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분리능

Search Result 1,506, Processing Time 0.03 seconds

Vehicular Impact Model and Installation Locations for a High Performance Median (중앙분리대 사고자료 분석을 통한 설계 하중모델 개발 및 고성능 중앙분리대 설치 위치 선정)

  • Jeong, Yoseok;Lee, Ilkeun;Lee, Jaeha;Kim, WooSeok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 /
    • v.23 no.1
    • /
    • pp.63-70
    • /
    • 2019
  • The number of vehicle-to-barrier collisions has increased due to improved driving environments. In addition, it is reported that the number of accidents led to impact severity larger than current capacity of a median barrier has increased. It is required to develop a high performance median barrier in order to secure expressway safety. This paper aims at proposing impact loading model and locations for a high performance median barrier based on analysis of median-barrier-related accident history. The SB6 test level (Impact severity: 420 kJ, Mass: 25 ton, Impact speed: 80 km/h, Impact angle: $15^{\circ}$) was suggested for target impact severity based on statistical data analysis. The suitable locations also were proposed from investigation of driver behaviors for installation and rehabilitation of high performance median barrier.

Permeability Reduction of Soil Filters due to Physical Clogging (물리적 폐색으로 인한 흙필터의 투수능 저하)

  • ;;;;Reddi, L. N.
    •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 /
    • v.17 no.1
    • /
    • pp.15-24
    • /
    • 2001
  • 흙필터는 일반적으로 침식이나 파이핑으로부터 지반 구조물을 보호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세립자들이 유동하여 필터에 퇴적하는 폐색현상이 발생하는 경우, 간극수압이 증가하고 이로 인해 지반구조물의 불안정을 유발시키게 된다. 미세입자의 유동에 의한 폐색현상은 옹벽의 뒤채움재에 설치한 필터, 흙댐의 저부에 설치된 필터, 그리고 터널의 라이닝 뒤에 설치한 필터 등에서 발생할 수 있다. 폐색현상은 필터의 투수능을 저하시켜 배수능력에 상당한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필터의 폐색으로 인한 투수능 저하 정도를 실험을 통해 관찰하고 이론적인 모델을 통해 정량화 시키고자 하였다. 일정한 농도의 현탁액이 필터로 유입되는 분리형 실험과 현장상태를 모사하는 흙-필터 시스템의 결합형 실험을 통해 투수능의 저하현상이 압력 제어조건과 유량 제어조건에서 관찰되었고, 서로 비교 분석되었다. 미세입자가 통과하는 필터의 간극을 모세관으로 가정한 후 모세관에서 유체의 흐름 원리를 이용하여 물리적인 폐색에 의해 발생하는 투수능 저하현상을 이론적인 모델로 구성하였다. 일반적으로 투수능은 1/10 수준으로 감소되었으며, 분리형 실험에 의한 결과와 이론적인 모델의 결과는 잘 일치하였다. 또한, 결합형 실험결과와 분리형 실험결과가 비교적 잘 일치하여 투수능 저하예측은 분리형 실험이나 이론적 모델에 의하여 가능하리라 판단되었다.

  • PDF

Hydrogen Separation of binary gas mixture Using Templating Silica Membrane (유기 템플레이팅 실리카 막을 이용한 이성분 수소 혼합기체 분리 메커니즘)

  • Bae, Ji-Han;Han, Yoon-Jin;Lee, Chang-Ha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8.05a
    • /
    • pp.522-525
    • /
    • 2008
  • 최근 세라믹 막은 우수한 화학적, 열적 안정성으로 기체 분리 공정에 각광을 받아 왔다. 특히 혼합기체에서 고 순도의 수소를 분리해 내는 기술은 연료전지 공정에서 화학 에너지를 전기화학 에너지로 전환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차지한다. 본 연구에서는MTES 템플레이팅 막을 이용하여 이 막 공정의 흡착 및 투과 특성을 규명하고, 이성분 혼합기체에서 고 순도의 수소를 추출해 낼 수 있는 최적 조건을 도출해 내었다. 또한, 기체 분리 거동을 살펴보기 위해 Gproms Dynamic Simulator를 이용하였으며, 이때 기체상의 물질전달을 모사하기 위해 Dust Gas Model(DGM)을, 표면 확산 거동을 모사하기 위해 Generalized Stefan-Maxwell(GSM)식을 적용하였다. 이를 통해 평형론적 흡착 뿐 아니라 속도론적 흡착을 동시에 적용할 수 있게 하였다. MTES 템플레이팅 막의 흡착 및 분리능을 규명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혼합기체의 투과, 분리 실험이 선행되었다. 실험 조건은 온도범위 323$\sim$473 K, 압력범위 0$\sim$7 atm에서 수행되었으며, 혼합기체는2성분으로 수소-메탄, 수소-이산화탄소, 수소-질소로 기체의 구성비는 각각 50:50 이다. 본 연구를 통해 각 혼합 기체들이 정상상태에 도달하는 시간과 분리능을 계산해 내었으며, 이 분리능을 다시 온도와 압력에 따른 결과로 분석하여 어느 조건에서의 수소 분리도가 최고치를 보이는지를 규명했으며, 시뮬레이션과 비교,대조하여 예측도를 검사하였다.

  • PDF

Hydrogen Separation of Membrane Using MTES Templating Silica Membrane (MTES(methyltriethoxysilane)템플레이팅 실리카막을 이용한 수소 혼합기체 분리)

  • Bae, Ji-Han;Kim, Kyung-Min;Jung, Jong-Tae;Lee, Chang-Ha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11a
    • /
    • pp.105-108
    • /
    • 2007
  • 최근 세라믹 막은 우수한 화학적, 열적 안정성으로 기체 분리 공정에 각광을 받아왔다. 특히 혼합기체에서 고 순도의 수소를 분리해 내는 기술은 연료전지 공정에서 화학 에너지를 적기화학 에너지로 전환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차지한다. 본 연구에서는 MTES 템플레이팅 막을 이용하여 이 막 공정의 흡착 및 투과 특성을 규명하고, 이성분 혼합기체에서 고 순도의 수소를 추출해 낼 수 있는 최적 조건을 도출해 내었다. 또한, 기체 분리 거동을 살펴보기 위해 Gproms Simulator를 이용하였으며, 이때 기체상의 물질전달을 모사하기 위해 Dust Gas Model(DGM)을, 표면 확산 거동을 모사하기 위해 Generalized Stefan-Maxwell(GSM)식을 적용하였다. 이를 통해 평형론적 흡착 뿐 아니라 속도론적 흡착을 동시에 적용할 수 있게 하였다. MTES 템플레이팅 막의 흡착 및 분리능을 규명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혼합기체의 투과, 분리 실험이 선행되었다. 실험 조건은 온도범위 $30{\sim}50$ $^{\circ}C$, 압력범위 $0{\sim}5$ atm에서 수행되었으며, 혼합기체는 2성분으로 수소 메탄, 수소-이산화탄소, 수소-질소로 기체의 구성비는 각각 50:50 이다. 본 연구를 통해 각 혼합 기체들이 정상상태에 도달하는 시간과 분리능을 계산해 내었으며, 이 분리능을 다시 온도와 압력에 따른 결과로 분석하여 어느 조건에서의 수소 분리도가 최고치를 보이는지를 규명했으며, 시뮬레이션과 비교, 대조하여 예측도를 검사하였다.

  • PDF

Combination of Colony Formation and Congo Red Reaction for Detecting Intra- and Extra-Cellular Cellulolytic Activities (세포내외 섬유소 분해능 검출을 위한 Colony 형성과 Congo Red반응의 병용)

  • Lee, D.S.;Kim, H.K.;Pack, M.Y.
    •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Letters
    • /
    • v.12 no.4
    • /
    • pp.305-309
    • /
    • 1984
  • A selective medium which allows growth of only cellulolytic bacteria was developed. The medium composed of 0.5% carboxymethylcellulose (CMC), 0.005% yeast extract, minerals and agar. Colony formation on this medium indicates overall activities of cellulose utilization. A subsequent test with Congo Red dye could distinguish extracellular cellulolysis from intracellular type.

  • PDF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denitrifying bacteria, Pseudomonas sp. (탈질능을 가진 Pseudoomonas sp.의 분리 및 특성)

  • Kim, Hyun-Kuk;Kim, Sung-Koo;Lee, Byung-Hun;Suk, Keun-Hack;Kong, In-Soo
    • Journal of Life Science
    • /
    • v.8 no.1
    • /
    • pp.85-90
    • /
    • 1998
  • Pseudomonas sp. KH2-2 had the denitrifying ability adn was isolated from the denitrifier consortium in order to remove nitrogen compounds from waste water in aquaculture system. When this strain was reached stationary phase, it has the maxium denitrification activity. Denitrification activity of the isolated strain was shown the growth associated pattern. Optimal temperature for cell growth and denitrification activity was 40$\circ$C and optimal pH was 7.

  • PDF

STUDIES ON ANTITUMOR AGENTS PRODUCED BY STREPTOMYCES spp. ISOLATED IN KOREA

  • Ryeom, Kon;Kwon, Hyuk-Ku;Hong, Bum-Soo;Shin, Y.H.;Chang, S.J.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Pharmacology
    • /
    • 1995.04a
    • /
    • pp.61-61
    • /
    • 1995
  • 1993년 국내토양으로부터 분리동정된 Streptomyces속 균주중 항종양성이 우수한 균주 3주(DKM104, DKM117, DKM409)를 선정하고 이들을 대량 배양하여 종양억제인자를 분리하고 시험관내 종양세포 독성능 및 생체내 항암활성능과 이들 물질생산과 PLASMID DNA와의 관련성, $LD_{50}$등을 시험하여 새로운 항종양물질의 개발을 목적으로 하였다. 분리선별균주의 배양조건을 확립하였으며 배양여액을 국성이 적은 유기용매로부터 큰쪽으로 단계적으로 유효성분을 추출하여 Gel Chromatography를 이용하여 유효성분을 분획하였다. 시험관내 항종양능 시험은 MTT colorimetric검정법을 이용하여 $IC_{50}$값을 산정하였으며 생체내 항종양능은 마국의 NIC에서 권장하는 tumor panel system에 따랐다. 선정된 균주의 plasmid 분리는 alkalin lysis법을 채택하였으며 agarose gel electrophoresis로 plasmid profile을 시험하였다. Novobiocin등을 이용하여 Curing test를 시행하였고 독성실험은 $LD_{50}$량을 구해 항암효과 측정시에 Maximum dost로 투여하였고 최고용량을 기준으로 일정한 공비를 적응하여 3단계의 투여량을 설정하였다.(중략)

  • PDF

Characterization of Heavy Metal Tolerant and Plant Growth-Promoting Rhizobacteria Isolated from Soil Contaminated with Heavy Metal and Diesel (중금속 및 디젤 오염 토양에서 분리한 중금속 내성 식물 생장 촉진 근권세균의 특성)

  • Lee, Soo Yeon;Lee, Yun-Yeong;Cho, Kyung-Suk
    •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Letters
    • /
    • v.49 no.3
    • /
    • pp.413-424
    • /
    • 2021
  • In order to enhance rhizoremediation performance, which remediates contaminated soils using the interactions between plants and microorganisms in rhizosphere, it is required to develop effective microbial resources that simultaneously degrade contaminants and promote plant growth. In this study, heavy metal-resistant rhizobacteria, which had been cultivated in soils contaminated with heavy metals (copper, cadmium, and lead) and diesel were isolated from rhizospheres of maize and tall fescue. After that, the isolates were qualitatively evaluated for plant growth promoting (PGP) activities, heavy metal tolerance, and diesel degradability. As a result, six strains with heavy metal tolerance, PGP activities, and diesel degradability were isolated. Strains CuM5 and CdM2 were isolated from the rhizosphere soils of maize, and were identified as belonging to the genus Cupriavidus. From the rhizosphere soils of tall fescue, strains CuT6, CdT2, CdT5, and PbT3 were isolated and were identified as Fulvimonas soli, Cupriavidus sp., Novosphingobium sp., and Bacillus sp., respectively. Cupriavidus sp. CuM5 and CdM2 showed a low heavy metal tolerance and diesel degradability, but exhibited an excellent PGP ability. Among the six isolates, Cupriavidus sp. CdT2 and Bacillus sp. PbT3 showed the best diesel degradability. Additionally, Bacillus sp. PbT3 also exhibited excellent heavy metal tolerance and PGP abilitie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isolates can be used as promising microbial resources to promote plant growth and restore soils with contaminated heavy metals and diesel.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Tannins isolated from Astringent Persimmon Fruits (떫은감에서 분리한 탄닌성분의 기능적 특성)

  • Seo, Ji-Hyung;Jeong, Yong-Jin;Kim, Kwang-Soo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v.32 no.1
    • /
    • pp.212-217
    • /
    • 2000
  • This study was determined protein reaction, antioxidative activity, nitrite scavening ability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tannins isolated from astringent persimmon fruits. Tannins extracted from green persimmon fruits reacted highly with BSA(bovine serum albumin). Reactions between tannins and BSA were more active when contents of tannin were higher than that of BSA. Antioxidative abilities of green persimmon tannin were comparable to that of BHT(butylated hydroxytoluene). Green persimmon tannins exhibited remarkable nitrite-scavenging activity. Different antimicrobial activities of persimmon tannins were observed depending on the maturity. The growth of V. parahaemolyticus and E coil were highly inhibited by the addition of persimmon tannins. Tannins from soft persimmon did not have antimicrobial activities against B. subtilis and S. typhimurium.

  • PDF

Study on the Ion Exchange Mechanisms of Rare Earth Elements in Several Elution Types (II) (희토류원소의 여러 가지 용리형태의 이온교환 메카니즘에 관한 연구 (II))

  • Ki-Won Cha;Sung Wook Hong
    •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v.35 no.5
    • /
    • pp.553-559
    • /
    • 1991
  • The elution characteristics of rare earth elements in $NH^{4+}$ form cation exchange resin had been investigated. Elution were performed varing the loading amount, column diameter, column length and eluent pH. Analysing the chemical species contained in each effluent, elution mechanisms of rare earth elements and the separation of rare earth elements in monazite could be understood. The resolution values of adjacent rare earth elements were improved increasing rare earths adsorption amount wfith the same column within it's exchange capacity. With $NH^{4+}$ resin form, column length does not affect on the resolution values and retention time of rare earth elements and the rare earth-EDTA complex were not adsorbed on $NH^{4+}$ resin form. pH of eluent affected on the reactivities between rare earth elements and EDTA. Decreasing eluent pH, resolution values of adjacent rare earth elements were increased while increasing elution tim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