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분광광도법

검색결과 210건 처리시간 0.02초

여러고리 방향족 화합물과 요오드 사이의 전하이동 착물생성에 관한 열역학적 연구 (Thermodynamics of the Formation of Polynuclear Aromatics-Iodine Charge Transfer Complexes)

  • 권오천;김정림;이영훈
    • 대한화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575-581
    • /
    • 1985
  • 벤젠, 나프탈렌 및 페난스렌과 요오드 사이의 각계를 사염화 탄소 용액에서 자외선 분광광도법에 의하여 연구한 결과 1:1분자 착물이 형성됨을 알았다. 이들 착물 생성에 의한 흡수 최대는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blue shift되므로 이에 따른 각 온도에서의 평형 상수를 구하였다. 이 값으로부터 이들 착물 생성에 대한 열역학적 파라미터를 산출한 결과 각 온도에서 여러 고리 방향족화합물과 요오드 사이에 생성된 착물의 상대적 안정도는 방향족 고리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사실을 요오드에 대한 여러 고리 방향족 화합물들의 상대적 염기성도를 나타내며 방향족 화합물과 요오드 사이의 상호작용에 관한 공명현상에 의하여 설명할 수 있다. 그리고 이 계열의 연구결과를 폴리메틸 벤젠계열의 연구결과와 비교 고찰하였다.

  • PDF

고압하의 전하이동착물에 대한 물성론적 연구-사염화탄소 용액내에서 헥사메틸벤젠과 여러 전자받게들간의 전하이동착물 생성에 대한 압력과 온도의 영향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n the Charge Transfer Complexes under High Pressure)

  • 권오천;김명자;김세경
    • 대한화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335-342
    • /
    • 1991
  • 헥사메틸벤젠과 1,3,5-트리니트로벤젠, 테트라클로로 파라벤조퀴논 및 테트라시아노 에틸렌간에 형성되는 전하이동착물의 안정도에 미치는 압력과 온도의 영향을 사염화탄소 용액내에서 분광광도법으로 연구하였다. 압력 및 온도증가에 따른 각계 착물들의 평형상수를 구하고 이 값으로부터 착물형성에 대한 열역학적 파라미터를 산출한 결과 헥사메틸벤젠과 각계의 전하이동착물의 상대적 안정도가 1,3,5-트리니트로벤젠 < 테트라클로로 파라벤조퀴논 < 테트라시아노 에틸렌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사실은 헥사메틸벤젠에 대한 그들의 상대적 산성도를 의미하며, 이 현상은 전자받게들의 음유도 효과와 입체장애 효과로 설명할 수 있다. 또 각 착물들의 압력 증가에 의한 적색이동, 온도 증가에 의한 청색이동 현상 및 압력 변화에 의한 진동자세기의 관계를 열역학 함수와 관계지워 설명하였다.

  • PDF

[Pd(ONN)Cl] 착물의 SCN$^-$, CN$^-$, N$_3^-$, Imidazole, Pyridine에 대한 치환반응 속도연구 (제 1 보) (The Study of Rates of Substitution Reaction [Pd(ONN)Cl] + Y$^-\;{\rightleftharpoons}$ [Pd(ONN)Y] + Cl$^-$ (Y = SCN$^-$, CN$^-$, N$_3^-$, Imidazole, Pyridine))

  • 오상오;여환진;조이영
    • 대한화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362-367
    • /
    • 1991
  • 친핵치환반응 ([Pd(ONN)Cl] + Y$^-\;{\rightleftharpoons}$ [Pd(ONN)Y] + Cl$^-$ ; Y = SCN$^-$, CN$^-$, N$_3^-$, imidazole, pyridine)속도를 25 ~ 45$^{\circ}C$ 범위에서 분광광도법으로 측정하였다. 친핵체의 반응성상수, n$_{Pd}^{\circ}$를 계산했으며 그 값은 CN$^-$ > SCN$^-$ > N$_3^-$ > Imidazole > Pyridine의 순서였다. 활성화엔탈피(${\Delta}H^{\neq}$)는 작은 양(+)의 값을, 활성화엔트로피(${\Delta}S^{\neq}$)는 큰 음(-)의 값을 가졌다. 이 결과로 보아 이 착물의 친핵 치환반응은 회합(A) 메카니즘으로 진행됨을 알 수 있었다.

  • PDF

흐름주입 분석에 의한 아염소산 이온의 분광광도법 정량 (Photometric Determination of Chlorite ion by Flow Injection Analysis)

  • 최용욱;이수영;김미경;박성호
    • 대한화학회지
    • /
    • 제44권6호
    • /
    • pp.556-562
    • /
    • 2000
  • 간접 요오드화법의 UV 검출을 이용한 흐름주입분석에 의한 아염소산 이온의 정량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산성 조건하에서 아염소산은 요오드화 이온을 요오드로 산화시키고 자신은 염화 이온으로 환원된다. UV 370nm에서 노란 색으로 발색된 요오드의 흡광도를 측정하여 아염소산 이온을 간접적으로 정량 하였다. 흐름주입분석-UV검출 장치를 이용한 무기성 소독부산물인 아염소산 이온을 선택적으로 정량하기 위한 분석 인자로서 혼합 및 반응코일 길이, 산성 용리액의 pH, 요오드화 이온의 농도, 주입고리부피, 반응 온도, 유속을 최적화 하였다. 조제수로부터 산화제나 방해 물질들을 제거하기 위한 가리움제를 조사하였다. 아염소산 이온에 대한 0.002~0.2 mg/L의 선형 농도 범위에서 검정곡선은 0.999이상의 상관계수를 나타내였다. 아염소산 이온의 검출한계는 0.18 ${\mu}g/L$이었다.

  • PDF

분광광도법 및 전기분석법을 이용한 절연유의 경년열화 진단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ging Diagnosis of Transformer oil by Spectrometric and Electroanalytical Methods)

  • 김경렬;곽희로;윤영자;남궁미옥;이동준
    •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 /
    • 제12권2호
    • /
    • pp.15-20
    • /
    • 1998
  • 본 연구에서는 주상변압기용 절연유를 대상으로 가속 열화 실험을 수행하면서 절연유의 전기적 특성값인 유전정접과 절연유내의 금속의 양과 절연지의 분해로 생성되는 푸루푸랄양을 조사 연구하였다. 유전정접은 절연유에 변압기 구성재료가 모두 포함된 경우에 많은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절연유의 산화에 촉매 작용을 하는 금속의 양을 측정한 결과, 구리의 양은 열화 시간이 지남에 따라서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유전정접과 구리측정값을 비교하여 볼 때 구리측정값이 0.2[ppm] 이상 되면 요주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푸루푸랄의 양을 측정한 결과 열화시간이 지남에 따라서 푸루푸랄의 양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 결과로 볼 때 주상변압기 예방진단기초자료로 충분히 활용할 수 있었다.

  • PDF

TTAB 용액에서 p-브로모페놀의 가용화와 TTAB의 미셀화와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 (Relationship between the Micellization of TTAB and the Solubilization of p-Bromophenol in TTAB Solution)

  • 이병환
    • 대한화학회지
    • /
    • 제57권6호
    • /
    • pp.665-671
    • /
    • 2013
  • TTAB(tetradecyltrimethylammonium bromide)의 미셀화와 그 용액에서 p-브로모페놀의 가용화 현상을 UV-vis 분광광도법을 이용하여 동시에 연구하였다. 열역학적 연구를 위해 온도의 변화가 가용화와 미셀화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p-브로모페놀의 가용화에 대한 ${\Delta}G_s{^o}$${\Delta}H_s{^o}$ 값은 측정범위 내에서 모두 음의 값을 그리고 ${\Delta}S_s{^o}$ 값은 양의 값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TTAB의 미셀화에 대한 ${\Delta}G_m{^o}$ 값은 모두 음의 값을 그리고 ${\Delta}H_m{^o}$${\Delta}S_m{^o}$ 값은 모두 양의 값을 나타내었다. 또한 p-브로모페놀의 가용화와 TTAB의 미셀화에 미치는 n-부탄올과 NaCl의 효과를 조사하였으며, 두 현상의 상관관계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이러한 결과들로부터 p-브로모페놀이 미셀의 어느 부분에 가용화되는지를 확인할 수 있었다.

한개의 산소다리를 가진 몰리브덴 (V) 착물의 산소고리화반응 (I). 아세톤 수용매에서 용매물과 $[Mo_2O_3(bipy)_2(NCS)_4]$ 의 반응 (Oxygen Ring Formation Reaction of Monoxo-Bridged Binuclear Molybdenum (V) Complexes (I). Reaction of $[Mo_2O_3(bipy)_2(NCS)_4]$ with Solvent Water in Aqueous Acetone Mixture)

  • 오상오;권진기;김창수
    • 대한화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345-351
    • /
    • 1986
  • 아세톤수용액에서 한개의 산소가 다리로된 이핵물리브덴(V)착물인 $[Mo_2O_3(bipy)_2(NCS)_4]$는 이옥소다리이핵몰리브덴(V)착물인 $MoO_4(bipy)_2(NCS)_2$를 생성한다. $[Mo_2O_3(bipy)_2(NCS)_4]$에서 $MoO_4(bipy)_2(NCS)_2$로 바꾸어 지는 속도는 분광광도법으로 측정하였다. 용매 물과 이옥소다리이핵몰리브덴(Ⅴ)착물의 생성속도는 속도법칙, 속도= k$[Mo_2O_3(bipy)_2(NCS)_4]\;[H_2O]$에 따른다. 이옥소다리착물의 생성반응메카니즘에 대해서 논의된다. 관찰된 음의 활성화부피는 착물이 용매분자를 전이상태에서 강하게 당길 것으로 보인다.

  • PDF

아쿠아옥소몰리브덴(IV) 삼합체 착물과 티오시안산이온과의 반응에 대한 속도와 메카니즘 (Rates and Mechanism of the Reaction of Aquaoxomolybdenum(IV) Trimer with Thiocyanate)

  • 김창수;이중호
    • 대한화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527-533
    • /
    • 1987
  • 아쿠아옥소몰리브덴(IV) 삼합체와 티오시안산이온과의 착물생성반응에 대한 속도론적 연구를 분광광도법으로 행하였다. 이 반응의 관찰된 속도상수, $k_{obsd}$는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k_{obsd}\;=\;{k_O + k_H[H^+]^2}(SCN^-) + k_r$. 이온세기가 2.30이고 온도가 25$^{\circ}$C일때 $k_f$$k_r$의 값은 각각 $(3.78 {\pm} 0.61) {\times} 10^{-4}M^{-1}s^{-1}$$(6.93 {\pm} 2.39) {\times} 10^{-4}s^{-1}$이다. 활성화파라미터는 ${\Delta}H^*\;=\;50.71{\pm}6.91 kJmol^{-1}$이고 ${\Delta}S^*\;=\;-121.65JK^{-1}mol^{-1}$이다. 이 반응의 메카니즘에 대하여 논의된다.

  • PDF

N-(5-phenyl-1,2,4-Oxadiazol-3-yl)-N'-arylformamidine의 Mononuclear Heterocyclic Rearrangement반응에 대한 반응속도론 (제1보) (Kinetics for Mononuclear Heterocyclic Rearrangement of N-(5-phenyl-1,2,4-oxadiazol-3-yl)-N'-arylformamidine (I))

  • 황정의;정종재;윤영주
    • 대한화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301-310
    • /
    • 1988
  • Dioxane/water (50 : 50, v/v) 용매 중에서 N-(5-phenyl-1,2,4-oxadiazol-3-yl)-N'-arylformamidine의 mononuclear heterocyclic rearrangement반응에 대한 속도를 분광광도법으로 측정하였다. pH에 따라 두가지의 다른 반응경로, 즉 pH에 무관한 경로와 pH에 의존하는 경로가 있음을 알았다. pH에 무관한 경로에서는 치환기효과를 IYT식으로 해석한 결과 질소-질소 결합의 형성이 우세하지만 질소-수소 결합도 약간 절단된 전이상태를 가진다고 결론지을 수 있었다. 한편 pH에 의존하는 경로에서는 위로 오목한 Hammett plot를 나타냈으며, 이는 전이상태에서 전자를 미는 치환기의 경우에는 질소-질소 결합의 형성이 질소-수소 결합의 절단보다 진전되어 있고 전자를 당기는 치환기의 경우에는 질소-수소 결합의 절단이 질소-질소 결합의 형성보다는 약간 더 진전되어 있기 때문으로 결론지을 수 있었다.

  • PDF

지시약 적정법 및 분광광도법에 의한 양이온 고분자 전해질의 전해밀도 정량 (Charge Determination of Cationic Polyelectrolytes by Visual Titrimetry and Spectrophotometry)

  • 이민규;김상규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4권6호
    • /
    • pp.525-532
    • /
    • 2005
  • Polyelectrolyte titration, which was called colloid titration is based on the stoichiometric reaction between oppositely charged polyelectrolytes, This can be used, for instance, to determine the charge density of a cationic polyelectrolyte, using an anionic polyelectrolyte of known charge density, such as potassium polyvinyl sulfate (PPVS). The technique requires a suitable method of end-point detection and there are several possibilities. In this work, two methods have been investigated: visual titrimetry based on the color change of a cationic dye (o-toluidine blue, o-Tb) and spectrophotometry based on the absorbance change corresponding to the color change of the same dye. These have been applied to several cationic polyelectrolytes with different charge density and molecular weight. In all cases, the cationic charge was due to quaternary nitrogen groups. In the case of cationic dye, it was shown that the sharpness depends on the charge density of cationic polyelectrolyte. With the polyelectrolytes of lower charge density, the binding to PPVS is weaker and binding of the dye to PPVS can occur before all of the polyelectrolyte charge has been neutralized. However, by carrying out titrations at several polyelectrolyte concentrations, good linear relationships were found, from which reliable charge density values could be derived. Effects of pH and ionic strength were also briefly investigated. For cationic polyelectrolytes (copolymers of acrylamide and dimethylaminoethy] acrylate), there was some loss of charge at higher pH values, probably as a result of hydrolysis. Increasing ionic strength causes a less distinct color change of o-Tb, as a result of weaker electrostatic interac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