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분만젖소

검색결과 108건 처리시간 0.02초

한우 및 젖소에서 과배란 처리를 이용한 체내수정란 생산과 신선 및 동결 수정란 이식 결과 (Production of In-Vivo Embryos by Superovulation and Result of Transfer with Fresh or Frozen Embryos for Hanwoo and Holstein Cattle)

  • 김용준;송재웅;서세현;정구남;김용수;이해리;신동수;조성우;김수희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209-218
    • /
    • 2004
  • 가축에서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사용되는 수정란이식술의 실용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한우 및 젖소 36두로부터 과배란 처리를 하여 신선수정란은 25두에, 동결수정란은 17두에, 쌍태 생산을 위한 수정란 두 개 이식은 13두 수란우에 이식되어 그 생산 결과를 조사하였다. 1 과배란을 위한 호르몬 처리후 반응을 나타낸 공란우는 75.0%이었다. 2. 황체수와 비교하여 채란된 수정란 율은 91.8% 이었다. 3. 비외과적으로 채란된 전체 난자 중 생존성이 있는 배반포는 66.4%이었고, 이식 가능한 배반포는 48.6%이었다. 4. 간이채란법으로 시도된 one-catheter method에 의한 양 자궁 관류성공률은 75.0%이었다. 5. 신선 수정란을 이식후 분만결과에 따른 수태율은 60.0%이었다. 6. 동결수정란을 융해하여 이식후 분만결과에 따른 수태율은 35.3%이었다. 7. 쌍태 생산을 위한 수정란 두 개 이식결과에서 신선수정란 사용시 28.6%, 동결수정란 사용시 16.7%의 쌍태분만을을 나타내었다. 8.수정란 이식 후 생산된 산자에서 수컷의 비율은 56.3%이었다. 9. 수정란 이식 계절에 따른 분만 결과에서 여름에 이식시 가장 낮은 수태율을 나타내었다.

우리나라 Holstein 경산우의 분만간격과 비유곡선모수와의 상관관계 (Correlation between Calving Interval and Lactation Curve Parameters in Korean Holstein Cows)

  • 원정일;당창권;임석기;임현주;윤호백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50권5호
    • /
    • pp.173-182
    • /
    • 2016
  • 본 연구는 분만간격과 비유곡선 모수들 간의 상관관계를 규명하기 위하여 농협중앙회 젖소개량사업소에서 진행하고 있는 유우군 능력검정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홀스타인 젖소로부터 조사한 착유기록 36,505개를 분석하였는데, 분석에 이용된 착유기록은 모두 2011년부터 2013년 사이에 분만한 경산우로부터 조사하였다. 비유곡선 모수는 Wood 모형을 적용하여, SAS 9.2 NLIN Procedure를 이용해 추정하였다. 분만년도-계절(봄, 여름, 가을, 겨울)효과와 산차(2, 3, 4산차)의 효과를 고정효과로 한 다형질 일반선형모형으로 SAS(GLM procedure)를 이용하였다. 분만간격, 305일 유량, 비유곡선모수(A, b, c), 비유지속성, Peak 일시 및 Peak기 유량에 대해 분만년도-계절과 산차의 효과는 모두 유의적으로 나타났다(p<0.05). Wood 모형으로 추정한 비유곡선 함수는 2, 3 및 4산차에 대해 각각 yt=24.66t0.175e-0.00302t, yt=24.69t0.192e-0.00334t 및 yt=24.22t0.200e-0.00341t으로 추정되었다. 분만간격과 305일 유량, 모수값 A, b, c, 비유지속성, Peak 일시 및 Peak기 유량과의 표현형상관(잔차상관)은 각각 0.093, -0.014, 0.028, -0.046, 0.099, 0.085 및 0.052으로 나타났다. 분만간격이 길어지면 비유곡선의 상향경사도, 비유지속성, Peak 일시, Peak기 유량은 증가하고, 비유곡선의 하향경사도는 감소하여, 305일 유량은 증가할 것으로 판단된다.

사료 내 아미노산의 부족이 하루 착유횟수를 2회에서 3회로 증가시킨 젖소의 유생산 반응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insufficient dietary amino acids on the milk production of dairy cows milked three times daily)

  • 여준모;이성훈;이장형;노환국;김완영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8권1호
    • /
    • pp.43-51
    • /
    • 2006
  • 본 실험은 젖소의 사료 내 아미노산 중 His, Met, Lys의 부족이 하루 착유횟수를 2회에서 3회로 증가시킨 젖소의 유생산 반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가를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젖소의 사료 내 His, Met, Lys의 부족을 위해서 조사료로서 그라스 사일리지를 이용하고 또한 농후사료에 이용되는 단백질원으로서 우모분만을 이용하였다. 비록 젖소의 대사에너지 섭취량이 유생산을 위한 요구량보다 훨씬 높았지만 사료 내 특정 아미노산의 부족은 하루 착유횟수를 2회에서 3회 증가시킨 젖소의 유량을 유의적으로 증가시키지 못하였다. 또한 한쪽 유구에만 3회 착유를 적용한 결과 2회 착유된 유구의 유단백질 및 유당의 분비를 감소시키는 것이 조사되었다. 결론적으로 본 실험의 결과는 특정 아미노산이 제한된 사료조건에서 젖소의 하루 착유횟수를 2회에서 3회로 증가시키는 것은 유생산 반응을 변화시킬 수 있을 정도의 유량 촉진방법이 아님을 제시하였다.

젖소에 있어서 삭제(削蹄)가 번식효율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law Trimming on Reproductive Efficiency in Lactating Dairy Cow)

  • 백광수;박수봉;박성재;김현섭;이현준;전병순;안병석;허태영;강석진;서국현;정경용;손준규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233-238
    • /
    • 2005
  • 본 연구는 젖소에 있어서 삭제가 번식효율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2003년부터 2004년까지 2년간에 걸쳐 축산연구소 개방형 깔짚 우사에서 사육중인 홀스타인 착유우 17두를 대상으로 처리구 9두 및 대조구 8두를 공시하였고 삭제는 분만 후 20일을 전후하여 1회에 한해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삭제에 따른 분만 후 첫 수정일수는 대조구가 180.9$\pm$31.6, 삭제구가 111.9$\pm$17.1일로 삭제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분만 후 첫 수정일수가 단축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통계적인 유의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2. 분만 후 첫 수정에 의한 수태율은 대조구가 8두중 2두가 수태되어 $25.0\%$, 삭제구가 9두중 6두가 수태되어 $66.7\%$의 수태율을 나타내었다. 3. 분만 후 수태 일수는 대조구가 258.1$\pm$43.3, 삭제구가 151.6$\pm$26.2일이었다. 삭제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분만 후 수태일수에 있어서 유의적으로(p<0.05) 단축되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4. 삭제에 따른 수태당 종부횟수는 대조구가 1.88$\pm$0.23, 삭제구가 1.44$\pm$0.18회로 삭제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0.44회 단축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5. 분만 간격은 대조구가 489.3$\pm$47.2, 삭제구가 430.8$\pm$26.2일로 삭제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58.5일 단축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었다.

동기우군의 정의에 따른 유량, 유성분, 체세포 점수간 상관분석 (Correlation Analysis among Milk Yield, Milk Composition, and Somatic Cell Scores by Definition of Contemporary Group)

  • 정운영;조광현;최태정;최재관;최호성;조주현;최연호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6권1호
    • /
    • pp.113-121
    • /
    • 2012
  • 본 연구는 2005년에서 2009년까지 수집된 150,624개의 국내 젖소 산유능력 검정자료를 사용하여 두 가지 동기우 그룹 정의에 따른 산차, 체세포 점수가 305일로 보정된 유량, 유지방량, 유단백량, 무지고형분량에 미치는 효과와, 유량 및 유성분 간 상관관계에 변화가 나타나는가를 보고자 실시하였다. 첫 번째 동기우 그룹은 동일농장과 출생년도, 계절로 정의하였고, 두 번째는 농장과 분만년도, 계절을 동기우 그룹으로 정의하였다. 동기우 그룹을 출생년도로 구성하였을 때 동기우 그룹과 산차 및 체세포 점수가 유량과 고도의 유의성을 보였고, 유단백질량, 무지고형분량, 유지방량에 대해서도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동기우 그룹을 분만년도로 하였을 때에도 유량에 대한 체세포점수 및 산차 효과가 고도의 유의성을 보였고, 유단백질량, 유지방과 무지고형분량에 대해서도 고도의 유의성을 보였다. 출생년도를 사용한 모델에서 생산형질간 표현형상관을 본 결과 유량과 유단백량, 유지방, 무지고형분량은 고도의 정의 상관이 나타났으나, 유량과 체세포 점수 간에는 -0.09의 상관을 나타냈다. 분만년도를 동기우 그룹으로 사용한 모델에서의 표현형상관을 보면 유량과 유단백질 및 유지방간에 출생년도를 사용한 모델과 거의 비슷한 정의 상관을 보였고, 유량과 체세포간에는 -0.10, 유단백질, 유지방, 무지고형분량과 체세포간에는 각각 -0.08, -0.08, -0.11의 상관을 보였다.

젖소의 건유기 유방염 치료에 있어서 생분해 cephalexin microspheres의 효과 (Effects of Biodegradable Cephalexin Microspheres in Dry Cow Mastitis Therapy)

  • Hwang, Cheol-Yang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228-235
    • /
    • 2002
  • 유방염은 젖소에 있어서 유량의 감소, 유질 저하로 인한 우유 폐기문제, 젖소의 도태, 치료비 및 노동력의 부담등을 초래하는 가장 경제적 손실이 큰 질환이다. 현재까지 비유기 최종 착유 후에 항생제를 주입하는 건유기 치료법이 유방염 관리에 가장 효과적이며 폭넓게 쓰이고 있는 방법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건유기 치료는 건유기 주입 항생제 제품들이 건유기 초기에만 지속적인 활성을 지니기 때문에 건유기 말기와 분만 전기에 있어서의 신규 감염은 방어할 수 없다. 따라서 본 연구는 건유기 유방염 관리를 위해 PLGA를 이용한 서방형 생분해 cephalexin microsphere를 제조하여 이의 임상적 효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PLGA는 무독성의 조직 반응을 일으키지 않는 특성으로 인해 약물 방출 조절 체계의 일환으로 인정을 받아왔다. 본 연구에서 cephalexin microsphere는 표면에 특징적인 구멍을 가지고 있는 구형 모양으로 확인이 되었으며 약물 방출 시험에서 초기 과다 방출 이후로 21일간 약물의 방출이 점차 감소한 뒤 3주와 4주 사이에 2차 방출을 보이는 맥동성 방출 양상이 관찰되었다. 현장적용 시험에서는 cephalexin microsphere를 주입한 실험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분만 후 신규 감염율 및 치료율, 평균 체세포 수의 변화의 측면에서 볼 때 유의성 있는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생분해 microsphere를 이용한 건유기 치료법은 건유기 동안 신규 감염을 예방하고 기감염을 감소시킴으로써 종전의 건유기 치료를 좀 더 효과적으로 증진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살아 있는 젖소에서 연속 관찰한 난소섬유종 (A Serial Observation of Ovarian Fibroma in a Living Dairy Cow)

  • 허태영;강석진;정영훈;최창용;손동수;김의형;박성재;서국현;강태영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267-270
    • /
    • 2011
  • 소에서의 난소종양은 흔치 않으며 발견되는 대부분의 난소종양은 과립막세포종양이다. 소의 난소섬유종은 매우 드물며 노령의 동물에서 발병하는 경향이 있다. 본 증례에서는 분만 후 발정정후를 나타내지 않은 초산 젖소에서 발견된 큰 난소종괴를 연속적으로 관찰한 결과이다. 종괴를 초음파로 6개월 동안 연속적으로 관찰한 결과 크기가 지속적으로 증가하였다. 난소절제술을 시행하여 육안검사 및 조직학적 검사소견으로 난소섬유종으로 진단하였다. 본 증례는 살아있는 젖소에서 연속적인 관찰과 진단을 내린 난소섬유종의 첫 사례이다.

Sucrose, Propylene Glycol, Tween 80의 첨가가 전환기 젖소의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Addition of Sucrose, Propylene Glycol and Tween 80 on the Performance of Transitional Holstein Cows)

  • 이왕식;김현섭;손근남;김용국;이현준;기광석;백광수;안병석;아주말 칸;하종규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8권6호
    • /
    • pp.839-846
    • /
    • 2006
  • 본 연구는 분만 전후 40두의 젖소에 무첨가, sucrose, sucrose+PG 및 sucrose+PG+NIS 복합제 첨가의 4 처리로 급여 시 사료섭취량, 산유량 혈중대사물질 및 대사성 질병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사양시험을 수행하였는데,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분만전 건물섭취량은 처리 간에 차이가 없었지만 sucrose+PG+NIS 복합제를 투여하였을 때 대조구 보다 높았으며(P<0.05), sucrose 급여시 분만 후 3주 동안의 건물섭취량이 대조구에 비하여 유의있게 높았다(P<0.05). 혈중 glucose 함량은 처리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분만 전 21일 평균 NEFA 함량은 대조구에 비하여 sucrose+PG 혼합제를 투여한 처리구에서 유의있게 낮은 수준을 보여주었다 (P<0.05). 그러나 분만 당일 및 분만 후 21일 동안에는 처리 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여주지는 않았다. 처리구별 산유량에 있어서는 첨가제의 급여에 의한 차이를 보여주지 않았으나, 유지율에 있어서는 sucrose 급여구와 sucrose+PG+NIS 복합제를 급여한 구에서 대조구에 비하여 유의있게 높은 수준을 보여주었다. 그리고 4 % FCM에서는 대조구에 비하여 모든 처리구에서 유의있게 높았으며 (P<0.05), 대사성질병 발생은 대조구에서 첨가제 급여구에 비하여 다소 많은 개체에서 후산정체, ketosis 및 유방염이 발생하였다.본 시험의 결과에서 sucrose와 같이 단맛으로 기호성을 증진시켜주는 것과 에너지원으로 이용될 수 있는 PG와 함께 사료의 이용성을 높여줄 수 있는 NIS를 첨가하여 급여할 경우에 생산성을 높이고 대사성질병의 발생을 줄여 낙농농가의 생산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한우 및 젖소에서 체외 수정란 생산과 신선 및 동결 수정란 이식 결과 (Production of In-Vitro Fertilized Embryos and Result of Transfer with Fresh or Frozen Embryos for Hanwoo and Holstein Cattle)

  • 김용준;김희천;서세현;정구남;김용수;이해리;신동수;조성우;김수희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79-87
    • /
    • 2005
  • 한우 및 젖소에서 체외 수정란을 생산하여 수란 우에 이식하기 위해 도축장에서 난소를 채취하여 난자를 회수한 후 체외 성숙, 체외 수정, 체외 배양과정을 거쳐 수정란을 생산하였다. 체외 수정시 난자는 난구세포 부착 정도에 따라 난할율을 조사하였고, 한우와 젖소에서 체외수정 후 배반포율을 조사하였다. 신선 및 동결 수정란을 수란우에 각각 이식하여 산자 분만에 따른 수태율을 조사하였다. 1. 한우 난소 2,021개에서 20,387개의 난자를 회수하여 체외 수정 후 난할된 난자수는 13,541개로서 $66.4\%$의 난할율을 나타내었고, 젖소는 난소 144개에서 1,784개의 난자를 회수하여 체외 수정 후 1,113개의 난자가 난할되어 $62.4\%$의 난할율을 나타내었다. 2. 한우와 젖소에서 난구세포가 온전히 둘러싸인 난자의 율은 각각 45.0, $62.0\%$이었고 난할율은 각각 81.0, $72.0\%$이었다. 난구세포가 일부 분리된 난자의 난할율은 한우, 젖소 각각 63.5, $51.3\%$이었다. 난구세포가 완전 분리된 난자의 난할율은 한우, 젖소 각각 41.0, $41.7\%$이었다. 3. 한우와 젖소 체외수정에서 난자가 배반포로 발달된 율은 전체 난자수에 비교하여 각각 27.0, $23.0\%$이었고, 난할된 난자수에 비교하여 각각 40.6, $36.9\%$이었다. 4. 신선 수정란을 이식한 결과, 한우에서는 278두에 이식하여 159두가 산자를 분만하여 $57.2\%$, 젖소에서는 15두에 이식하여 8두가 분만함으로써 $53.3\%$의 임신율을 나타내었다. 5. 동결 수정란을 이식한 결과, 한우에서는 44두에 이식하여 18두가 산자를 분만하여 $40.9\%$, 젖소에서는 11두에 이식하여 4두가 분만함으로써 $36.4\%$의 임신율을 나타내었다.

젖소에서 분만기의 혈액화학치의 변화: 지방간을 중심으로 (Blood Biochemical Changes during Periparturient Period in the Holstein Cattle)

  • 이경갑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63-169
    • /
    • 1993
  • This study examined the incidence of disease and blood biochemical values in 68 Holstein cattle during the a month period after parturition. In order to compare the blood biochemical values, the animals were divided into 2 groups of prepartum and 4 groups of postpartum according to the blood collecting day, respectively. The results compared postpartum with prepartum were obtained as follows : the incidences of displacement of abomasum, culled and retained placenta were 11.8%. 13.2% and 8.8%, respectively. In the normal group(pre and post parturition group), NEFA and bilirubin were increased. Triglyceride and cholesterol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In the pre-parturition group, and total lipid was decreased. In the disease group, displacement of abomasum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the normal group in the levels of NEFA, triglyceride and bilirubin. Culled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the normal group in the levels of NEFA, AST and bilirubin. but lower than in the normal group in the levels of triglyceride and cholesterol. Retained placenta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the normal group in the levels of NEFA and bilirubin, but lower than in the normal group in the levels of triglycerid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