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부품 분리

검색결과 172건 처리시간 0.024초

체결 및 이탈겸용 4-팁 와셔 부품 설계

  • 김형원;문순일
    • 한국추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추진공학회 1997년도 제9회 학술강연회논문집
    • /
    • pp.19-19
    • /
    • 1997
  • 휴대용 미사일의 1단과 2단 추진기관은 체결부품에 의하여 연결되어 발사관 내에서 운반되어지며, 발사 시 1단 추진기관이 분리되게 된다. 이때에 분리력은 1단 추진기관의 압력에 의하여 제공되고 체결부품인 4-팁 와셔는 어느 압력 이상을 받으면 추진기관의 1단과 2단을 분리한다. 정적시험을 하여 구한 결과를 해석치 와 비교했으며 실제상황에 유사한 동적 시험을 하여 필요한 안전계수를 구하였다.

  • PDF

수소연료전지용 분리판 소재 및 제조공정기술

  • 이창래;양철남
    • 기계와재료
    • /
    • 제21권2호
    • /
    • pp.24-49
    • /
    • 2009
  • 분리판은 수소연료전지 스택을 구성하는 부품 중에서 가장 많은 수량이 사용되는 부품의 하나로서 연료전지의 출력밀도(powder density, W/L), 비출력(specific power, W/kg) 및 가격($/kWe) 관점에서 가능한 저가의 소재 및 제조공정으로 경량/박형화가 이루어져야 하는 핵심부품이다. 이러한 저가의 경량/박형화 분리판 개발의 전제 조건은 연료전지 스택에서 요구하는 다양한 물성, 장기 수명 및 신뢰성을 나타내는 내구성을 만족해야 하는 것이다. 본고에서는 지금까지의 수소연료전지, 특히 고분자전해질 연료전지를 중심으로 분리판에서 사용되는 소재 및 제조공정기술의 현황, 분리판 개발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기술적인 요소 및 그 문제점을 중심으로 살펴봄으로써 고성능, 고내구성 분리판 소재 및 제조공정 개발의 발전방향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 PDF

고분자 복합소재를 이용한 DMFC용 분리판 개발 (Development of Polymer composites Materials for DMFC Bipolar plates)

  • 손동언;심태희;송하영;정은미;신용;황상문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09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60-165
    • /
    • 2009
  • 연료전지 분리판은 연료전지 스택을 구성하는 부품 중에서 가장 많은 수량이 사용되는 부품의 하나로서 연료전지의 출력밀도(Power Density, W/L), 비출력(Specific Power, W/kg) 및 가격($/kWe) 관점에서 가능한 저가의 소재 및 제조공정으로 경량, 박형화가 이루어져야 하는 핵심 부품이다. 이러한 저가의 경량, 박형화 분리판 개발의 전제조건은 연료전지 스택에서 요구하는 다양한 물성, 장기수명 및 신뢰성은 나타내는 내구성을 만족해야 하는 것이다. 이렇듯 연료전지 분리판은 다음과 같은 요구 조건을 만족해야 한다. 높은 전기전도도, 전기화학적 부식 저항성, 화학적 안전성, 가스 기밀성, 기계적 강도 및 가공성 등이라 하겠다. 본 연구에서는 분리판의 요구 조건을 만족할 수 있는 분리판을 제작하기 위하여 고분자 복합소재(PCB; Printed Circuit Board)를 이용하여 전기도금을 통해 Cu/Au(1st PCB 분리판)과 Cu/Ni/Au(2st PCB 분리판)을 코팅하여 분리판을 제작하였다. 제조된 분리판을 이용하여, 접촉저항, 부식특성, 가스 기밀성, 기계적 강도를 분석하였으며, 단위전지를 제작 하여 상용 Graphite 분리판과 성능을 비교분석하였다.

  • PDF

Pyramid pooling을 이용한 CNN 기반의 Human Parsing 기법 (CNN-based Human Parsing Technique Using Pyramid Pooling)

  • 최인규;고민수;송혁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2018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97-98
    • /
    • 2018
  • 최근 딥러닝 기술의 발전으로 영상 분류 및 영상 내 객체 검출뿐만 아니라 CNN 기반의 segmentation 기술도 개발되어 다른 요소까지 포함한 직사각형 영역의 검출 영역이 아닌 경계까지 고려한 분리가 가능하게 되었다. 더불어 사람 영역을 신체부위나 의류 부분과 같은 세부 영역으로 나누어 분리하는 human parsing 기술까지 연구되고 있다. Human parsing은 의류스타일 분석 및 검색, 사람의 행동 인식 및 추적과 같은 분야에도 응용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Spatial pyramid pooling layer를 이용하여 영상 전체에 대한 공간적 분포 및 특성 정보를 고려한 human parsing 기법을 제안한다. Look into person(LIP) dataset을 이용하여 기존의 다른 segmentation 및 human parsing 기법과 제안하는 기법을 비교하여 제안하는 기법의 human parsing 결과가 보다 정교한 분리가 가능한 것을 확인하였다.

  • PDF

경사면 위에서 작은 정다각형 부품의 구름 거동 (The Rolling Behavior of a Small Regular Polygonal Part on an Inclined Plane)

  • 한인환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30권11호
    • /
    • pp.1461-1471
    • /
    • 2006
  • This paper presents the mathematical model for rolling behaviors of a small regular polygonal part on an inclined plane. Throughout the numerical analysis performed with the simulation program which has been experimentally validated, it is shown that the number of edges of the rolling polygonal part can be a measure for the energy dissipation rather than the coefficient of friction. The appropriate slope angle has been found to be around 20 degree for roughness-separation as well as shape-separation of polygonal parts which have small number of edges. In additions, the vibratory motion applied to the inclined plane is able to cause mixed parts to be separated more effectively according to the shape or the roughness. Finally, a couple of parts separation method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are presented, and are validated through the numerical simulation.

열가소성 고분자 복합재료의 성형에 있어서 섬유의 분리 및 배향

  • 김이곤
    • 기계저널
    • /
    • 제32권1호
    • /
    • pp.39-45
    • /
    • 1992
  • 고분자 복합재료를 성형할 때 발생하는 두가지 문제점은 섬괘의 분리와 배향이다. 이 분리 및 배향은 성형조건, 섬괘의 구조 등에 의해서 영향을 받고 이 분리 . 배향을 성형 조건, 재료 등과 관련시켜서 명확히 하는 것은 복합재료의 설계, 복합재료의 부품설계, 신복합재료의 개발에 매우 중요하다. 또 이 분리와 배향은 별개의 것이 아니라 불가분의 관계가 있으며, 분리를 표현하는 불균질도라 배향의 정도를 나타내는 배향함수의 상관관계로부터 복합재료의 설계에 지침을 줄 수 있다고 생각된다.

  • PDF

로켓 노즐 내열부품용 탄소-페놀 복합재 적층링의 열기계적 거동에 대한 3차원 유한요소 해석 (3-D finite Element Analysis for Thermo-Mechanical Behavior of Laminated Carbon-Phenolic Composite Ring for Rocket Nozzle Insulator)

  • 이선표
    • 한국추진공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47-53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탄소-페놀 복합재로 제조된 로켓 노즐 내열부품의 고온에서의 거동을 3차원 축대칭 유한요소 모델을 사용하여 해석하였다. 실제 작동 조건을 사용하여 카울 영역의 적층링을 해석한 결과 층각도, 축방향 치수, 경계조건은 적층링 내부의 응력 분포에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링과 링 사이의 접합부분에서 모서리 탈락 현상의 전조 현상인 층간분리가 발생한다. 분리현상 이후에는 층각도 방향 전단응력과 축방향 압축응력에 의해 탈락 현상이 발생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염화주석용액을 이용한 폐인쇄회로기판으로부터 부품의 분리 (Dismantling of Components from Waste Printed Circuit Boards Using Stannic Chloride Solution)

  • 박유진;유경근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30권2호
    • /
    • pp.24-30
    • /
    • 2021
  • 폐인쇄회로기판으로부터 부품을 분리하기 위하여 4가 주석이온 (Sn4+)을 포함한 염산용액을 이용하여 탈착실험을 진행하고, 부품탈착에 대한 교반속도, 반응온도, 4가 주석이온농도, 염산용액농도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100 rpm~300 rpm의 교반속도에서 PCB로부터 부품의 탈착속도는 큰 차이가 없었으며, 반응온도, 4가 주석이온농도, 그리고 염산용액농도를 증가시킴에 따라 탈착속도도 증가하였다. 모든 부품 탈착실험에서 탈착율이 100%에 도달하였을 때 기판에서 솔더는 관찰되지 않았으며 주석농도는 약 1,500 mg/L였다. 10,000 mg/L의 4가 주석이온을 포함한 1 mol/L의 염산용액에 폐하드디스크 PCB 1개를 투입하고, 교반속도와 반응온도를 각각 200 rpm과 90 ℃로 조정한 탈착실험에서 PCB로부터 부품의 탈착은 2시간만에 100% 완료되었다.

노트북 인쇄회로기판 전자부품으로부터 탄탈럼의 분리 (Separation of Tantalum from Electronic Components on Laptop Printed Circuit Board Assembly)

  • 권석제;박승수;김성민;조아람;송유진;박풍원;박재구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25권1호
    • /
    • pp.24-30
    • /
    • 2016
  • 노트북 실장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 Assembly, PCBA)으로부터 탄탈럼을 회수하기 위한 선별실험을 실시하였다. 우선 노트북 실장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된 전자부품(Electronic Components, ECs)을 자체개발한 실험장치를 이용하여 기판으로부터 분리하였다. 분리된 전자부품을 체분리하여 -6.35+2.80 mm구간에서 전체 탄탈럼 캐퍼시터의 약 93.2 wt.%를 회수할 수 있었다. 회수된 탄탈럼 캐퍼시터를 해머밀로 분쇄 후, 자력선별기를 통해 자력세기 300 가우스에서 분쇄물 중의 전극을 제거하였다. 전극이 제거된 자력선별 산물을 대상으로 넬슨 선별기(Knelson concentrator)를 이용한 선별 실험 결과 Bowl의 회전수 200 rpm, 유동층수 유량 7 L/min에서 76.9%의 최대 선별효율을 보였으며, 이때 품위 및 회수율은 각각 약 81.1%, 약 78.8%를 나타내었다.

고분자형 연료전지 스택 및 부품의 현황

  • 홍병선
    • 한국에너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에너지공학회 2003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265-288
    • /
    • 2003
  • PEMFC의 스택은 MEA와 분리판 및 스택 기술의 결합으로 제조, MEA분야는 현재의 기술로 상용화가 충분하며 가격저감을 위해서는 생산기술과 시장확대가 필요함, MEA의 성능, 내구성 향상에 필요한 혁신적이 기술의 핵심을 이온전도막 임, 분리판은 스택기술과 소재기술의 결합으로, 요소기술적인 문제보다는 사업자의 출현으로 생산기술을 확보하는 것이 필수적임(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