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부양부담감

검색결과 33건 처리시간 0.021초

치매노인과 주부양자의 성별 관계에 따른 주부양자의 부양부담감, 피로 및 생활만족도 비교 (Comparison in Care Burden, Fatigue, and Life Contentment of Caregivers by Gender Relationship with Demented Elders)

  • 이영휘;조인숙;김화순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196-204
    • /
    • 2009
  • Purpose: This study was done in order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gender respect to care burden, fatigue, and life contentment of family caregivers of elderly with dementia. Methods: The setting of the study was a community-based dementia care center providing daycare services. One hundred ninety four caregivers were recruited for the survey. A structured questionnaire was used which included demographic information, care burden, fatigue, and general contentment scales. Caregivers were classified into 4 groups by gender relationship with care recipients. Results: The majority of the caregivers were middle-aged and elderly. More than twice as many were female rather than male caregivers. The results showed that women caregivers expressed more fatigue than men overall (p < .05). In the gender relationships, a different combination of man-woman appeared to have more burdens than that of a woman-woman group (p < .05). For fatigue, the man caregiver-woman elderly group showed a higher fatigue score than a woman-man group (p < .05).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life contentment among groups.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caregiver's gender and gender relationship with elders could be considerable factors when the nurses make a plan in the community for dementia nursing management services.

  • PDF

재가 치매노인 배우자의 부양부담감이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the Caregiver Burden on the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the Spouse of an Elderly Person with Dementia at Home)

  • 성기월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429-443
    • /
    • 2020
  •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influencing factors of caregiver burden on the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the spouse of an elderly person with dementia at home.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115 spouses of dementia patients registered at dementia safety centers in five health centers in D city. Data were collected from June through December in 2019, using questionnaires of Oral Health Impact Profile (OHIP-49) and Burden Interview (BI).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an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IBM SPSS Statistics 25.0 Program. Results: A negative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the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nd caregiver burden (r=-37, p<.001). The caregiver burden (β=-.28, p=.001), subjective health status (β=.39, p<.001), and dental clinic visit (β=-.25, p=.002) explained 33.0% of the variance in the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Conclusion: The development of nursing care for spouses of dementia patients will be needed to reduce the caregiver burden and enhance subjective health status and dental clinic visit, which influence the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spouse of elderly people with dementia at home.

활동보조서비스가 가족부양부담에 미치는 영향 -가족탄력성 조절효과- (An Effect of Personal Assistance Services for the Disabled Persons upon the Burdens of Raising a Family - Focusing on Family Resilience Control Effect -)

  • 신준옥
    • 재활복지
    • /
    • 제18권4호
    • /
    • pp.95-117
    • /
    • 2014
  • 본 연구는 활동보조서비스(신체활동지원, 가사활동지원, 사회활동지원) 이용이 가족부양부담에 영향을 미치는지와 활동보조서비스와 가족 부양부담감 간에 가족탄력성(가족신념체계, 가족응집력, 상호작용)이 조절효과를 나타내는지를 파악하여 장애인복지의 실천적 개입 방안을 모색하는 근거자료를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연구목적을 위하여 경기도를 동부, 서부, 남부, 북부 지역으로 나누어서 2013년 4월 1일~5월 15일까지 활동보조서비스를 이용하는 1급, 2급 장애인가족 부양자 200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19.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 그리고 위계적 회귀분석을 기초로 한 조절적 다중회귀분석(Moderate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결과는 첫째, 활동보조서비스 중 신체활동지원을 이용하는 경우 장애인가족의 부양부담 감소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활동보조서비스가 가족부양부담과의 관계에서 가족탄력성 중 가족신념체계와 가족응집력에서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미혼 성인의 자녀양육신념 양상과 자녀에 대한 가치 및 부모 부양의무감간의 관계 (A Study on Parental Beliefs, Value of Children and Filial Obligation of the unmarried)

  • 조복희;정민자;김연하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22-47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미래의 부모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게 될 미혼 성인들을 대상으로 자녀양육신념의 양상과 자녀에 대한 가치, 부모 부양의무감을 살펴보았다. 남녀 대학생 748명(남학생 323명, 여학생 425명)을 대상으로 조윤주(2002)가 사용한 부모 부양의무감, 세계 8개국에서 동시에 사용된 자녀에 대한 가치(Value of Children) 설문지(1975, 2001)를 실시하였고, 자녀양육신념에 대한 응답자의 가치를 기술하게 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미혼 성인의 자녀양육신념 양상을 조사한 결과, 성, 연령, 출생순위, 조부모 동거여부 등에 상관없이 관계지향적 자녀양육신념(46.0%)보다 개인지향적 자녀양육신념(54.0%)을 지닌 미혼 성인의 비율이 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 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자녀에 대한 가치인식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는 정서적 가치를 가장 중시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 도구적 가치를, 자녀양육부담감을 가장 덜 중시하는 것으로 나타남으로써 미혼 성인들은 자녀를 갖는 가치에 대해 경제적인 가치나 양육부담감을 느끼기보다는 애정적, 정서적 가치를 보다 소중히 여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여자보다는 남자가, 부모와 함께 살거나 부모와의 접촉빈도가 2개월에 1회 이상 많을수록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부모 부양의무감을 더 많이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관계지향적 자녀양육신념을 지니고 있을수록 정서적 가치를 소중히 여기고, 부모 부양의무감도 더 많이 느끼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미래 부모세대들의 부모자녀관계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는 데 도움을 주고, 미혼 성인 대상의 예비 부모교육 자료를 개발하는 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장애가족 가족응집성이 삶 만족에 미치는 영향: 부양부담 매개효과 (The Influence of Family Aggregation with Disabilities on Life Satisfaction: The Mediating Effect of Caregiving Burden)

  • 신경안
    • 산업융합연구
    • /
    • 제19권3호
    • /
    • pp.97-105
    • /
    • 2021
  • 본 연구는 장애가족의 가족응집성과 부양부담이 삶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여 궁극적으로 장애가족의 만족한 삶을 지원하고자 하였다. 연구는 장애가족을 돌보는 장애가정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장애가족의 삶 만족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장애가족의 삶 만족은 5점척도에서 2.278로 낮게 나타났으며, 부양부담은 3.432로 비교적 높은 부양부담감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가족응집성은 3.664로 비교적 양호한 것으로 나타나 삶 만족을 높이기 위해 부양부담을 낮출 수 있는 지원이 필요함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자는 장애가족의 삶 만족을 높이기 위해 다음과 같이 제언한다. 첫째, 돌봄자의 장애인 돌봄부담 경감을 위한 지원의 필요. 둘째, 돌봄을 받는 장애인을 위한 지원의 확대. 셋째, 장애인 가족지원 강화의 필요이다. 다만 본 연구는 경기도를 중심으로 이루어진 조사로서 연구의 한계가 있어 후속연구의 필요가 있다.

치매노인 가족의 부담감, 대처능력과 건강관련 삶의 질과의 관계 (A Study about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Burden and Coping Ability for Family Caregivers caring for Dementia Elderly)

  • 유문숙;김용순;김기숙
    • 한국노년학
    • /
    • 제30권4호
    • /
    • pp.1117-1127
    • /
    • 2010
  • 본 연구는 치매노인 가족의 부담감, 대처능력과 삶의 질을 파악하고 그 관계를 확인하기위해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해 시행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의 대상자는 치매주간보호센터에 등록되어 서비스를 받고 있는 65세 이상 치매 진단자의 가족으로 경기도 일개 시 주간보호센터 8곳을 임의 표출하여 2010년 4월부터 6월까지 조사하였고 최종 연구대상자는 탈락자를 제외한 93명이었다. 연구결과 치매노인 가족의 부담감과 대처능력, 건강관련 삶의 질 정도를 확인하였고 부담감은 연령, 학력, 직업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며 대처능력은 학력과 월소득에 따라, 건강관련 삶의 질은 연령과 결혼형태, 치매노인과의 관계에 따른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건강관련 삶의 질과 대처능력, 부담감간의 관계를 확인함으로써 건강관련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중재개발에 기초자료를 제시한 것이며 앞으로 대처능력 향상을 위한 구체적 연구와 치매노인 가족의 대처능력이 스트레스와 부담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가 확대될 것을 제언한다.

부양자의 죄책감이 수발도움 요청행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rimary Caregivers' Guilt Feelings on their Request Behaviors for Help with Caring)

  • 윤은경;조윤득
    • 한국노년학
    • /
    • 제28권4호
    • /
    • pp.1249-1264
    • /
    • 2008
  • 죄책감은 요보호노인의 주부양자가 가지기 쉬운 역기능적인 감정으로 수발부담을 이중으로 가중시키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죄책감이 수발행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다룬 실증연구는 거의 미비하다. 이에 본 연구는 노인부양에 대한 유교적인 가치가 아직 남아 있는 우리사회에서 부양자가 가지는 죄책감에 착안하여 죄책감이 주부양자의 부양부담과 수발도움요청행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조사는 60세 이상의 요보호노인을 수발하고 있는 주수발자 220명을 대상으로 방문 조사하였다. 죄책감 측정도구는 수발자용으로 자체 개발된 척도를 사용하였고(${\alpha}=.949$), 죄책감은 4가지 요인으로 분류되어 자기통제결핍형, 자원결핍형, 소진형, 규범형으로 명명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족수발자의 죄책감은 부양부담감과 양의 상관관계를 이루며 부양부담감은 죄책감의 4가지요인에 고루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주부양자가 수발도움을 요청할 때, 동거가족과 이웃에 대해 죄책감을 느끼며, 죄책감이 적을 경우에 주간보호서비스를 이용하고 있었다. 특히 주부양자에게 영향을 미치는 죄책감요인은 동거가족에게는 규범적인요인, 이웃에게는 자원결핍요인, 그리고 주간보호서비스이용에서는 소진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수발도움 요청에 있어 발생하는 부양자의 역기능적인 감정인 죄책감이 수발부담을 더욱 가중시키고 있음은 물론 부양자 역할을 분담하는데 있어 어려움을 초래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부양자의 정신건강을 위해서는 부양자가 가지는 죄책감에 대해 이해하고 대응하는 프로그램개발이 필요할 것이다.

성인자녀의 노부모 부양분담정도와 부양에 따른 부담감 (Care Sharing and Care Burden for Old Parent)

  • 이윤정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13권4호
    • /
    • pp.125-138
    • /
    • 1995
  •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serve correlation between caregiver's burden and care sharing and then to contribute to improve relationship between old parents and their adult children. The research samples were collected by structured questionnare and 507 samples were finnally selected. The data analysis was conducted by the method of frequency mean Pearson's correlation multiple regression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Care-sharing was made much in the case of this SES the oldest daughter-in-law living together with old parents and old parents' economic incapacity Caretiver's burden was serious in the case of living with old parents the oldest daughter-in-law and old parents' economic incapacity. And the correlation between care sharing and caregiver's burden was positive.

  • PDF

중년부부의 노부모 부양부담감과 관련변인 연구 (A Study on the middle-aged couples' caregiving burden and related variables)

  • 김경신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6권9호
    • /
    • pp.93-106
    • /
    • 199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find the general trends of middle-aged couples' caregiving burden, to investigate correlation between husbands and wives, to estimate the differences according to related variables and analyze the effects of significant variables influencing on caregiving burden. The data were obtained from 172 middle-aged couples living in Seoul and Kwangju.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1. Scores of couples' caregiving burden were lower than medium. Especially, husbands' score were higher than wives' in a sense of guilt and haubands' caregiving burden correlated significantly with the wives'. 2. Couples' caregiving burde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birth order of husband and family life satisfaction was the most differencial in family relationship variables. Social support and family value orientations were also significant variables. 3. The most influencial variable on husbands' caregiving burden was emotional support, and instrumental support on wives'. And life and communication satisfaction were very important variables. So family relationship must be enhanced and social support system's reinforcements are necessary.

  • PDF

노인 주 부양자의 부양부담감, 소진감 및 삶의 질에 대한 연구 (A Study of Care Burden, Burnout, and Quality of Life among Family Caregivers for the Elderly)

  • 주경복;김귀분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278-289
    • /
    • 2008
  • Purpose: This study was a survey to provide basic data about nursing interventions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among family caregivers for the elderly by examining their care burden, burnout, and quality of life, and by confirming the correlation between each of them. Method: The subjects were 215 people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who understood the purpose of this study and participated voluntarily from April 1 to June 4, 2007. Data was analyzed by the SAS program. Result: 1. Concerning primary caregivers of the elderly, it was found that their care burden was slightly high, burnout was high and quality of life was good on the whole. 2. When it comes to the correlation among care burden, burnout, and quality of life among family caregivers, it was found that burnout increases in proportion to care burden, quality of life decreases as care burden increases, and bigger burnout leads to a lower quality of life. Conclusion: The quality of life among primary caregivers should be improved by reducing their care burden and burnout. Thereby, a priority might be considered for admission to nearby, comfortable nursing homes or failing that, home visiting services, rather than family support in the hom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