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부부갈등

검색결과 240건 처리시간 0.026초

부모의 양육행동, 부부갈등 및 아동의 형제자매관계와 아동의 공격성간의 관계 (The Influence of Parenting Behaviors, Marital Conflict, and Sibling Relations on Aggression in Children)

  • 김민정;도현심
    • 아동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49-166
    • /
    • 2001
  •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parenting behaviors, marital conflict and sibling relations on aggression with a sample of 301 6th graders (161 boys and 140 girls) living in P city. The subjects answered questionnaires regarding parenting behaviors, including sub-scales of physical punishment and psychological control, marital conflict, and sibling relations. Aggression was rated by peers. The results indicated that boys showed higher overt aggression than girls; children were aggressive when parents frequently used physical punishment and psychological control; the more children were exposed to marital conflict, the more aggressive they were, with particularly high correlations for girls; and the less positive and the more negative the sibling relations, the higher the aggression shown by children. Among the variables, parent's behaviors were the most highly correlated with aggression in both boys and girls.

  • PDF

부부갈등, 부모의 양육행동, 부모의 감독과 청소년의 적응 간 관련성 (Marital Conflict, Parenting Behavior, and Parental Monitoring Related to Adjustment of Adolescents)

  • 이형실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1083-1094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gender difference in adolescent's problem behavior and depression, and to analyze the effects of marital conflict, parenting behavior, parent's monitoring on adolescents' problem behavior and depression. Data obtained from 453 students in middle school was used for final analysis. This study found that female adolescents showed higher level of depression than male adolescents. Male adolescents reported higher level of marital conflict than female adolescents. On the other hand, female adolescents showed more mother's monitoring than male adolescents. Path analysis revealed that parenting behavior and parent's monitoring were negatively influenced by marital conflict. Adolescents' depression was negatively influenced by parenting behavior, but problem behavior was not influenced by parenting behavior. Father's monitoring had an impact on problem behavior of male and female adolescents. Depression was influenced directly by marital conflict, but problem behaviors were not directly influenced by marital conflict.

원가족변인이 부부갈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family of origin variables on marital conflict)

  • 정문자;이종원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147-164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family of origin variables on marital conflict. Seventy five married couples living together for less than 10 years were chosen from Seoul and Suwon cities. These subjects completed Korean Version of Family Adaptability and Cohesion Evaluation Scale Ⅱ, Individual Separation Scale, Family Rules Scale, Korea Certificated Egogram, and Marital Conflict Scale.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paired-t test, and hierarchical regression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husbands and wives wer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triangulation, family rules from family of origin and marital conflict. While husbands felt more strongly about their family rules than wives, wives perceived triangulation, and marital conflict higher than husbands. Second, husbands' controlling ego state, individuation, and family rules explained sixteen percents of husbands' marital conflict. Statistically speaking husbands' controlling ego state positively influenced on husbands' marital conflict. However, both of husbands' and wives' controlling ego states explained twelve percents of wives' marital conflict, and husbands' controlling ego stat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맞벌이 부부의 일-가정 갈등이 결혼만족에 미치는 영향에서 스트레스 대처의 조절효과 (The Influence of Work-Family Conflict on the Marital Satisfaction of Dual-Earner Couples: Moderating effect of three types of coping strategies)

  • 임인혜;유성경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26권4호
    • /
    • pp.551-578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맞벌이 부부의 일-가정 갈등이 결혼만족에 미치는 영향에서 스트레스 대처의 조절효과를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만 6세 이하 자녀를 양육하고 있는 맞벌이 부부 369쌍(아내 369명, 남편 369명)을 대상으로 스트레스 대처(문제중심, 사회적 지지추구, 긍정화), 일-가정 갈등, 결혼만족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자기-상대방 상호의존모형(APIM)을 기반으로 세 가지 스트레스 대처 전략 각각의 조절효과를 일→가정, 가정→일 갈등의 방향을 구분하여 6개의 연구모형을 통해 검증하였다. 스트레스 대처 전략의 조절효과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문제중심대처에서는 남편의 일→가정 갈등이 남편자신과 아내의 결혼만족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아내의 문제중심대처가 완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남편의 가정→일 갈등이 본인과 아내의 결혼만족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남편 자신이 사용하는 문제중심대처가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적 지지추구에서는 남편의 일→가정 갈등이 남편의 결혼만족에 미치는 부정적인 효과를 아내가 사용하는 사회적 지지추구가 완화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셋째, 긍정화 대처의 경우에는 남편의 일→가정 갈등이 남편과 아내의 결혼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아내가 사용하는 긍정화 대처가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아내의 가정→일 갈등에서도 아내가 사용하는 긍정화 대처의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 대한 논의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직업군인 배우자의 성장기 학대경험이 자녀학대에 미치는 영향과 부부갈등의 매개효과 검증 (Influence of Childhood Abuse Experience on Perpetration of Child Abuse among the Military Personnel's Spouses with the Mediation Effect of Family Conflict)

  • 서정열;최장원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5호
    • /
    • pp.343-356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직업군인 배우자의 성장기 학대피해경험이 자녀학대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성장기 부모로부터의 학대경험이 결혼 후 자녀학대로 이어지는 경로에 있어서 가정폭력피해 경험의 매개경로를 파악하여 자녀학대 가해에 대한 사회복지적 개입 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2015년 후반기 육군 3개 부대, 해군 2개부대, 공군 2개부대를 선정하여 자발적으로 설문에 응답한 직업군인 배우자를 대상으로 실태 조사한 설문자료를 사용하였으며, 최종분석에는 18세 미만의 자녀를 둔 기혼 직업군인 배우자 238명의 자료를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직업군인 배우자의 자녀학대 가해률의 경우, 정서학대가 51.4%, 신체학대가 28.9%, 방임이 3.8%로 나타났다. 또한 연구모형을 검증한 결과, 직업군인 배우자의 성장기 학대경험과 자녀학대 간에 직접적인 영향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성장기 학대경험이 부부갈등을 매개로 자녀학대로 이어지는 경로가 유의미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직업군인 배우자의 가정 내 불화와 자녀학대를 예방하기 위한 군사회복지적 개입 방안을 제언하고자 한다.

첫 자녀 출산 부모의 결혼만족도 변화경로 및 예측요인 (Trajectories in and Predictors of Marital Satisfaction after the First Baby Arrives)

  • 서미정
    • 육아정책연구
    • /
    • 제12권3호
    • /
    • pp.31-53
    • /
    • 2018
  • 본 연구는 첫 자녀 출생 후부터 영유아기 동안 아버지와 어머니의 결혼만족도 변화경로를 탐색하고, 이에 대한 아버지 양육참여 및 부부갈등의 영향력을 살펴보았다. 자료는 한국아동패널의 5개년 자료(1차년도~5차년도)를 활용하였고, 최종 표본은 첫 자녀를 출산한 984가구이다. 먼저 잠재성장모형 분석을 통해 아버지와 어머니의 결혼만족도는 시간 흐름에 따라 감소하는 변화패턴이 확인되었다. 하지만 결혼만족도는 아버지가 어머니에 비해 더욱 가파르게 감소하였고, 모든 측정 시점에서 아버지보다 어머니가 낮은 수준을 나타내었다. 다음으로 아버지의 결혼만족도 변화에 대한 영향요인은 통제변수인 어머니의 취업만이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이에 반해 어머니의 결혼만족도 변화에는 첫 자녀 출산 후 아버지의 양육참여 및 부부갈등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영유아기 자녀를 양육하는 동안 결혼만족도 향상을 위해서는 아버지와 어머니 간에 차별적 개입이 필요함을 시사하였다.

청소년의 행동문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The Effects of Individual Psychology, Family Environment and Social Environment Factors on Adolescents' Behavior Problems)

  • 오영경;이형실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51-64
    • /
    • 2010
  • 본 연구는 중학교에 재학 중인 남녀 청소년을 대상으로 성별에 따른 청소년 행동문제의 차이를 살펴보고 개인심리 요인과 가족환경 요인 및 사회환경 요인이 청소년의 행동문제와 어떠한 관련성을 가지고 있는지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해 기존의 연구와 관련 자료를 참고로 하여 자아존중감, 자기통제력, 부모의 양육행동, 부부갈등, 비행친구접촉, 학교생활적응 그리고 청소년의 행동문제에 관한 척도를 구성하고, 인천광역시에 있는 중학교 2학년 학생 500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한 후 최종 483부의 설문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외현화 행동문제에서 성별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아, 남자 청소년과 여자 청소년은 비슷한 수준의 외현화 행동문제를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내재화 행동 문제에서는 성별 차이가 나타나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더 높은 수준의 내재화 행동문제를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개인심리와 가족환경 및 사회환경 요인이 청소년의 행동문제에 어떠한 영향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면, 남자 청소년과 여자 청소년 모두 자기통제력이 낮을수록 그리고 비행 친구 접촉이 많을수록 더 많은 외현화 행동문제를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여자 청소년은 부부갈등이 심할수록 더 많은 외현화 행동문제를 경험하였다. 또한 남자 청소년은 자기통제력이 낮을수록, 자아존중감이 낮을수록, 부부갈등이 심할수록 그리고 비행 친구 접촉이 많을수록 더 많은 내재화 행동문제를 경험하고, 여자 청소년은 자아존중감이 낮을수록, 비행 친구 접촉이 높을수록 그리고 부모의 양육행동이 적대적일수록 더 많은 내재화 행동문제를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맞벌이 부부의 성역할태도와 다중역할 경험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Dual-Earner Couple's Gender Role Attitude and Work-family Experience on Marrital Satisfaction)

  • 손보영;김수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11호
    • /
    • pp.326-333
    • /
    • 2020
  • 본 연구는 맞벌이 부부의 결혼만족에 대한 이해를 위해 부부 각각의 성역할 태도, 다중역할 수행에서의 갈등과 향상의 경험이 자신과 배우자에게 미치는 상호영향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맞벌이 부부 95쌍, 총 190명을 대상으로 하여 대응표본 t검증과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먼저 맞벌이 부부의 성역할태도, 다중역할 경험 및 결혼만족도에 있어 부부 간 차이를 살펴본 결과, 성역할태도 및 다중역할 경험에 있어 부부 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며, 결혼만족도에 있어 남편이 아내보다 유의하게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맞벌이 부부의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상호영향을 살펴본 결과, 부부 간의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변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었다. 남편의 경우 자신의 성역할태도, 자신의 다중역할 향상이 결혼생활의 만족도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주는 반면, 아내의 경우는 남편의 성역할태도가 결혼생활 만족에 있어 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며 아내 자신의 다중역할 갈등이 결혼생활의 만족도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맞벌이 부부의 결혼만족에 관한 교육 및 프로그램에 있어 남편과 아내 각각의 영향과 상호간의 영향에 대한 고려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다문화가족의 부부갈등과 갈등대처전략 (The Marital Conflicts and Coping Strategies in the Multicultural Families)

  • 홍성희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16권1호
    • /
    • pp.149-175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marital conflicts and coping strategies among married female immigrants and Korean men in multicultural families. The data were collected by in.depth interviews with 12 female immigrants and 5 Korean men.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emale participants suffered from marital conflicts with their spouses, conflicts with mothers.in.law, stereotyped gender roles as a wife and a daughter.in.law, economic conflicts, and cultural differences between Korea and their country. In addition, male participants reported conflicts from economic support for their wife's family, gender role differences, and cultural differences. Coping strategies used to deal with the conflicts, such as mutual dedication and understanding their spouse's stance, and developing a compromise for the family's happiness were mentioned. A personal positive nature and attitude helped them to meet the marital conflicts. Supports from their husband, parents.in.law, and society also helped female immigrants to adapt to cultural differences. However, some of them used negative coping strategies which did not reduce conflicts, and resulted in separation and divorce. The coping strategies to deal with the conflicts depended on the participants' personal ability. While female participants who had English language skills took advantage to adapt to Korean society, those who did not have any other natural abilities could develop a definite position in their family and society with their diligence and positive attitude. The results showed that female participants who were supported by their family and society tended to cope successfully with conflicts and also showed that multicultural families' marital adjustment was maintained with their efforts as well as by relationships with their relatives and society.

  • PDF

결혼초기 남편과 아내의 부부갈등과 갈등대처방식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Marital Conflict and Conflict-Coping Method on Coulpe's Marital Satisfaction in Early Stage of Marital Life)

  • 이선미;전귀연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19권5호
    • /
    • pp.203-220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the marital conflict and the conflict-coping method of self and spouse have an effect on the marital satisfaction in the early stage of marital life.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the 132 couples in the area of Taegu and Pohang city. The instruments of measurement are marital conflict scale, conflict-coping method scale and Kansas marital satisfaction scale(KMSS). The data are analysed through factor analysis, Cronbach's ${\alpha}$, frequency, percentile, mean, standard deviation, paired t-test and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as a result of figuring out couples' marital conflict, husbands and wives are having the highest conflict in the personality factor. The difference of marital conflict between husbands and wives is shown significant in the relative factor. Secondly, as a result of figuring out couples' conflict-coping method, husbands and wives use mostly the reasonable behavior and leastly physical aggression. The difference of conflict-coping method between husbands and wives is shown significant in the verbal aggression, adjustment renunciation and physical aggression. Thirdly, as a result of figuring out how the marital conflict and the conflict-coping method of self and spouse have an effect on the marital satisfaction, the communication factor of the conflict factors, the wives' verbal aggression perceived by husbands, and the reasonable behavior of the self have much effect on the marital satisfaction in case of husbands. And the personality factor, sexual factor and role factor of the conflict factors and the husbands' verbal aggression and reasonable behavior perceived by wives have much effect on the marital satisfaction in case of wiv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