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부하분배모형

Search Result 7,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Reliability estimation for shared load model with guarantee time under censoring scheme (중도절단계획 하에서 보증시간을 가지는 부하분배모형의 신뢰도추정)

  • Cha, Young-Joon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20 no.3
    • /
    • pp.467-474
    • /
    • 2009
  • There are many situations arising in reliability engineering and biomedical science where failure of a subsystem increases the failure rate of other subsystem under shared load models. In this paper, the maximum likelihood estimates and the modified maximum likelihood estimates of mean time to failure and reliability function for shared load model with guarantee time are obtained by using censored system life data. Some illustrative examples are included.

  • PDF

Modeling the impact of land use change on Fecal Indicator Bacteria basin-scale transfers: assets and limitations from the SWAT model (토지이용변화에 따른 박테리아 거동 모의: SWAT 모델의 한계점과 개선점을 중심으로)

  • Kim, Min-Jeong;Jo, Gyeong-Hwa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49-49
    • /
    • 2018
  • 라오스의 Houay Pano 유역은 상업적 조림으로 인해 2011년부터 2013년까지 급속한 토지이용 변화를 겪어왔다. 본 연구는 이러한 토지이용변화가 박테리아 거동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이해하기 위해 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 (SWAT) 모형을 활용한 박테리아 거동 모델링을 수행하였다. SWAT 모형은 수치 표고 모델, 토양 특성, 토지 이용 등의 정보를 종합하여, 유역 내수량 및 수질의 변화를 모의할 수 있는 모형으로, 본 연구는 대표적인 분원성 지표 세균 (Fecal Indicator Bacteria)인 대장균 (Escheichia coli, E. coli)을 대상으로 모델링을 수행하였다. SWAT 모형은 지표면 위 박테리아를 1)식물 위, 2)토양 용액상, 3)토양 입자상으로 구분하여 모의한다. 각 상태로 분할된 박테리아는 소멸 (die-off), 씻김 (wash-off), 침투, 표면 유출을 통한 수계로의 이동 등의 단계를 통하여 유역 내에서 거동한다. 본 연구는 서로 다른 기후의 영향을 배제하기 위해 각 토지이용 시나리오를 (2011, 2012, 2013) 실제 기후 조건과 동일 기후(2011-2013 평균) 조건으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실제 기후 조건에서 SWAT 모형은 표면 유출, 토사 유출, E. coli 거동에 대해 2011년부터 2012년까지 감소, 2012년부터 2013년까지 증가로 모두 동일한 양상을 모의하였다. 이는 강수량의 양상과 동일한 것으로, 강수량이 표면 유출의 양을 결정하고, 달라진 표면 유출에 따라 토사 유출과 E. coli 거동이 결정되기 때문이다. 하지만 동일 기후 조건에서는, E. coli 거동 동인인 표면 유출과 토사 유출이 비교적 일정해짐에 따라, 각 상태로 분할된 박테리아의 초기 부하량값이 E. coli 거동을 결정하는 주된 요인임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따라서 초기 부하량 분할에 활용되는 엽면적 지수 (Leaf Area Index)와 분배계수 (BACTKDDB)의 정확도가 요구된다. 추가적으로 본 연구는 박테리아의 유입원인 비료 모델링과, LAI를 활용한 박테리아 초기 부하량 산정, 토양 특성 변수와 토지 이용 변수의 분리, 지하수를 통한 박테리아 거동 등을 중심으로 SWAT 모형의 한계점과 개선점을 제시하였으며, 본 연구 결과는 토지이용변화가 박테리아 거동에 주는 영향을 모형적으로 이해하고, 또한 추후 박테리아 모델링 개발에 도움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

  • PDF

Development of fertilizer-distributed algorithms based on crop growth models (작물생육모형 기반 비료시비량 분배 알고리즘 개발)

  • Doyun Kim;Yejin Lee;Tae-Young Heo
    •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 /
    • v.36 no.6
    • /
    • pp.619-629
    • /
    • 2023
  • Fertilizers are crucial for increasing crop yield, but using too much of them without taking into account the nutrients that the crops need can increase costs for farm management and have a negative impact on the environment. Through smart agriculture, fertilizers can be applied as needed at the right time to reflect the growth characteristics of crops, reducing the burden of fertilizer losses and providing economical nutrient management. In this study, we use the total dry weight of field-cultivated red pepper and green onion grown in various growing environments to fit a nonlinear model-based crop growth model using different growth curves (logistic, Gompertz, Richards, and double logistic curve), and we propose a fertilizer distributed algorithm based on crop growth rate.

Estimation of Bivariate Exponential Model under Censored Data

  • Cho, Kil-Ho;Kim, Young-Il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14 no.4
    • /
    • pp.751-758
    • /
    • 2003
  • We consider a life testing experiment in which several two-component shared parallel systems are put on test, and the test is terminated at a predesigned experiment time. The bivariate data obtained from such a system-level life testing can be classified into three cases: 1) the case of failed two components with known failures times, 2) the case of censored two components, and 3) the case of one censored component and the other failed component of which the failure time might be known or unknown. In this thesis, the likelihood estimators for Freund's bivariate exponential life distribution under above censoring scheme are obtained. Results of comparative studies based on Monte Carlo simulation are presented.

  • PDF

Estimation for Block and Basu Model under System Level Life Testing

  • Hwang, In-Sob;Cho, Jang-Sik;Cho, Kil-Ho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18 no.3
    • /
    • pp.637-644
    • /
    • 2007
  • We consider a life testing experiment in which several two component shared parallel system are put on test, and the test is terminated at a pre-designed experiment. The bivariate data obtained from such a system level life testing can be classified into three cases: (1) the case of failed two components with known failure times, (2) the case of one censored component and the other failed component of which the failure time might be known or unknown, (3) the case of censored two components. In this paper, the maximum likelihood estimators of parameters for Block and Basu bivariate exponential model under above censoring scheme are obtained and the results of comparative studies are presented.

  • PDF

Application of the Water Cycle Analysis Model for The Urban Chtahment Using WEP ( : Foucus in Multifuntional Administrative City of Before Developed) (WEP 모형을 이용한 도시 물순환 해석 (개발 전 행정중심 복합도시를 대상으로))

  • Lee, Yong-Jun;Jang, Cheol-Hee;Noh, Seon-Gjin;Kim, Hyeon-J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1264-1269
    • /
    • 2008
  • 최근에 이르러 농촌 인구의 도시유입으로 도시의 주거공간이 절대적으로 부족해지고 있으며, 이는 대도시의 아파트 가격 상승을 유발하는 등 부수적인 사회/경제적 문제를 일으키고 있다. 정부나 지방자치단체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대규모의 신도시 개발계획을 추진하고 있으며, 이러한 신도시 개발은 도시화로 인하여 환경적, 수문학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고 있으며 도시물순환계는 강우가 지표에 도달 한 후 바로 하천으로 유출되는 것과 침투하여 서서히 유출하는 자연경로 그리고 상수도 및 하수도를 통해 하천으로 배수되는 인공적 경로에 의해서 형성된다. 일반적으로 신도시 개발 전후의 수문순환을 평가하는 방법 중의 하나는 개발예정지에 대한 장단기의 수문 관측을 통하여 개발 전과 개발 후의 유출특성과 수질부하를 정량적으로 비교하는 것이다 (한국건설기술연구원, 2004).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행정중심 복합도시 물순환 해석을 하기 위해 대상유역을 100m 크기의 정방형 격자로 구분하고 기상조건, 지표면 조건, 하천, 토양, 지하 대수층, 농업용수 등의 광범위한 입력 자료를 구축한 후 이를 물리적인 기반의 공간분포모형인 WEP 모형에 적용하여 개발 전 홍수 및 유출특성을 규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대상지역에 대한 장기적인 수문모니터링 자료를 바탕으로 1996년에서 2007년 까지 모의 하여 실측자료가 있는 $2006{\sim}2007$년을 대상으로 비교한 결과 일부 갈수기 자료를 제외 하고, 전반적인 높은 상관성을 나타냈다. 하지만 일부 홍수위에서 금강으로 부터의 배수위 영향으로 인한 차이가 발생해 추가적인 검토가 필요하며,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들은 향후 도시유역에서의 수자원 분배와 물자원 관리 등의 적응전략을 수립하는데 있어 본 연구가 도움이 될 것이라고 판단한다.

  • PDF

Assessment of Future Climate and Land Use Change on Hydrology and Stream Water Quality of Anseongcheon Watershed Using SWAT Model (II) (SWAT 모형을 이용한 미래 기후변화 및 토지이용 변화에 따른 안성천 유역 수문 - 수질 변화 분석 (II))

  • Lee, Yong Jun;An, So Ra;Kang, Boosik;Kim, Seong Joon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28 no.6B
    • /
    • pp.665-673
    • /
    • 2008
  • This study is to assess the future potential climate and land use change impact on streamflow and stream water quality of the study watershed using the established model parameters (I). The CCCma (Canadian Centre for Climate Modelling and Analysis) CGCM2 (Canadian Global Coupled Model) based on IPCC SRES (Special Report Emission Scenarios) A2 and B2 scenarios were adopted for future climate condition, and the data were downscaled by Stochastic Spatio-Temporal Random Cascade Model technique. The future land use condition was predicted by using modified CA-Markov (Cellular Automata-Markov chain) technique with the past time series of Landsat satellite images. The model was applied for the future extreme precipitation cases of around 2030, 2060 and 2090. The predicted results showed that the runoff ratio increased 8% based on the 2005 precipitation (1160.1 mm) and runoff ratio (65%). Accordingly the Sediment, T-N and T-P also increased 120%, 16% and 10% respectively for the case of 50% precipitation increase. This research has the meaning in providing the methodological procedures for the evaluation of future potential climate and land use changes on watershed hydrology and stream water quality. This model result are expected to plan in advance for healthy and sustainable watershed management and countermeasures of climate chan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