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부인과 암

검색결과 125건 처리시간 0.041초

자궁 경부암 환자의 추적검사시 혈장내 CEA치 측정의 임상적 의의 (Clinical Significance of Plasma CEA Levels in the Patients with Cervical Carcinoma during Follow-Up)

  • 반성범;김주영;최명선;나중열;이민재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9권2호
    • /
    • pp.293-301
    • /
    • 1991
  • CEA 측정으로 부인과 영역 악성종양의 치료결과나 재발 여부의 조기 진단을 할 수 있나를 연구한 결과이다. 1985년 1월부터 1989년 12월까지 239명의 자궁경부암 환자를 대상으로 치료전과 치료후 CEA치를 체계적으로 측정했고 이를 비교하기 위하여 정상군으로 아무런 증상이 없는 건강한 부인 65명과 양성종양을 가진 18명의 부인을 상대로 CEA치를 측정하였다. 혈장내 CEA치는 종양의 진행정도와 기의 직접관계가 있는 것을 알 수 있고 종양의 기가 진행되면 될수록 CEA치가 비정상인 경우가 높아지고 있다. 또한 CEA치가 비정상인 경우 편평상피종 환자보다는 선세포나 선세포와 편평세포가 혼합된 경우 더욱 증가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결론으로 혈장내 CEA을 체계적으로 측정함으로써 치료 끝난 후 추적검사시 재발의 조기발견 및 치료결과를 확인할 수 있는 좋은 방법이라는 결론을 얻었다.

  • PDF

타목시펜 사용과 연관되어 빠르게 진행하는 다발성 자궁내막폴립 1예 (A Case of Tamoxifen-Associated Rapid Growing and Multiple Endometrial Polyps)

  • 이희준;김훈;구승엽;한원식;김석현;최영민;김정구;문신용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37권2호
    • /
    • pp.173-179
    • /
    • 2010
  • 유방암의 치료는 수술, 항암치료 및 방사선 치료 등의 주 치료법이 있으며, 유방암 환자에서 주 치료 후 보조적 치료 수단으로 호르몬 치료가 사용된다. 이 호르몬 치료에는 타목시펜이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며, 타목시펜은 체내에서 항에스트로겐 효과를 보여 유방암 치료에 도움을 주며 유방암의 재발방지에도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타목시펜의 부작용 또한 여러 가지가 있으며 문헌에 보고된 것으로는 자궁내막폴립, 자궁내막증식증, 자궁내막암 등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본원에서도 유방암으로 수술 치료를 시행 받은 후 보조적 치료로서 호르몬 제제인 타목시펜을 사용하여 왔으며 이러한 환자들은 모두 외과와 협진하여 산부인과 외래로 추적 관찰하고 있다. 최근에 본원산부인과 외래로 추적 관찰 중인 타목시펜 사용 환자 중에서, 호르몬 치료 시작 3개월 후의 단기간 내에 빠르게 진행하는 다발성의 자궁내막폴립의 1예가 발견되었으며, 이는 타목시펜의 부작용으로 발생한 것으로 사료된다. 이에 저자는 유방암 수술 후 보조적 치료로 타목시펜을 사용한 환자들 중 우연히 발견된 빠르게 진행하는 다발성의 자궁내막폴립의 1예를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부인암에서 양전자방출단층촬영의 이용 (Utility of PET in Gynecological Cancer)

  • 최창운
    • 대한핵의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핵의학회 2002년도 춘계학술대회 및 총회
    • /
    • pp.9-13
    • /
    • 2002
  • Clinical application of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PET) is rapidly increasing for the detection and staging of cancer at whole-body studios performed with 2-[fluorine-18]fluoro-2-deoxy-D-glucose (FDG). Although many cancers can be detected by FDG-PET, there has been limited clinical experience with FDG-PET for the defection of gynecological cancers including malignancies in uterus and ovary. FDG-PET can show foci of metastatic disease that may not be apparent at conventional anatomic imaging and can and in the characterization of indeterminate soft-tissue masses. Most gynecological cancers need to surgical management. FDG-PET can improve the selection of patients for surgical treatment and thereby reduce the morbidity and mortality associated with inappropriate surgery. FDG-PET is also useful for the early detection of recurrence and the monitoring of therapeutic effect. In this review, I discuss the clinical feasibility and limitations of this imaging modality in patients with gynecological cancers.

  • PDF

XML 기반 안전한 전자상거래를 위한 보안 플랫폼 개발 (Development of the XML Security Platform for E-Commerce)

  • 문기영;이재승;김주한;이주영;손승원
    • 전자통신동향분석
    • /
    • 제17권6호통권78호
    • /
    • pp.29-38
    • /
    • 2002
  • XML 전자문서는 전자상거래를 위한 전자문서의 표준으로 받아 들여지고 있으며 안전한 전자상거래를 위해서는 XML 정보보호가 무엇보다도 먼저 해결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인터넷 상에서 XML을 기반으로 하는 전자문서 교환 시스템의 안전한 문서 교환을 위한 정보보호 서비스 구현을 소개한다. XML 기반 전자문서 교환 시스템은 주로 인터넷에서 상거래를 위해 사용자 인증, 데이터 무결성 보장, 송수신에 대한 부인 봉쇄 등 다양한 보안 기능에 대해 필요하다. 또한 본 논문은 이러한 보안 기능을 충족시키는 XML 기반 정보보호 서비스인 ESES(ETRI Secure E-commerce Services)를 제안한다. ESES는 XML 문서 뿐 아니라 전자상거래 시 교환되는 디지털 콘텐츠를 위한 보안 서비스 제공을 목적으로 하며, 자바기반의 암호 구조를 바탕으로 XML 기반 전자서명, XML 기반 암복호, XML 기반 키 복구, 인증서 처리 기능 등을 지원한다.

디지털 서명이 가능한 보안 전자메일 시스템의 구현 (Implementation of Secure E-Mail System with Digital Signature)

  • 이종철;강민섭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2년도 추계학술발표논문집 (중)
    • /
    • pp.1111-1114
    • /
    • 2002
  • 본 논문에서는 메시지 암 복호화는 물론 디지털 서명 및 배달 증명이 가능 가능한 보안 전자 메일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에 관하여 기술한다. 제안된 시스템은 이메일의 내용을 암호화하여 이메일 수신자만이 그 내용을 볼 수 있도록 하는 기밀성을 제공해 주며, 디지털서명 기능을 제공하여 송신자라고 주장하는 사용자와 이메일을 실제로 보낸 송신자가 동일인인가를 확인해준다. 또한, 메시지 무결성, 송신자 부인 봉쇄 그리고, 배달증명 서비스를 제공한다. 제안된 시스템의 구현은 자바 암호 API 클래스를 기반으로 하였고, GUI를 위해 J빌더 6을 사용하였다.

  • PDF

microSelectron-HDR System에서 부인암 강내조사에 쓰이는 세 가지 Applicator Set들의 Ovoids에 대한 차폐효과 연구 (The Study of Shielding Effect on Ovoids of Three Different Gynecological Applicator Sets in microSelectron-HDR System)

  • 조영갑;박성용;최진호;김헌정;김우철;노준규;김주영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23권4호
    • /
    • pp.259-266
    • /
    • 1998
  • Nucletron사의 microSelectron-High Dose-Rate(HDR) System에서 부인암의 강내 근접치료에 사용되는 Standard shielded applicator set(SSAS)와 Fletcher-Williamson applicator set(FWAS)는 standard applicator set(SAS)와 비교해서 다른 점이 ovoids 위와 아래 부분에 방광과 직장으로 가는 선량을 줄이기 위해 각각 스테인레스 강철(밀도 ${\varrho}=8,000\;kg/m^3$)과 텅스텐 합금(밀도 ${\varrho}=14,000\;kg/m^3$)으로 차폐가 되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특별히 고안한 지지장치를 사용해서 국제방사선단위위원회(ICRU) 보고서 38에서 권고한 직장과 방광의 위치에 대하여 두 shielded ovoids의 차패효과가 어느 정도인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지지장치를 PTW사의 전산화된 3차원 물펜톰에 부착하고 SAS의 ovoids를 지지장치에 고정하였다. Ovoids의 끝 부분을 전리함(PTW 0.125cc)의 측정점 높이와 일치시키고 전리함을 좌우로 이동시키면서 선량을 측정하여 두 ovoids의 중간 위치를 확인하였다. 직장에 미치는 선량은 ovoids의 중간에 위치한 선원 M5로부터 posterior방향으로 수직으로 위치한 점들인 20(Rl) 25(R2) 30(R3) 40(R4), 50(R5), 60(R6) mm에서 측정하였다. 방광에 미치는 선량은 M5로부터 anterior방향으로 수직으로 위치한 점들인 20(Bl), 30(B2), 40(B3), 50(B4), 60(B5) mm에서 측정하였다 위와 같은 방법으로 SSAS와 FWAS의 ovoids에서도 각각의 점들에 대한 선량을 측정하였다. SAS와 SSAS의 직장에 미치는 선량차이는 실제 임상에서의 관심 점들과 가장 가까운 25 mm(R2)와 30 mm(R3)거리에서 각각 8.0% 6.0%였고 SAS와 FWAS의 직장에 미치는 선량차이는 25 mm(R2) 와 30 mm(R3)거리에서 각각 25.0% 23.0%로 나타났다. SAS와 SSAS의 방광에 미치는 선량차이는 20 m(Bl)와 30 mm(B2)거리에서 각각 8.0% 3.0%였고 SAS와 FWAS의 방광에 미치는 선량차이는 20 mm(Bl)와 30 mm(B2)거리에서 각각 23.0%, 17.0%로 나타났다. SAS를 SSAS나 FWAS로 대체하였을 때 직장에 미치는 선량은 SSAS는 최대 8.0 %, FWAS는 최대 26.0 %까지 감소되고 방광에 미치는 선량은 SSAS는 최대 8.0 % FWAS는 최대 23.0%까지 감소됨을 알 수 있었고 FWAS가 SSAS 보다 차폐효과가 더 좋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두 종류의 shielded applicator set는 부인암의 근접치료시 직장과 방광으로 가는 선량을 감소시켜 환자치료의 최적화를 이룰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울금이 MDA-MB-231 세포 및 DMBA로 유발된 흰쥐의 유방암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urcuma longa L. on MDA-MB-231 Human Breast Cancer Cells and DMBA-induced Breast Cancer in Rats)

  • 양동선;양승정
    •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44-58
    • /
    • 2013
  • Objectives: Breast cancer is the most common cancer among women and has rapidly increasing rate annually. At present, western cancer therapies by surgery, radiation, and anticancer drug have not been fully effective. So many interests are given to herbal medicine on cancer treatment recently.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urcuma longa L. (CL) on MDA-MB-231 human breast cancer cells and DMBA-induced breast cancer in rats. Methods: In this experiment, MDA-MB-231 cells were cultured in cell culture plates. 0.0625, 0.125, 0.25, 0.5, 1.0 mg/ml of CL extract were tested for their anti-proliferative effects on MDA-MB-231 cells by MMT assay. And we induced breast cancer in rats. The changes in tumor's weight, and the effects on proliferations of splenocyte and thymocyte were investigated. Results: CL showed anti-proliferative effects on MDA-MB-231 cells in proportion to concentration of the CL. DMBA-induced breast cancer in rats, tumor's weight of the ra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but showed a tendency to be reduced in the groups treated with CL. Proliferation rate of the rat's splenocyte and thymocyte increased in proportion to CL. In breast cancer tissue, expression of ER-${\alpha}$ was weakened proportionately to the concentration of the CL. Conclusions: These data suggest that CL can prevent the proliferation of breast cancer, then CL is useful to treat patient with breast cancer.

유방암 환자의 항암 치료 부작용 및 한의학적 보완치료 경험에 관한 포커스 그룹 연구 (Experiences of Treatment-Related Side Effects and Supportive Care with Korean Medicine in Women with Breast Cancer - A Focus Group Study)

  • 한솔아;장보형;황덕상;서혜선
    •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85-94
    • /
    • 2017
  • Objectives: To explore experiences of treatment-related side effects and supportive care among Korean breast cancer survivors (BCS). Methods: Focus group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six Korean women with breast cancer. Participants were recruited through snow-balling. Interview was audio-recorded and transcribed verbatim. NVivo-11 was used to code the data into themes. Results: Two major themes were identified: (1) experiences of Western medicine, including treatment, side effects, needs and costs; (2) experiences of supportive care with Korean medicine, including the same as above. All participants experienced Western medicine in treatment phase and reported impairment of physical, emotional, and social functioning during and after Western medicine treatment. Only three participants used Korean medicine after treatments end. The negative responses from Western medicine doctors were the most important factor keeping participants from accessing Korean medicine when treatment-related side effects occurred. For this reason, some participants used Korean medicine without disclosure. Participants usually acquired information about Korean medicine from online community or other BCS, which was another important factor because it raised concerns about side effects and credibility of Korean medicine. High cost was also reported as barrier in using Korean medicine. During the cancer treatment, participants tended to endure their treatment-related side effects. Conclusions: Korean BCS may be at high risk of physical or emotional distress during treatment period. Findings suggest that there is a high need for supportive care to relieve treatment-related side effects and improve patients' quality-of-life. Furthermore, developing a systematic guidance or credible information sources should be warranted to help patients find the best supportive care options including Korean medicine.

토사자 추출물이 MCF-7 유방암 세포의 세포자멸사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uscutae Semen Water Extract on Apoptosis of MCF-7 Human Breast Cancer Cells)

  • 김지현;정은혜;유동열
    •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2-22
    • /
    • 2014
  •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Cuscutae Semen water extract (CS) on MCF-7 human breast cancer cells. Methods: To clarify the results, we cultivated MCF-7 cells in cell culture plates. And then we extracted each of $100{\mu}g/ml$, $300{\mu}g/ml$, $600{\mu}g/ml$ CS, gave it to MCF-7 cell. After these process we performed MTT assay to elucidate the ability of apoptosis. The result of mRNA was analyzed by RT-PCR. Results: Each of concentrated extracts CS decreased the survival rate of MCF-7 cells. CS decreased Bcl-2 which is known as a blocking cell apoptosis. Bax, caspase-3, P21 and RIP-1 that accelerate apoptogenic activity factors increased by CS. CS did not change the condition of caspase-8, caspase-9, P53 factors on MCF-7 cells. Furthermore caspase-8, caspase-9, P53 factors on MCF-7 cells does not make it more active but turn it on. Conclusions: According to the above results, we could suggest that CS can occur the apoptosis on MCF-7 cells.

황칠나무 줄기 추출물의 MCF-7과 MDA-MB-231 유방암 세포주에 대한 세포증식억제 효과 (Anti-cancer Effects of Dendropanax Morbifera Extract in MCF-7 and MDA-MB-231 Cells)

  • 임규정;장새별;유동열
    •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26-39
    • /
    • 2015
  • Objectives : Dendropanax morbifera is known as a tree that has been used in traditional medicine for various diseases. However, its biological activities in cancer have not yet been clearly elucidated.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anti-cancer effects of water extract of Dendropanax morbifera (DP) on 2 human breast cancer cell lines (estrogen dependent MCF-7 and estrogen independent MDA-MB-231). Methods : The MTT assay and flow cytometry were used to assess cell proliferation, along with cell cycle analysis. Nitric oxide production was detected by Griess assay. The expression of apoptosis related gene was assessed by quantitative real-time PCR. Results : Our data revealed that DP inhibits the cell growth in a dose dependent manner (0, 50, 100, 250, and 500 μg/ml) of both estrogen independent MDA-MB-231 and estrogen dependent MCF-7 breast cancer cells. Also, LPS induced nitric oxide production was significantly reduced by DP. Cell cycle analysis showed an increased G1 phase in the MCF-7 cell and G2/M phase in the MDA-MB-231 cell. DP decreased mRNA expression of apoptotic suppressor gene Bcl-xL, and increased mRNA expression of pro-apoptotic genes. DP increased mRNA expression of p21, and Rip1 in both cell. And DP decreased mRNA expression of survivin in the MCF-7 cell. Conclusions :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indicate that DP extract are source of anti-cancer potential and could be developed botanical dru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