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부호이론

Search Result 162,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부호이론의 개념 선형부호편

  • 이만영
    • The Magazine of the IEIE
    • /
    • v.11 no.1
    • /
    • pp.11-18
    • /
    • 1984
  • 부호이론(coding theory)은 그 내용이 매우 광범위할 뿐 아니라 군론, 환론, 본론 등 축예대수학과 확율론 및 수리통계학을 배경으로 발전된 학문이기 때문에 일반 속자를 상대로 논술하기에는 적지 않은 난점이 있다. 그렇다고 단순히 용어나열에만 그칠 수도 없고, 이론에 치중한 논문식으로 쓸수도 없으므로 대학 4년생을 위한 강의수준으로 소개하겠으며 3회에 걸쳐 선형부호(linear code), 순회부호(cyclic code), 길쌈부호(convolutional code)의 순으로 연재하기로 하겠다.

  • PDF

A New Hangul Jamo Morse Code According to The Variable Length Coding Theory and Dichotomic Search Method (가변길이부호화이론과 이분검색법을 적용한 새로운 한글자모 모르스 부호)

  • Hong, Wan-Pyo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 /
    • v.13 no.4
    • /
    • pp.803-812
    • /
    • 2018
  • The Morse code was firstly used for a wire telegraph service on May 1884 in USA. After about 10 years Korean researchers developed the Morse code in 1884 and the Morse code was firstly introduced in Korea for the wire telegraph service in September 1885. For about 130 years later, the Hangul Jamo Morse code has been used without any serious modification up to now. The Morse code is the variable length code system which each codes have a different code length. The related reference shows that English alphabet Morse code was applied in the coding theory. However, a result of analysis showed that the Hangul Jamo Morse code was not applied in the coding theory as the english alphabet code system. This paper presents the analysis result of Hangul Jamo Morse code according to the variable length coding theor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when Hangul Jamo are coded with application of the variable length coding theory, the transmission data rate could be increased up to 25% compare to the existing code system. This paper shows a new Hangul Jamo Morse code system based on the analysis result.

부호이론의 개념 길쌈부호편

  • 이만영
    • The Magazine of the IEIE
    • /
    • v.11 no.3
    • /
    • pp.47-58
    • /
    • 1984
  • 본지 2, 3월호에서 구술한 블록부호(선형부호 및 순회부호)에 이어 이번 호에서는 대합부호, 즉 길쌈부호(convolutional code)에 대해 기술하고자 한다. 길쌈부호는 그 부호법 중 역차 및 최근부호에 있어 그 구조적 표현이 대수학적(algebraic)이라기 보다는 오히려 위상학적(topological)이라는 점에서 주목할만한 특징을 지니고 있다. 길쌈부호를 응용한 예로는 1977년 NASA에 실시한 Voyager 우주탐사계획을 들 수 있다. 화성(Mars), 목성(Jupiter) 및 토성(Saturn) 등에서 일연의 과학 data 수집을 목적으로 했던 이 계획은 NASA소관 California공대 JPL연구소에서 개발한, 기억소자가 6단인(3, 1) 길쌈부호의 CODEC을 사용하였다.

  • PDF

Rate-Distortion Characteristics in Low Bit-rate Video Coder (낮은 비트율 동영상 부호기의 율-왜곡 특성)

  • Hwang, Jae-Jeong;Jee, Seok-Sang;Huh, Young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26 no.3B
    • /
    • pp.295-301
    • /
    • 2001
  • 전송과정에서 발생하는 왜곡량에 따라 전송률의 하한이 결정되는 율-왜곡 이론은 시간적으로 민감한 부분을 왜곡없이 부호화하여 전송하는 영상 시스템에서 기본이 되는 중요한 요소이다. 율-왜곡 이론은 정보량의 개념으로부터 시작되어 원 신호의 확률분포와 왜곡의 측정기준에 의해 결정되는데, 이 논문에서는 가우시안과 라플라시안 분포함수에 절대치 오차기준과 자승 오차기준을 적용하여 율-왜곡 함수를 각각 구하였다. 나아가서 저전송률 부호기로 개발된 H.263 부호기에 이 함수를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비교를 위해 자승 오차기준에 위한 이론치와 실제 측정치를 제시하였다. H.263 부호기는 엔트로피 부호화, 부호화를 블록 패턴 등 다양한 기법을 사용하여 율-왜곡 함수에 의한 이론치보다 주어진 MSE에서 정규화 비트율이 최대 0.55만큼 더 낮은 전송률을 얻을 수 있었다.

  • PDF

부호이론의 개념 순회부호편

  • 이만영
    • The Magazine of the IEIE
    • /
    • v.11 no.2
    • /
    • pp.1-11
    • /
    • 1984
  • 본 지 2월호에서 구술한 선형부호에 이어 이번호에서는 순회부호에 대해 기술하고자 한다. 선형블럭부호중 중요한 부류에 속하는 순회부호(cyclic code)는 그 내용이 대수적 구조를 갖고 있어 부호화 회로는 물론 부호에 필요한 오증(syndrome)계산회로 등 귀환연결이 있는 치환레지스터(shift register)를 사용한 장치화(implementation)가 매우 용이하다는 이점이 있다. 이런 순회부호는 산발오진(random error)뿐 아니라 연집오진(burst error)도 정정할 수 있는 매우 효과적인 부호로서 다중오진정정능력(multiple error correcting capability)을 갖는 BCH부호도 순회부호의 일종이다.

  • PDF

푸슈킨-체비쇼프-마코프-콜모고로프-펠레만,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 : 2011 IEEE 국제 정보 이론 심포지엄

  • Lee, Mun-Ho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28 no.9
    • /
    • pp.84-95
    • /
    • 2011
  • 2011년 IEEE 국제 정보 이론(ISIT) 심포지엄 (Symposium) 이 7월 31일부터 8월 5일까지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St. Petersburg)에서 열렸다. 본 심포지엄에는 총 1,562편의 논문이 수락되어, 논문 수락율이 약 60%로 높지만, 최고 수준의 심포지엄으로, 1,500여명의 학자들이 참여했으며, 학문적으로 정보 이론의 핵심인 체비쇼프 다항식, 마코프 확률 연쇄, 콜모고로프 엔트로피, 페렐만의 푸앵카레 추측 증명 등, 학문의 원천 아이디어 발상에 대해 고찰하고, 최근 뜨거운 감자로 떠오른 극 부호(Po1ar code)를 간단히 소개했다. 또한, 우리 전통 문화 유산인 제주 정낭을 채널 부호의 관점에서 해석, 이에 따른 채널 용량을 구했고, 제주 정낭이 오늘날 중계망(Relay network)의 모태임을 증명했다.

Design and Reduction of Check Bits of Single Error Correcting Code (단일 오류정정부호의 설계와 검사어 압축)

  • Cho, Sung-Jin;Hwang, Yoon-Hee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4.05a
    • /
    • pp.1209-1212
    • /
    • 2004
  • 현대사회에서 정보 전달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부호이론에 대한 연구가 빠른 속도로 진척되었다. 따라서 잡음이 있는 통신로를 통하여 정보를 전송하고자 할 때 발생하는 오류를 정정하는 오류정정부호 장치가 필요하게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특별한 행렬을 이용하여 보내고자 하는 정보를 단일 오류정정 부호로 부호화, 복호화하고, 또 부호화과정에서 검사어를 압축하는 방법을 고안한 것이다.

  • PDF

Correlation Property of Encrypted Spreading Code for Design of LPI Applied GNSS Signal (저피탐 위성항법 신호 설계를 위한 암호화된 확산부호의 상관 특성에 관한 연구)

  • Park, Ki-Hyeon;Song, Min Kyu;Song, Hong-Yeop;Lee, Jang-Yong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40 no.2
    • /
    • pp.264-272
    • /
    • 2015
  • In this paper, we analyze the statistical characteristic and describe the anti-interference performance of the signal for the LPI-applied GNSS using encrypted spreading code. To do this, we analyze the correlation property of encrypted sequences theoretically having various symbol sets over complex root of unity. We derive the degradation of anti-interference performance of encrypted sequences comparing with Gold and Zadoff-Chu sequences using theoretical and experimental methods.

A Proposal for Revising Hangeul Morse Code (한글 모오스부호의 개선에 대한 방안)

  • 이균하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2 no.1
    • /
    • pp.29-34
    • /
    • 1977
  • This paper points out that the current Hengeul Morse Code is not reasonable in view of information theory. Based on the statistics on Hangeul investigated in 1973, this paper proposes a Hangeul Morse Code with care to handling two compound characters as source symbols and considers its effect on transmission speed. Thus the transmission speed of revised Hangeul Morse Coda is improved about 21% with compare to that of current one.

  • PDF

한국통신학회 부호및정보이론 연구회 20년 회고

  • Song, Hong-Yeop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33 no.10
    • /
    • pp.71-75
    • /
    • 2016
  • 본 원고는 한국통신학회 부호 및 정보이론 연구회 창립 20주년을 맞이하여 개최된 기념 워크숍에서 발표한 내용을 중심으로, 초창기 설립과 관련된 이야기와 지난 20년의 다양한 학술활동 통계를 간략히 정리한 결과이다. 올해의 기념 워크숍은 IEEE Information Theory Society에서 주관하여 전 세계적으로 다양하게 개최되는 Shannon의 100주년 생일을 기념하여 벌어지는 Shannon Centennial을 겸하여 개최되었다. 본 연구회와 IEEE Information Theory Society와의 관계도 간략히 요약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