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분류경계

Search Result 641,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Adaptive Boundary Correction based Particle Swarm Optimization for Activity Recognition (사용자 행동인식을 위한 적응적 경계 보정기반 Particle Swarm Optimization 알고리즘)

  • Heo, Seonguk;Kwon, Yongjin;Kang, Kyuchang;Bae, Chang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2.11a
    • /
    • pp.1166-1169
    • /
    • 2012
  • 본 논문은 사용자 행동인식을 위해 기존 PSO (Particle Swarm Optimization) 알고리즘의 경계선을 통한 데이터 분류에서 데이터의 수집환경에 의해 발생하는 문제를 벡터의 길이비교를 이용한 보정을 통해 보완한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기존의 PSO 알고리즘은 데이터 분류를 위해서 데이터의 최소, 최대값을 이용하여 경계를 생성하고, 이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분류하였다. 그러나 PSO를 이용하여 행동인식을 할 때 행동이 수집되는 환경에 따라서 경계에 포함되지 못해 행동이 분류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분류의 문제를 보완하기 위해 경계를 벗어난 데이터와 각 행동을 대표하는 데이터의 벡터 길이를 계산하고 최소길이를 비교하여 분류한다. 실험결과, 기존 PSO 방법에 비해 개선된 방법이 평균적으로 앉기 1%, 걷기 7%, 서기 7%의 개선된 결과를 얻었다.

MRF-based Iterative Class-Modification in Boundary (MRF 기반 반복적 경계지역내 분류수정)

  • 이상훈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 /
    • v.20 no.2
    • /
    • pp.139-152
    • /
    • 2004
  • This paper proposes to improve the results of image classification with spatial region growing segmentation by using an MRF-based classifier. The proposed approach is to re-classify the pixels in the boundary area, which have high probability of having classification error. The MRF-based classifier performs iteratively classification using the class parameters estimated from the region growing segmentation scheme. The proposed method has been evaluated using simulated data, and the experiment shows that it improve the classification results. But, conventional MRF-based techniques may yield incorrect results of classification for remotely-sensed images acquired over the ground area where has complicated types of land-use. A multistage MRF-based iterative class-modification in boundary is proposed to alleviate difficulty in classifying intricate land-cover. It has applied to remotely-sensed images collected on the Korean peninsula. The results show that the multistage scheme can produce a spatially smooth class-map with a more distinctive configuration of the classes and also preserve detailed features in the map.

Phoneme Segmentation Using Voice/Unvoiced/Silence Classifier and Spectral Information (유성/무성/묵음 분류기와 주파수 스펙트럼을 이용한 음소 경계 검출)

  • Lee Sang-Rae;Han Hyun-Bae;Hahn Minsoo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spring
    • /
    • pp.86-91
    • /
    • 1999
  • 본 논문에서는 유성/무성/묵음 분류기와 주파수 스펙트럼 비교를 통하여 음소 경계 검출기를 구현하였다. 음소경계 검출은 음성 인식, 합성 및 분석 둥의 분야에서 매우 중요하다 유성/무성/묵음 분류기를 이용하여 유성음으로 판별되는 구간은 스펙트럼 비교를 통하여 음소 단위로 세분하였고 무성음으로 판별되는 구간은 한국어의 음성 특성을 고려하여 하나의 음소 단위로 간주하였다. 유성음 구간에 대한 스펙트럼 비교는 수정된 Itakura-Saito distance measure 와 Euclidean MFCC(Mel Frequency Cepstrum Coeffcients) distance measure를 사용하였고 비교 프레임은한 프레임을 건너 윈 경우가 가장 결과가 좋았다. 최종적으로 평균 음소 길이 정보를 이용하여 음소의 경계로 검출된 구간을 더 세분하거나 통합하였다. 유성/무성/묵음 분류기의 경우는 사무실에서 녹음한 고립단어에 대하여 $94.247\%$의 정확도를 보였고 음소 경계 검출의 경우는 $72.8\%$의 정확도를 보였다.

  • PDF

Performance Comparison of Blocking Artifact Reduction Using a Block Boundary Region Classification (블록 경계 영역 분류를 이용한 블록화 현상 제거 기법의 성능 비교)

  • 소현주;장익훈;김남철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24 no.10B
    • /
    • pp.1921-1936
    • /
    • 1999
  • In this paper, we analyze the blocking artifact in block transform-coded images and propose a classification algorithm which classifies each horizontal and vertical block boundary into four regions of EQ, BA, EE, and A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blocking artifact. We also compare the performance of several blocking artifact reduction methods which can reduce blocking artifact in block transform-coded images well. As the blocking artifact reduction methods, the LOT, Kim's wavelet transform-based method, Yang's POCS, Paek's POCS, and Jang's CM have been selected.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each horizontal and vertical block boundary classified by using the proposed classification algorithm yields different characteristics of discontinuities due to the blocking artifact according to the classified region. It is also shown that the blocking artifact reduction methods using wavelet transform yield better performance over the other methods.

  • PDF

Construction Scheme of Training Data using Automated Exploring of Boundary Categories (경계범주 자동탐색에 의한 확장된 학습체계 구성방법)

  • Choi, Yun-Jeong;Jee, Jeong-Gyu;Park, Seung-Soo
    • The KIPS Transactions:PartB
    • /
    • v.16B no.6
    • /
    • pp.479-488
    • /
    • 2009
  • This paper shows a reinforced construction scheme of training data for improvement of text classification by automatic search of boundary category. The documents laid on boundary area are usually misclassified as they are including multiple topics and features. which is the main factor that we focus on. In this paper, we propose an automated exploring methodology of optimal boundary category based on previous research. We consider the boundary area among target categories to new category to be required training, which are then added to the target category sementically. In experiments, we applied our method to complex documents by intentionally making errors in training process.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our system has high accuracy and reliability in noisy environment.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Decision Boundary Feature Extraction for Neural Networks by Calculating Normal Vector of Decision Boundary Analytically (결정경계 수직벡터의 해석적 계산을 통한 신경망 결정경계 특징추출 알고리즘의 성능 개선)

  • Go, Jin-Uk;Lee, Cheol-Hui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CI
    • /
    • v.39 no.3
    • /
    • pp.44-52
    • /
    • 2002
  • In this paper, we present an analytical method for decision boundary feature extraction for neural networks. It has been shown that all the features necessary to achieve the same classification accuracy xxxas in the original space can be obtained from the vectors normal to decision boundaries. However, the vector normal to the decision boundary of a neural network has been calculated numerically using a gradient approximation. This process is time-consuming and the normal vector may be inaccurately estimated. In this paper, we propose a method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the previous decision boundary feature extraction for neural networks by accurately calculating the normal vector When the normal vectors are computed analytically,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processing time significantly and improve the performance of the previous implementation that employs numerical approximation.

A Comparative Study of the Atmospheric Boundary Layer Type in the Local Data Assimilation and Prediction System using the Data of Boseong Standard Weather Observatory (보성 표준기상관측소자료를 활용한 국지예보모델 대기경계층 유형 비교 연구)

  • Hwang, Sung Eun;Kim, Byeong-Taek;Lee, Young Tae;Shin, Seung Sook;Kim, Ki Hoon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 /
    • v.42 no.5
    • /
    • pp.504-513
    • /
    • 2021
  • Different physical processes, according to the atmospheric boundary layer types, were used in the Local Data Assimilation and Prediction System (LDAPS) of the Unified Model (UM) used by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KMA).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verify the atmospheric boundary layer types in the numerical model to improve the accuracy of the models performance. In this study, the atmospheric boundary layer types were verified using observational data. To classify the atmospheric boundary layer types, summer intensive observation data from radiosonde, flux observation instruments, Doppler wind Light Detection and Ranging(LIDAR) and ceilometer were used. A total number of 201 observation data points were analyzed over the course 61 days from June 18 to August 17, 2019. The most frequent types of differences between LDAPS and observed data were type 1 in LDAPS and type 2 in observed(each 53 times). And type 3 difference was observed in LDAPS and type 5 and 6 were observed 24 and 15 times, respectively. It was because of the simulation performance of the Cloud Physics such as that associated with the simulation of decoupled stratocumulus and cumulus cloud. Therefore, to improve the numerical model, cloud physics aspects should be considered in the atmospheric boundary layer type classification.

The Vegetation Mapping using High-resolution Imagery and Object-Oriented Classification (고해상도 위성영상자 객체지향분류기법을 이용한 식생도)

  • 최상일;박종화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4.03a
    • /
    • pp.289-294
    • /
    • 2004
  • 본 연구의 목적은 고해상도 위성 영상을 이용하여 식생도 제작 기법을 연구하는 것이며, 식생도에는 활엽수, 혼효림, 침엽수의 군집 경계를 표현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고해상도 위성영상을 활용하여 객체지향분류 기법을 적용하였다. 객체지향 분류기법은 크게 세그멘테이션의 과정과 세그멘트를 분류하는 과정으로 나눌 수 있다. 세그멘테이션 과정을 통해서 식생군집의 경계를 추출하고, 영상을 이용하여 상록침엽수를 분류하여 식생조사시 침엽수군락의 위치를 파악함으로써 조사의 효율성을 증대하였다.

  • PDF

Multi-class Classification System Based on Multi-loss Linear Combination for Word Spacing and Sentence Boundary Detection (띄어쓰기 및 문장 경계 인식을 위한 다중 손실 선형 결합 기반의 다중 클래스 분류 시스템)

  • Kim, GiHwan;Seo, Jisu;Lee, Kyungyeol;Ko, Youngjoong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18.10a
    • /
    • pp.185-188
    • /
    • 2018
  • 띄어쓰기와 문장 경계 인식은 그 성능에 따라 자연어 분석 단계에서 오류를 크게 전파하기 때문에 굉장히 중요한 문제로 인식되고 있지만 각각 서로 다른 자질을 사용하는 문제 때문에 각각 다른 모델을 사용해 순차적으로 해결하였다. 그러나 띄어쓰기와 문장 경계 인식은 완전히 다른 문제라고는 볼 수 없으며 두 모델의 순차적 수행은 앞선 모델의 오류가 다음 모델에 전파될 뿐만 아니라 시간 복잡도가 높아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띄어쓰기와 문장 경계 인식을 하나의 문제로 보고 한 번에 처리하는 다중 클래스 분류 시스템을 통해 시간 복잡도 문제를 해결하고 다중 손실 선형 결합을 사용하여 띄어쓰기와 문장 경계 인식이 서로 다른 자질을 사용하는 문제를 해결했다. 최종 모델은 띄어쓰기와 문장 경계 인식 기본 모델보다 각각 3.98%p, 0.34%p 증가한 성능을 보였다. 시간 복잡도 면에서도 단일 모델의 순차적 수행 시간보다 38.7% 감소한 수행 시간을 보였다.

  • PDF

Setting Method of Vigilance Parameter of ART2 Algorithm (ART2 알고리즘에서의 경계 변수 설정 방법)

  • Park, Seong-Yeol;Kim, Seong-Hoon;Kim', Kwang-Bae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09.01a
    • /
    • pp.31-34
    • /
    • 2009
  • ART2 알고리즘은 신경 회로망 모델로서 실시간 학습이 가능하여 저속 및 고속을 지원할 뿐만 아니라 지역 최소화(local minima)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 장점을 갖는다. 그러나 ART2 알고리즘은 경계 변수 설정에 따라 클러스터의 수가 달라지며, 이러한 경계 변수 설정은 패턴의 분류와 인식 성능을 좌우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ART2 알고리즘에서 효율적으로 경계 변수를 설정하기 위해 패턴셋 설정을 통한 경계 변수 설정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경계 변수 설정 방법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숫자 및 영문 패턴을 대상으로 실험한 결과, 패턴 분류의 성능이 기존의 방식 보다 개선된 것을 확인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