상을 통한 대화도구로서의 기능적 향상 방안에 대해서 연구를 진행하였다.

  • PDF

퍼블릭 블록체인의 보안 위협과 블록체인 확장성 문제의 연관성에 대한 분석

  • Noh, Siwan;Rhee, Kyung-Hyune
    • Review of KIISC
    • /
    • v.28 no.3
    • /
    • pp.26-32
    • /
    • 2018
  • 최초의 암호화폐인 비트코인의 등장과 함께 그 기반기술인 블록체인에 대한 국내외의 관심이 증가하는 가운데 국외에서는 블록체인의 확장성 문제에 대한 논의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블록체인은 시스템을 관리하는 중앙기관 대신 네트워크의 사용자들의 합의에 기반하여 시스템을 유지한다. 신뢰할 수 없는 사용자 간의 합의를 위해 작업증명이라는 신뢰성 보장을 위한 기술을 사용하였고 이로 인해 비트코인과 같은 퍼블릭 블록체인은 제한된 처리량을 가지게 되었다. 현재까지 알려진 대부분의 공격들이 이러한 제한된 처리량으로 인한 처리 지연으로 공격 성공률이 증가하기 때문에 확장성 문제 해결을 위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현재 알려진 퍼블릭 체인에서의 보안 위협을 분석하고 확장성 문제와 함께 현재 알려진 확장성 문제 솔루션에 대한 소개 및 앞서 서술한 보안 위협과의 연관성에 대해 분석한다.

Study of Item Analysis to Improve the Reliability of Item Bank in CBT System (CBT 시스템에서의 신뢰도 높은 문제 은행 구축을 위한 문항 분석 방법)

  • 정희영;윤애선;손건태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Cognitive Science Conference
    • /
    • 2002.05a
    • /
    • pp.3-8
    • /
    • 2002
  • 대규모 수험자를 대상으로 하는 경우, CBT 방식은 PBT 방식에 비해 비용이나 처리 방법에 있어 효율적이라는 장점을 갖고 있다. 하지만, CBT 평가가 제대로 운영되려면 많은 문항으로 구성된 대규모의 문제 은행이 있어야 하며, 기 구축된 문항은 적합성과 공정성이 반드시 보장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4,000여 명 이상의 수험자를 대상으로 8000문제가 넘는 문제 은행이 구축되어 실제 CBT 시스템을 개발·운영하고 있는 P 대학교 CBLT 테스트 시스템의 문항들을 분석할 방법을 제안한다. 연구 결과 CBLT 테스트 시스템의 문제 은행의 개별 문항들이 출제자 1인의 주관적 판단에 달려있어 문항에 대한 질 관리가 어렵다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고전검사이론이 적합하다고 판단된다. 그러나 매 시험이 동질한 문항 세트로 구성되기 위해서는 문항에 대한 충분하고 객관적인 자료가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CBLT 테스트 시스템과 같이 응답자 수가 2∼300여 명 전후이며, 40문항의 문항 세트에 대한 분석은 2모수 정도가 적당하다고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