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부착 강도

검색결과 1,414건 처리시간 0.033초

섬유보강 고성능시멘트계 그라우트가 적용된 강관 연결부의 부착특성에 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Bonding Characteristic of Steel Tubular Joint Connection filled with Fiber Reinforced High Performance Cementeous Grout)

  • 오홍섭;서교;김상현;고상진;이현기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18권6호
    • /
    • pp.21-29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모노파일지지구조의 고성능 그라우트연결부의 부착거동을 다루고 있다. 강관파일 연결부의 일체화를 위하여 섬유보강 고성능 그라우트를 개발하였으며, 재령 7일 압축강도 125MPa와 직인장강도 7.5MPa를 나타내었다. 축하중을 받는 상태에서의 그라우트의 부착거동을 평가하기 위하여 강관파일에 그라우트를 충진하여 부착실험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기존의 설계기준과 분석하였다. 실험변수는 섬유혼입율 (0%, 0.5% and 0.9%), 섬유의 형상비 (60 and 80)와 전단키의 높이와 간격의 비 (0.013 and 0.056)로 선정하였다. 실험결과 최대부착강도는 30.8MPa로 관찰되었으며, 섬유 혼입율보다는 전단키의 높이와 간격의 비가 부착강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반복하중하의 부착응력-슬립 관계에 미치는 철근 부식의 영향 (An Effect of Steel Corrosion on Bond Stress-slip Relationship under Repeated Loading)

  • 김철민;박종범;장승필;김지상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2권2호
    • /
    • pp.179-186
    • /
    • 2010
  • 철근과 콘크리트의 부착은 콘크리트와 철근의 일체거동에 의한 안전성 확보를 위해서도 필요하지만, 적정수준의 연성을 확보하여, 부재의 거동을 조절하기 위해서도 필요하다. 현재까지 반복하중 하에서의 부착응력-슬립관계에 대한 연구는 진행되어 왔으나, 철근 부식이 이루어진 경우의 반복하중 하에서의 부착응력-슬립관계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부식된 철근의 부착 실험을 통하여 단조하중과 반복하중 하에서의 부식률에 따른 부착응력-슬립 관계를 살펴보았다. 실험결과로부터 철근 부식은 할열 균열이 발생하기 전까지는 단조하중에서의 부착강도를 증가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반복하중 횟수와 반복하중 하에서의 슬립 및 잔류슬립을 이중로그스케일로 도시한 결과, 철근 부식이 있는 경우에도 철근 부식이 없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선형 관계임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부식에 의한 균열이 발생하지 않는 한, 철근 부식이 반복하중 재하 이후의 부착강도 및 부착강도에서의 슬립 등 부착 특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철근 부식으로 인한 균열이후에서의 응력수준에 따른 피로수명은 급격히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에서 제시하는 철근 부식을 고려한 반복하중 하에서의 부착응력-슬립의 관계는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내구수명 예측 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인력 발전 장치를 이용한 운동 활동을 반영하는 기능성 게임 환경 구성 (Implementation of Serious Game Environment to Reflect Exercise using Human Power Generation System)

  • 이경호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1년도 제43차 동계학술발표논문집 19권1호
    • /
    • pp.175-178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인력 발전 장치를 사용하여 운동 활동을 반영하는 기능성 게임 환경을 구성하였다. 이 게임 환경은 다양한 운동을 할 수 있는 장치와 인력 발전 장치, 운동 강도 조절 장치, 운동 활동 측정 장치, 그리고 컴퓨터와 연결되는 통신 장치로 구성되어 있다. 전신 운동을 할 수 있는 다양한 운동 장치는 하체 운동을 위한 헬스 자전거와 이 자전거의 뒷부분에 두 가지 상체 운동을 할 수 있는 구조를 구성하여 부착하고, 각 힘점마다 발전기를 부착하였다. 그리고 회로 보드와 논리 프로그램을 구성하여 힘점에 부착된 발전기를 통하여 운동 강도 조절과 운동량을 측정하고, 컴퓨터와 통신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 PDF

반복하중시 철근의 마디형태에 따른 부착특성 (Effects of Bar Deformation on Bond between Reinforcing Steel and Concrete Subjected In Cyclic Loading)

  • 최완철;이재열;이웅세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13권3호
    • /
    • pp.244-250
    • /
    • 2001
  • 지진하중이 작용할 때,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에서 취성파괴의 원인은 철근과 콘크리트사이의 과도한 부착손실에 기인한다. 본 연구에서는 반복하중 작용시에 철근의 마디형태에 따른 부착성능의 영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철근의 마디높이에 변화를 주어 상대마디면적에 변화를 주었고, 횡구속철근양에 변화를 주었다. 단조가력시 횡구속이 증가할수록 부착력도 증가하며 상대마디면적의 증가에 따라서도 약간의 강도변화가 발생하였다. 단조가력시에 비해서 반복가력시에 상대마디면적이 증가할수록 부착력 증가가 더욱 커지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반복가력시 상대마디면적의 증가에 따른 부착강도의 증가가 횡구속 철근이 있을 때 더욱 뚜렷하게 나타났다. 반복가력시 일정한 슬립에서 반복횟수가 증가할수록 강성은 떨어졌으나, 상대마디면적 증가에 따라 부착슬립량의 감소도 크게 발생했다. 따라서 지진과 같은 반복가력시 상대마디면적이 큰 철근을 사용함으로서 더 작은 슬립으로 더 큰 부착강도를 발휘하게 되어 구조물의 내진성능을 개선시킬 수 있겠다.

CFT 기둥의 부착응력에 관한 연구 (Bond Stress in Concrete Pilled Steel Tubular Column)

  • 권승희;김진근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13권2호
    • /
    • pp.93-98
    • /
    • 2001
  • CFT 기둥은 탁월한 구조적 성능을 발휘하는데, 이는 강관과 콘크리트의 복합거동에 기인하는 것이다. 이러한 CFT 기둥의 거동을 예측하기 위해서는 강관과 콘크리트 사이의 부착거동을 파악해야 한다. 그러나 이형철근을 대상으로 한 대부분의 기존 모델식은 CFT 기둥에 적용할 수 없으므로, 새로운 모델식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논문의 목적은 구속압이 발현된 상태의 CFT 기둥에서 콘크리트와 강관의 부착응력과 수직응력의 관계, 기둥단면에서의 응력 분포도를 고려한 부착거동에 관한 모델식의 개발이다. 평형조건으로부터 콘크리트와 강관의 부착응력과 수직응력의 관계를 유도하였으며, 이차원 문제의 Airy 응력함수(stress function)로부터 CFT 기둥 단면에서의 횡방향 응렬 관계를 파악하였다. 그리고 5개의 CFT 기둥 실험체에 대해 콘크리트에만 하중을 가하는 실험을 실시하였고, 측정된 변형률로부터 회귀분석의 방법을 통해 부착강도와 횡방향 구속압의 관계를 파악하였다. 이로부터 새로운 부착강도 모델식을 제안하였으며, CFT 기둥에서 콘크리트만 가압한 경우의 각 방향 응력관계를 파악하였다.

면내 거셋 용접연결부의 피로강도 (Fatigue Strength of In-plane Welded Attachments)

  • 배두병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15권6호통권67호
    • /
    • pp.629-637
    • /
    • 2003
  • 본 논문은 강교량에서 큰 응력범위가 발생하는 위치에 불가피하게 존재하는 가장 일반적인 피로 취약 상세인 면내 거셋 용접부에 대한 3단계에 걸친 피로 시험 결과를 분석 평가 하였다. 플랜지 및 부착물의 두께, 부착물의 길이와 적용강재를 변화시킨 총 57개의 피로 시험편이 제작되어 인장피로시험이 수행되었으며, 1단계 시험에서는 실물크기 및 시험체에 대한 피로 실험도 수행되었다. 실험 결과로부터 현 설계기준에 제시된 대상상세에 대한 피로강도 기준의 적정성을 평가하고, 플랜지와 용접 연결된 부착물의 두께, 길이 등의 기하학적 형상 및 적용강재의 강도가 피로강도에 미치는 영향과 균열의 발생 및 진전 거동 특성을 규명하였다. 외국의 피로실험 자료와 비교 분석한 결과 강재가 서로 달라도 유사한 피로강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강종 보다는 기하학적 형상 및 용접관련사항이 피로강도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는 것을 나타내며, 형상에 따라 응력집중계수의 차이가 매우 커서 거셋 부착부의 변화부 반경, 길이 및 플랜지의 폭에 따라 상세분류를 좀더 세분화 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계식 가압장비(MPE)에 의한 보수재 종류별 부착강도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Bonding Strength by Types of Repair Materials by Mechanical Pressurizing Equipment(MPE))

  • 유형식;정지승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6권2호
    • /
    • pp.553-560
    • /
    • 2020
  • 기존 연구논문에서 일정한 크기의 압력을 가할 수 있는 기계식 가압장비를 개발하여 보수단면에 시공되는 보수재에 압력을 가할 경우 부착강도가 증가하는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논문에서는 기계식 가압장비의 압력을 0, 10, 30, 50 및 80kPa로 달리하여 재령 3 및 28일에서 공시체의 휨, 압축 및 부착강도와 가압판 변형을 측정한 결과를 분석하여 기계식 가압장비에 효과적인 압력을 선정하는 시험을 실시하였으며 시험결과 압력이 높을수록 강도값은 증가하였으나 50kPa이상일 경우 가압판에 변형이 생기는 문제가 발생하였으며 이에 따라 강도값에 큰 차이가 없는 30kPa가 가장 효율적인 압력임을 알 수 있었다. 주성분이 실리카흄, 알루미나 시멘트 및 섬유를 서로 다르게 혼합한 3종류의 보수재로 공시체를 제작한 후 건조 및 습윤 상태, 시공부위별 (천장부, 벽체부 및 바닥판) 그리고 가압 유무에 따라 재령 3, 7, 14 및 28일에 부착강도를 측정한 결과 가압시 재령 3일 부착강도값이 비가압한 재령 7 및 14일 발현 강도값과 동등하거나 높아 공기단축이 필요로 하는 보수공사에 유리할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가압시 신속한 수분의 배출이 가능한 셀룰로오즈 섬유가 혼입된 보수재가 가압장비에 가장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Plasma arc light를 이용한 금속 브라켓의 부착시 광조사 방향과 중합시간이 전단결합강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light direction and exposure times of plasma arc light on shear bond strength of metal brackets)

  • 노상정;이현정;전영미;김정기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429-438
    • /
    • 2004
  • 본 연구는 Plasma arc light를 이용하여 금속 브라켓의 부착시 광조사 방향, 중합시간 그리고 경화시간이 전단결합강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서 시행되었다. 240개의 발거된 소구츠를 16군으로 나눈 후. 광중합기(Plasma arc light와 Halogen light), 중합시간(Plasma arc light 2. 4. 6초와 Halogen light 20초). 그리고 광조사 방향(Vertical 방향과 Oblique 방향)을 다르게 하여 브라켓을 부착하였다. 광증합 접착제는 Transbond XT를 이용하였으며 브라켓 부착 후 5분과 24시간 후에 만능물성시험기를 이용하여 전단결합강도를 측정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광중합기의 종류와 중합시간에 관계없이 Vertical군과 Oblique군간의 전단결합강도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Plasma arc light를 이용하여 2초 동안 광중합한 군들의 전단결합강도는 다른 중합시간의 군들보다 현저히 낮았다(P<0.05). 부착 5분 후의 전단결합강도는 24시간 후보다 현저히 낮았다(P<005), ARI 점수는 군들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는 plasma arc light를 사용한 금속 브라켓의 부착시 광조사 방향은 전단결합강도에 영향을 끼치지 않으며. Halogen light와 유사한 결합강도를 얻기 위해서는 4초 이상의 중합시간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배합 및 접합면 처리에 따른 신·구 콘크리트의 부착특성 평가 (Assessment of Bond Characteristics between New and Old Concrete in Various Mixtures and Joint Conditions)

  • 조병두;김상현;전세진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6권4호
    • /
    • pp.507-515
    • /
    • 2014
  •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이음부는 적절한 처리에도 불구하고 누수되는 사례가 빈번히 발생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누수 현상이 신 구 콘크리트 간의 부착특성과도 관련이 있을 것으로 보고 이에 대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여러가지 조건하에서 부착특성을 평가하기 위해 신 구 콘크리트의 접합부를 모사하는 시편들을 제작하여 접합부의 접착강도, 휨강도 및 쪼갬인장강도를 측정하였다. 주요 실험 변수는 혼화재의 종류 및 혼입률, 접합면의 처리 방법, 지수판의 종류였다. 그 외 신 구 콘크리트 타설 간격의 영향, 강도시험 재령에 따른 영향도 고찰하였다. 실험 결과 혼화재 사용에 따라 부착강도가 어느정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포졸란 반응에 의해 생성되는 칼슘실리케이트 수화물이 접합부의 공극을 메우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한편, 접합면이 거칠고 건조할수록 부착성능이 향상되었으며, 지수판의 표면 거칠기는 지수판의 부착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시험 방법에 따른 부착강도의 차이가 발생하므로 이를 고려한 평가가 요망된다.

불소가 유리되는 교정용 전색제가 광중합형 및 화학중합형 교정용 접착제의 전단결합강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FLUORIDE RELEASING ORTHODONTIC SEALANT ON THE SHEAR BOND STRENGTH Of LIGHT-AND CHEMICAL-CURED ORTHODONTIC RESINS)

  • 김봉현;윤영주;김광원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781-789
    • /
    • 1997
  • 본 연구는 교정치료를 위해 최근에 발거된 소구치 65개를 대상으로 발거직후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고 생리식염수에 담구어 보관한 후 법랑질을 퍼미스 및 $38\%$ 인산으로 표면 처리하고 불소가 유리되는 교정용 전색제로는 광중합형 FluoroBond, 광중합 접착제로는 Transbond, 화학중합 접착제로는 Mono-Lok 2를 선정하여 1차 부착 및 재부착시의 전단결합강도를 만능강도시험기로 측정함으로서, 치아우식 예방 및 진행 억제효과를 지닌 불소가 유리되는 교정용 전색제가 광중합형 및 화학중합형 교정용 접착제의 전단결합강도에 미치는 영향과 재부착에 의한 전단결합강도의 변화를 규명하고, 광중합형 접착제와 화학중합형 접착제 사이의 전단결합강도를 비교하여 다음의 결론을 얻었다. 1. 1차부착에 의한 전단결합강도의 크기는 Mono-Lok2군(11.84MPa), Trans bond군(10.75MPa), Light cured FluoroBond+Mono-Lok 2군(9.69MPa), Light cured FluoroBond+Transbond군(9.39MPa)순이었다. 2. 재부착에 의한 전단결합강도의 크기는 Transbond군(7.40MPa), Light cured FluoroBond+Transbond군(6.48MPa), Mono-Lok 2군(5.89MPa), Light cured FluoroBond+Mono-Lok 2군(5.15MPa)순이었다. 3. 불소가 유리되는 교정용 전색제를 적용한군과 적용하지 않은 군 모두에서 화학중합형 접착제가 광중합형 접착제보다 높은 전단결합강도를 보였으나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05). 4. 불소가 유리되는 교정용 전색제를 적용한군과 적용하지 않은 군 모두에서 재부착된 광중합형 접착제가 재부착된 화학중합형 접착제보다 높은 전단결합강도를 보였으나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없었다(p>0.05). 5. 1차 부착된 군에 비해 재부착된 모든 군에서 전단결합강도가 현저하게 감소되었으며,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p<0.001). 이상의 결론을 종합해볼 때 임상적으로 브라켓의 전단결합강도에 경향을 미치지 않는 불소가 유리되는 교정용 전색제를 치아 협면에 적용하여 불소의 유리에 의한 치아우식 예방 및 억제효과를 기대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