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부하선로형 위상변위기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17초

p-I-n 다이오드를 이용한 마이크로파 위상변위기 설계 (Design of the microwave phase shifter using p-i-n diodes)

  • 최재연;이상설
    • 한국전자파학회지:전자파기술
    • /
    • 제6권2호
    • /
    • pp.3-10
    • /
    • 1995
  • p-i-n 다이오드를 이용한 위상변위기를 설계하고, 그 특성을 해석하였다. 큰 위상변화는 가변선로형 위상변위기와 하이브리드 브랜치라인위상변위기로 실현하고, 작은 위상변화는 부하선로형 위상변위기로 실현하였다.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중심주파수 3.2GHz에서 좋은 위상변화특성이 유지됨을 확인하였고, 실제 제작된 위상변위기 특성도 이론치에 매우 근사하게 나타났다.

  • PDF

RADANT 렌즈의 이론적 설계에 관한 연구 (A Theoretical Design of RADANT Lens)

  • 이기오;박동철
    •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360-367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위상배열시스템에 적용 가능한 RADANT 위상 스캐닝 개념과 전송선 타입의 부하선로(Loaded Line) 위상변위기 개념에 대하여 고찰하고, 이 두가지 개념을 결합시켜 전자적으로 빔 조향이 가능한 새로운 형태의 RADANT 렌즈를 설계하기 위한 이론적 방법을 제시한다. 제시된 이론적 방법은 간단한 회로 시뮬레이션 결과를 통하여 RADANT 렌즈의 구현 가능성이 확인되었다.

12 GHz대 능동 위상 배열 안테나 시스템을 위한 5-비트 디지털 위상 변위기 (5-Bit Digital Phase Shifter for 12 GHz Band Active Phased Array Antenna System)

  • 김경식;최익권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13권3호
    • /
    • pp.308-315
    • /
    • 2002
  • 12 GHz 대역 미국의 위성 방송을 이동중인 차량내에서 수신하기 위한 능동 위상 배열 안테나 시스템용 5-비트 디지털 위상 변위기를 총 10개의 InGaAs HEMT를 가지고 설계, 제작하였다.. 11.25$^{\circ}$,22.5$^{\circ}$,45$^{\circ}$의 위상 비트들은 부하 선로형 방식으로, 90$^{\circ}$, 180$^{\circ}$의 위상 비트들은 링 하이브리드와 결합된 반사형 방식으로 각각 설계, 제작하였으며 각 위상 비트당 2개의 InGaAs HEMT를 사용하였다. 제작된 5-비트 위상 변위기는 12.2 GHz~12.7 대역에서 2개의 위상 응답에 대하여 17.5 ㏈ 이상의 반사 손실, 7.8 ㏈ 이하의 삽입 손실 및 초대 $\pm$6$^{\circ}$의 위상 오차가 측정되었다.

준밀리미터파대 위성통신용 4-bit 디지털 위상변위기의 설계 (Design of a 4-bit Digital Phase Shifter in Quasimillimeter Wave Band for Satellite Communication)

  • 신동환;임인성;김우재;민경일;오승엽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10권3호
    • /
    • pp.461-470
    • /
    • 1999
  • 준밀리미터파 위성통신 수신용 단말기에 사용되는 위상 배열 안테나에서 안테나 각각의 소자들에 위상차를 주기 위해 사용되는 20 GHz 대역 4-bit 디지털 위상변위기를 pin 다이오드를 이용하여 설계, 제작하였다. 180$^{\circ}$와 90$^{\circ}$위상차를 얻기 위해 링 하이브리드를 이용한 반사형 위상변위기를 설계 제작하였고, 45$^{\circ}$와 22.5$^{\circ}$위상변위기는 부하 선로형으로 설계 제작하여 가장 적은 수의 개수인 8개의 pin 다이오드를 이용하여 위상변위기를 구현할 수 있었다. 제작된 위상변위기는 중심주파수인 20GHz에서 16개의 위상 비트의 평균 위상 오차가 3$^{\circ}$, 최대 위상 오차 6.2$^{\circ}$, 그리고 평균 삽입 손실 6.92dB인 측정 결과를 나타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