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부정적 정보

Search Result 1,274, Processing Time 0.039 seconds

동영상 UCC 광고의 수용에 관한 연구

  • Liuxia, Liuxia;Han, Pil-Gu;Jeon, Byeong-Ho;Kang, Byeong-Gu
    • 한국경영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8.06a
    • /
    • pp.1029-1035
    • /
    • 2008
  • 본 연구는 기존의 인터넷 및 웹 광고에 대한 연구들을 바탕으로 동영상 UCC 광고에 대한 소비자의 태도와 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웹 광고 모델에서 사용된 정보성, 오락성, 부정적 자극 이외에 유용성과 용이성, 개인사용자 특성, 플로우, 그리고 인센티브를 새로운 변인으로 추가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오락성, 부정적 자극, 유용성 및 용이성, 플로우는 동영상 UCC 광고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정보성, 개인사용자 특성, 그리고 인센티브는 그렇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플로우는 동영상 UCC 광고의 수용에도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동영상 UCC 광고에 대한 태도는 수용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The Influence of Competitive Psychological Climate and IS Related Anxiety: The Role of IS Related Value Dissimilarity (경쟁적 심리 분위기와 정보보안 걱정의 영향: 정보보안 가치 차이의 역할)

  • In-Ho Hwang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 /
    • v.18 no.4
    • /
    • pp.649-660
    • /
    • 2023
  • The study aims to identify the complex effects of information security (IS) environments and individuals' IS-related perceptions and value dissimilarity that negatively affect insiders' IS compliance activities. In detail, the study aimed to confirm the roles of prospective and inhibitory anxiety, and value dissimilarity in the process in which a competitive psychological climate negatively affects IS compliance intentions. The study obtained 387 samples from the firm's workers with IS-related regulations and verified the research hypotheses established using the AMOS 22.0 and Process 3.1 tools. As a result, the competitive psychological climate negatively affected IS compliance intention by increasing individual's IS-related prospective and inhibitory anxiety. In addition, IS-related value dissimilarity had an interactive effect with prospective and inhibitory anxiety and had a negative effect on IS compliance intention. This study has practical implications in terms of presenting information and values to be provided to employees to achieve internal IS goals and has academic implications in terms of applying the complex effects of IS-related anxiety and value dissimilarity.

Relationship Dissolution of On-line Brand Community Users (온라인 브랜드 커뮤니티에서의 관계단절행동)

  • Suh, Mun-Shik;Lee, Ji-Eun;Cho, Sang-Hyu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0 no.12
    • /
    • pp.352-365
    • /
    • 2010
  • Most of studies concerned with on-line Brand community show that it makes users to increase their brand loyalty and brand attachment. But it wouldn't be explained that on-line brand community could be the field of consumer's public complaining in service failure. So, this study tried to focus the dimensions of negative emotions and customer characteristics that may cause relationship dissolutions in on-line brand community. The findings of the present study following as, high relationship quality of on-line brand community user directly effects negative emotions, especially, disappointment and betrayal. second, disappointment and betrayal influences the desire of revenge. Third, customer's negative reactions (for example, negative replies about the brand or public complaining in community) are mediated by customer's desire of revenge. The analysis was held with brand community customers who has been experienced service recently by using SPSS14K and Smart PLS 2.0. The study verified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hypothesizing the between emotional factors and negative reactions. In conclusion, this article provides implications into understanding of customer's negative emotions and user's characteristics that cause negative reactions in on-line brand community. thus, this may allow marketers to have managerial insights on handling of on-line brand community independently operated by consumers.

A Study on Mitigation of Information Security Related Work Stress (정보보안 관련 업무 스트레스 완화에 대한 연구)

  • Hwang, Inho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 /
    • v.10 no.9
    • /
    • pp.123-135
    • /
    • 2020
  • Recently organizations are implementing strict security policies and technologies to minimize security incidents. However, strict information security can cause work stress of employees and can make it difficult to achieve security goal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preconditions for mitigating the negative impact of security-related work stress. We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of employees working in the financial industry and secured a total of 266 samples. The test of the research hypothesis was carried out by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s a result, work stress had a negative effect on compliance intention, and value congruence reduced work stress. Also, security feedback had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esearch factors. The results hav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mitigating work stress of employees.

통신시장 개방 대책마련을 위한 의견 조사 결과

  • Korean Associaton of Information & Telecommunication
    • 정보화사회
    • /
    • s.76
    • /
    • pp.32-37
    • /
    • 1994
  • 우리협회는 지난 1월 통신시장 개방에 따른 정보통신산업계의 의견을 수렴하고자 135개 사업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바 있다. 조사결과 통신시장 개방은 장단기적으로 정보통신산업 영역의 전면에 걸쳐 나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S/W 사업자와 SI사업자는 50%이상이 시장잠식등의 부정적 영향을 우려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 PDF

SOM(State of Mind) Model for Emotional Judgement Asymmetry between Positive and Negative Information (감성판단에 대한 SOM(States of Mind) 모형 : 긍정적/부정적 정보의 비대칭성)

  • 임승락;김지혜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4 no.2
    • /
    • pp.69-77
    • /
    • 2001
  • Positively biased asymmetry between positive and negative cognition is the basic assumption of heuristic human functioning. This article describes the SOM(states of mind) model for emotional judgement, a psycho-mathematical model built on affective-cognitive assessment research on the balance of positive and negative thoughts and feelings. The SOM model suggests that subjects on the average choose a positive over a negative pole with the probability 0.62 and the precise value of this constant coincides with algebraic “golden section”  .618:.382. Statistical analyses of 32 normal subjects shows that the mean of SOM ratios of self-referent judgement and incidental recall task for positive/negative emotional words are .62(SD=.08) and .58(SD=.4). Also, the SOM ratios a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self-referent judgement for positive/negative emotional words. Implications of cognitive balance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for emotional science are discussed.

  • PDF

The Effect of Positive and Negative Parenting Attitudes on Adolescents' Smartphone Dependency in the Time of Convergence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Poor Attachment (융복합시대 부모의 긍정적양육태도와 부정적양육태도가 청소년의 스마트폰 의존도에 미치는 영향 : 또래애착의 매개효과)

  • Kim, Kwang-Sook;Shin, Kyoung Sil;Lee, Hoon-Min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 /
    • v.7 no.4
    • /
    • pp.139-149
    • /
    • 2017
  • This study tries to examine the effect of positive and negative parents' attitudes on adolescents' smartphone dependency, and prove the meditating effect of poor attachment between the two variables in the times of convergence. For the study, the data from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were analyzed by utilizing the path analysis, the data from 1,971.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positive and negative parents' attitudes influenced adolescents' poor attachment. Second, positive and negative parents' attitudes had a effect on adolescents' smartphone dependency. Third, parents' attttudes directly influenced adolescents' smart phone dependency and its' effect was indirectly mediated by the subjects's poor attachment.

Effect of Specific Mood State on Choice between Hedonic and Utilitarian Goods (구체적 정서가 상품 선택에 미치는 영향)

  • Choe, Seon-A;Son, Yeong-U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9.11a
    • /
    • pp.226-227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구매 상황과 직접적 관련이 없는 특정 정서 상태가 상품 선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상품 범주는 구매하고자 하는 물품을 대하는 태도로 분류된 실용적/쾌락적(utilitarian/hedonic) 물품 기준을 사용하였고, 동일한 시나리오 상황에서 특정 정서(긍정/부정/중립)에 따라 선택된 상품에 차이가 발생하는지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중립적 정서 상황에 비해 부정적 정서 상황에서 실용적 목적을 지닌 상품을 선택하는 비율이 유의미하게 높았다. 이는 부정적 정서가 체계적이고 구체적인 정보 처리 과정을 촉진시킨다는 기존 연구 결과가 구매행동에서도 적용 가능함을 시사한다.

  • PDF

Feedback Seeking Behavior in Work Information Environment (작업정보환경에서의 피이드백 추구행위)

  • Yun, Bang-Seop
    • Korean Business Review
    • /
    • v.7
    • /
    • pp.145-164
    • /
    • 1994
  • 본 연구는 조직의 작업정보환경이 개인의 피이드백 추구 행위에 어떤 영향을 주는가에 관한 탐색적인 연구이다. 피이드백 추구 행위를 '탐지'와 '문의'의 유형으로 나누되, 피이드백 원천에 따라 상사에 대한 문의, 상사에 대한 탐지, 동료에 대한 문의, 동료에 대한 탐지를 구분하였으며, 작업정보환경은 피이드백 원천(상사, 동료, 자기자신)으로부터의 피이드백을 피이드백 부호(긍정적 피이드백, 부정적 피이드백)에 따라 평가하였다. 연구의 방법은 군 헬리콥터 조정사 훈련생 187명을 대상으로 질문지 방법에 의하였다. 연구의 결과 첫째, '탐지'와 '문의'의 피이드백 추구행위는 정의 상관관계를 보임으로써 피이드백 추구전략으로서 두 행위 유형은 서로 대체관계에 있지 않으며, 특정 유형의 피이드백 추구행위가 오히려 다른 유형의 피이드백 추구행위에 대한 필요성을 높여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탐지'를 통한 피이드백과 '문의'를 통한 피이드백은 적어도 질적으로 상이한 정보를 제공하여 주는 것으로 인식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어떤 원천으로부터 제공되었거나 추구된 피이드백 정보는 다른 피이드백 원천으로의 추구행위와 정의 상관관계를 보임으로써, 여러 피이드백 원천들로부터 제공되는 피이드백 정보는 피이드백 수신자에게 서로 대체적인 역할을 하지 않으며, 특정 피이드백 원천으로부터의 피이드백은 피이드백 수신자로 하여금 질적으로 상이한 정보를 제공하여 주는 것으로 인식되는 상이한 원천으로부터의 피이드백을 추구하도록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작업정보환경에서 긍정적 피이드백이 주어지면 인상관리의 측면에서 적극적으로 피이드백을 추구하는 경향이 있었으며, 부정적 피이드백이 주어진 경우, 본 연구에서와 같이 성과가 매우 중요시 여겨지는 조직에서는 개인이 그 정보적 가치를 높게 평가하여 대체로 피이드백을 적극적으로 추구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Personal Privacy Protection in Ubiquitous Environment (유비쿼터스 환경에서의 개인 프라이버시 보호)

  • Kim, Jung-Hun;Hong, Man-Pyo;Yeh, Hong-Ji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5.11a
    • /
    • pp.1079-1082
    • /
    • 2005
  •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이 우리 생활에 밀접하게 다가오면서 결국에는 헤아릴 수 없을 정도의 엄청난 가치를 발생 시킬 것이다. 그러나 문제는 이와 같은 긍정적 영향 이면에는 이를 이용한 사회적 역기능 및 그로 인한 부정적 영향 또한 존재할 것이다. 개인 프라이버시 침해는 수많은 부정적 영향 중 가장 심각한 문제가 될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개인 프라이버시 침해 중 매우 현실성 있고 실현 가능성이 있는 시나리오를 설정하여 기본적인 개인 프라이버시 보호 모델을 제안한다. 유비쿼터스 환경이 실현되면서 구현 가능성이 있는 전자명함 전달을 기반으로 개인 프라이버시 보호 모델을 설계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모델은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전자 명함을 전달할 때 개인의 프라이버시를 최대한 보장하면서 자신의 정보, 즉 전자명함을 안전하게 전달하는 방법이다. 향후 유비쿼터스 컴퓨팅시대가 실현되어 전자명함 서비스가 우리의 생활 속 깊숙이 자리하고 있을 때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모델을 적용하면 개인 프라이버시 보호에 있어서 많은 문제들이 해결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