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부스트 압력

Search Result 18,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超高壓水中에서의 스트레인 測定과 壓力變換器

  • 한응교
    • Journal of the KSME
    • /
    • v.19 no.2
    • /
    • pp.98-105
    • /
    • 1979
  • 이상의 고압중스트레인 측정실험으로부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고압중에서 스트레인을 측정할 경우, 압력효과스트레인이 생기므로 스트레인의 지시치를 보정할 필요가 있다. (2) 고압 효과스트레인은 같은 종류의 게이지에 있어서도 흩어짐이 있으나 흩어짐의 폭은 압력효과스트 레인의 값보다 작다. 특히 300 기압이상에서는 브릿지의 평형을 취해가지고 측정하며는 이 흩 어짐은 한결 작아진다. (3) 고압수중에서 측정 할 경우, 대후론, 시리콘고무, 이중피복선을 도선 으로 하여 사용하고, 게이지의 부분은 시리콘고무코우팅을 되도록 두껍게 하며는 3,000 기압 정 도까지의 수압중에서도 절연저하를 초래하지 안고, 스트레인측정을 할 수가 있다. (4) 상기의 절연방법은 도선인출부에도 적용할 수 있다. (5) 원통형 하우징 모형의 내외면의 스트레인를 측 정한 결과, 유한요소법해석결과의 타당성을 확인 할 수가 있었다. 본실험은 1974년도 일본통산 성공업기술원에서 위탁받아 동지종합연구소에서, [대식도 원읍조작해저석유굴삭장치의 개발]에 관한 연구성과의 일부와 Waterloo 대학의 G.S. Kular 교수연구실의 연구결과임을 밝혔다.

  • PDF

Fatigue Crack Growth Characteristics of Cold Stretched STS 304 Welded Joint (콜드 스트레칭 STS 304강 용접부의 저온피로균열진전 특성)

  • Lee, Jeong Won;Na, Seong Hyeon;Yoon, Dong Hyun;Kim, Jae Hoon;Kim, Young Kyun;Kim, Ki Dong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A
    • /
    • v.41 no.9
    • /
    • pp.809-815
    • /
    • 2017
  • STS 304 steel is used as pressure vessel material, and although it exhibits excellent mechanical characteristics at a low temperature, it is heavier than other materials. To address this issue, a method using cold-stretching techniques for STS 304 can be applied. In this study, a cold-stretching part and welded joint specimen were directly obtained from a cold-stretching pressure vessel manufactured according to ASME code. Fatigue crack propagation tests were carried out at room temperature and $-170^{\circ}C$ using the compliance method for stress ratios of 0.1 and 0.5. The results indicate that crack growth rate of the welded joint is higher than that of the cold-stretching part within the same stress intensity factor range. The outcome of this work is expected to serve as a basis for the development of a cold-stretched STS 304 pressure vessel.

Analysis on Forces operating in Chamber of Puffer Circuit Breaker (차단기 내 조작기에서 작용하는 힘에 관한 해석)

  • Park, Sang-Hun;Bae, Chae-Yoon;Kim, Hong-Kyu;Jung, Hyun-Kyo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1.10a
    • /
    • pp.6-8
    • /
    • 2001
  • 차단기 내에 위치하는 이동부에서 작용하는 힘은 외부 조작력 외에도 여러 가지가 존재하며 이들 힘의 상호작용으로 인해 이동부의 스트로크 곡선이 결정된다. 또한, 이 힘들에 따라 차단기에서의 아크 소호시간, 차단기의 성능 등이 영향을 받으므로 이동부에서 작용하는 힘들의 해석이 필요하다. 이 힘들은 유체의 밀도와 압력, 이동부의 기계적 구조 등을 고려하여 해석이 되며, 이 힘들을 해석함으로써 결과적으로는 차단기의 동작특성을 파악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힘들을 정의하고 이들 각각에 대하여 해석한다. 이동부에서 작용하는 힘들을 해석하기 위해서 먼저 이동부에서의 운동방정식을 세우고 이를 시뮬레이션하여 스트로크 곡선과 이동부에서의 힘들을 얻는다. 이렇게 얻어진 결과를 실험 값과 비교하고 이동부에서 작용하는 힘들에 대해 논의한다.

  • PDF

A study about reducing Turbocharger Pulsation of 3 cylinder engine (3 기통 엔진의 터보 차저 맥동 저감에 대한 연구)

  • Seo, Kwanghyun;Cho, Sung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4.10a
    • /
    • pp.667-669
    • /
    • 2014
  • Development of 3 cylinder turbo charger engine is increasing due to engine down-sizing, cost reduction and emission regulations. However, 3 cylinder engine makes higher Exhaust manifold gas pressure(P3) pulsation than 4 cylinder engine and it generate boosting air with high pulsation. The mechanical waste-gate turbocharger just controlled by the boosting air has higher movement because of this high pulsation boosting air. This causes high vibrations to wasted gate and accelerate wear of the linkage system. So we need to understand out of the exhaust gas pressure pulsation changed by turbocharger compressor pressure(P2) Pulsation. In this study, we discuss how to prevent to abnormal movement of the turbo actuator by stabilized P2 Pulsation.

  • PDF

Dielectric behaviors and discharge phenomena of $SF_6$ Gas in inhomogeneous field caused by a conducting-particle (금속성 이물질에 의한 불평등전계중에서 $SF_6$ 가스의 절연특성과 방전현상)

  • 이복희;안창환;이창준;길경석;전덕규;백승권
    • Electrical & Electronic Materials
    • /
    • v.9 no.4
    • /
    • pp.385-395
    • /
    • 1996
  • 이 논문은 금속성 돌기물에 의한 불평등전계중에서의 비진동성과 진동성 임펄스전압에 의한 SF$_{6}$ 가스의 절연파괴 특성에 대해 기술하였다. 절연파괴전압-시간특성을 가스압 0.1-0.5MPa의 범위에서 정.부 극성의 전압을 인가하여 측정하였으며, 그리고 50.ohm.분류기를 통해서 전구방전 전류를 관측하였다. 가스압력에 의한 리이더 진전시간의 의존성도 측정하였다. 스트리머 코로나에 의해 발생하는 공간전하에 의한 국부전계강화는 시험갭의 전기적 절연파괴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절연파괴는 초기 스트리머 코로나로부터 발단되어, 국부전계강화에 의한 리이더진전으로 이루어진다.

  • PDF

Processing and Pressure Test of Filament Wound Composite Pressure Vessels for Oxygen Tanks (복합재료 산소 압력용기의 성형 및 내압 시험)

  • 황병선;김병하;김병선;박승범;엄문광
    • Composites Research
    • /
    • v.14 no.3
    • /
    • pp.10-17
    • /
    • 2001
  • A reseach was peformed to develop composite pressure vessels in conjunction with design, fabrication, and test. Fiber pattern and angels were decided by CADFIL software and they were [$liner/15^{\circ}/15^{\circ}/90^{\circ}/18^{\circ}/90^{\circ}/21^{\circ}/21^{\circ}/90^{\circ}$]. Fabrication of bottles were done by 5-axis filament winding machine. During fabrication fiber optic sensors were embedded to measure the strain at points when internal pressure was applied by water pump. Conventional strain gage instrumentation showed the stable test results. The test results were compared to finite element analysis results and they were close each other in strain values. One can see the successful design and fabrication of single boss composite vessels.

  • PDF

Development of Structural Analysis System of Bow Flare Structure(2) - Prediction of Wave Impact Load Area - (선수 구조부 구조해석 시스템 개발(2) - 파랑충격하중 면적의 추정 -)

  • S.G. Lee;J.W. Park
    • Journal of the Society of Naval Architects of Korea
    • /
    • v.36 no.4
    • /
    • pp.87-94
    • /
    • 1999
  • Empirical design is still used to avoid a structural damage because impact phenomenon and structural behaviour due to wave impact load can not examined accurately. The damage due to wave impact load is largely affected by impact pressure impulse and impact load area.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as the second step, to develop an efficient scantling program of bow flare structure, and to predict its impact load area by comparing maximum dented deformations at center of idealized panel structure model of bow flare structure of 300k DWT VLCC using LS/DYNA3D code, which will be used for its verification of dynamic structural analysis, as the next step. Through this study, the impact load area was estimated as $1.5s{\times}1.5s$ stiffener space(s) in the case of panel with stiffeners and as $2.5s{\times}2.5s$, with stringers, under impact pressure curve with peak height 6.5MPa, tail height 1.0MPa, and duration time 5.0msec.

  • PDF

Development of Structural Analysis System of Bow Flare Structure(3) - Dynamic Structural Analysis - (선수 구조부 구조해석 시스템 개발(3) - 동적 구조해석 -)

  • S.G. Lee;C.K. Park
    • Journal of the Society of Naval Architects of Korea
    • /
    • v.37 no.1
    • /
    • pp.99-110
    • /
    • 2000
  • The damages due to wave impact loads are largely affected by impact pressure impulse and impact load area.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as the third step, to perform dynamic structural analysis of bow flare structure of 300,000 DWT VLCC using LS/DYNA3D code, and to verify its dynamic structural behaviors. The impact load areas of stiffener space $1.5s{\times}1.5s$ and $2.5s{\times}2.5s$ are applied to bow flare structure part with relatively flexible stiffeners, and with stiff members such as stringers, webs etc., respectively, under the wave impact load with peak height 6.5MPa, tail 1.0MPa, and duration time 5.0msec. Through the dynamic structural analysis in this study, it might be thought that the structural strength of bow flare structure is generally sufficient for these wave impact load and areas, except that large damages were found at bow flare structure area with flexible wide span stiffeners.

  • PDF

A Digital Control Technique of DC-DC Converter for Fuel Cell Applications (연료전지용 DC-DC 컨버터를 위한 디지털 제어기법)

  • Song Y.J.;Park S.I.;Jeong H.G.;Han S.B.;Jung B.M.;Li Xiangjun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06.06a
    • /
    • pp.216-218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연료전지용 듀얼 부스트 컨버터의 전압제어루프의 피드백 루프에 디지털 필터를 도입하여 부하에 의해 발생하는 출력전압의 저고조파 리플성분을 제거한 측정값을 사용함으로써 입력전류의 저고조파 리플을 제거하고, 전류제어루프에 predictive deadbeat 제어기법을 적용하여 제어주기와 제어알고리듬 계산에 의한 시간적 지연에 의해 발생되는 동적응답특성의 저하를 최소화한다. 센서를 사용하는 대신 연료전지 스택에 공급되는 수소와 공기의 압력과 스택의 출력전류에 결정되는 연료전지의 전압-전류 특성곡선을 이용하여 부스터 컨버터의 입력전압을 계산하고 전류를 제어함으로써 연료전지 시스템의 성능을 최적화한다.

  • PDF

Development of a Test Rig with Hydraulic Circuit for the Front Axle Suspension System of an Agricultural Tractor (농용트랙터 전방차축 현가장치를 위한 유압회로 시험기 개발)

  • Lee, Jung-Hwan;Cho, Bong-Jin;Kim, Hak-Jin;Koo, Kang-Mo;Ki, In-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Machinery Conference
    • /
    • 2017.04a
    • /
    • pp.71-71
    • /
    • 2017
  • 농용트랙터의 운전자는 작업, 주행으로 인한 유해한 저주파 진동에 장시간 노출된다. 이에 따라 운전자에게 전달되는 노면 진동을 감소시켜주기 위한 전방차축 현가장치의 역할이 커지고 있다. 트랙터의 전방차축 현가장치는 주로 유압식으로 설계되어 있으며 이를 구성하는 유압요소 선정이 현가장치의 성능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하지만, 실제와 유사한 조건에서 트랙터 차체 무게만큼 큰 부하를 제공하여 유압회로의 성능을 실험하는 것은 비용과 시간 측면에서 비효율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대체하기 위하여 개별 유압요소의 성능을 테스트 할 수 있는 현가장치 유압회로 요인 시험기를 설계제작 하였다. 이를 이용하여 개별 부품의 성능곡선을 센서를 이용 측정하였고 얻은 특성값을, 구성한 유압 시뮬레이션 모델에 반영하여 실제조건의 유압특성을 얻을 수 있는 유효한 시뮬레이션 모델 개발에 활용하였다. 또한, 실험실 환경에서 유압식 현가장치를 간소화 시킨 형태로 유압회로의 성능을 예비시험해 볼 수 있도록 다양한 센서를 장착 데이터를 취득할 수 있도록 하였다. 개발한 요인 시험기는 하부에 설치된 가진 실린더를 이용하여 상부에 설치된 현가장치 실린더의 스트로크 변위와 속도에 따른 힘을 측정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이를 위해 현가장치 실린더의 헤드부와 로드부에 각각 압력센서를 설치하였으며 헤드부, 로드부의 압력 차이와 로드셀을 이용해 측정한 가진 실린더의 힘의 관계를 확인하였다. 상부의 현가 실린더 장치는 복동 형태로 제작되어 헤드부, 로드부 양쪽 방향으로 유량이 흐를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이를 이용해 헤드부와 로드부 사이에 어큐뮬레이터, 가변 오리피스, 릴리프 밸브 등으로 유압회로를 구성하였으며 어큐뮬레이터 용량에 따른 힘의 변화, 가변 오리피스의 개도량에 따라서 전달되는 힘의 크기 등을 측정하였다. 하부의 가진 실린더는 사인파, 삼각파, 계단 입력, DC 레벨 등의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제작되었다. 신호의 주파수는 0~4Hz, 범위에서 사용자가 조절할 수 있도록 설정되었으며 계단응답 성능 측정 시험을 평가한 결과 정상상태오차는 0.470mm~0.536mm, 입상시간은 0.194초~0.202초, 정착시간은 0.230초~0.421초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