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부부갈등

검색결과 240건 처리시간 0.03초

재혼부부의 결혼만족도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rogram Development for the Remarried Couples' Marriage Satisfaction)

  • 김효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2호
    • /
    • pp.161-184
    • /
    • 2021
  • 본 연구는 재혼부부의 결혼만족도 프로그램 개발을 시도하는 것이다. 따라서 재혼부부 10인에 대한 심층면접을 바탕으로 재혼부부 결혼만족도 프로그램 개발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재혼부부 결혼만족도 프로그램은 재혼가족의 갈등이나 어려움뿐만이 아니라 그들이 가지고 있는 강점을 토대로 가족구성원 상호 간의 이해도를 높이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재혼부부가 부부 간의 유대감 강화로 갈등문제를 해결하고 결혼만족감을 높이는 것은 성공적인 재혼생활을 이끌어줄 뿐만 아니라 가족원의 행복도 역시 증진시켜준다는 측면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을 것이다.

여성결혼이민자의 삶의 만족과 관련 변인 (Women Immigrants' Satisfaction with Life and Related Variables)

  • 정진환;이창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1호
    • /
    • pp.139-146
    • /
    • 2012
  •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부부 108쌍을 대상으로 여성결혼이민자의 삶의 만족과 관련 변인간의 상관관계와 삶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2011년 5월부터 8월까지 4개월에 걸쳐 진행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성결혼이민자의 삶의 만족 및 희망은 남편의 희망 및 삶의 만족과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고, 부부갈등과는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남편의 부부갈등은 유의미한 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여성결혼이민자의 삶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여성결혼이민자의 주도사고와 남편의 삶의 만족으로 나타났으며, 그 중에서 희망의 주도사고가 가장 영향력 있는 변인이었다.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부부의 자료를 활용하여 여성결혼이민자의 삶의 만족과 희망, 그리고 부부갈등에 대해 처음으로 관심을 가졌으며 이러한 결과는 다문화가정의 안정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는데 큰 의미를 두고자 한다.

한국 부부의 갈등해소 방법 선택에 있어서 개인적 변인과 상황적 변인의 상대적 중요성 (Marital Conflict Strategies as Personal and Situational Attributes:A Study of Korean Couples)

  • 전효정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8권5호
    • /
    • pp.91-106
    • /
    • 2000
  • 대부분의 갈등해소에 관한 연구들은 갈등해소방법 사용의 상황에 따른 일관성을 미리 가정하고 있다. 그러나 몇몇 연구에서 갈등해소방법에 있어 성격의 효과와 함께 상황적 효과가 있음을 보고하고 있다. 아직까지는 갈등의 쟁점, 감정, 관련 인물과 이들의 상호작용을 고려한 갈등해소방법의 일관성에 관한 연구가 부재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상황에 따른 갈등해소 방법 선택의 일관성의 수준과 결혼 적응도에 있어서의 이들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나아가, 갈등해소의 과정 및 절차를 관찰하였다. 350쌍의 한국 부부들에게 설문조사(1차연구)를 실시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50쌍을 선발하여 갈등해소 과정을 관찰하였다(2차연구). 설문조사 결과에 의하면, 쟁점의 종류나 관련 대상에 따라서는 비교적 일관성 있는 방법을 사용하였으나, 감정상태에 따라서는 비 일관적인 해소방법을 사용하였다. 안정형 애착유형자는 건설적 해소 방법을 사용하는 반면, 불안정 애착유형자는 파괴적 또는 회피적 해소방법을 사용하는 경향을 보였다. 관찰 연구 결과에 의하면, 건설형 및 회피형 사용자는 설문조사와 관찰연구에서 일관성 있는 행동을 보였으며, 파괴형 해소방법 사용자는 설문조사와 관찰연구에 있어 일관성이 결여되어 있었다. 갈등해소의 과정, 즉 시작, 진행, 종료에 있어 유의한 타이가 발견되었으며, 이것이 결혼 적응도에 영향을 주었다. 연구결과들은 갈등해소와 결혼 적응에 관한 이론과 연계되어 논의되었다.

  • PDF

부부갈등 설화 속 전생(前生) 화소의 역할과 문학치료적 의미 - <전생의 인연으로 부부가 된 중과 이[蝨]와 돼지>를 중심으로 - (Role of Therapeutic Literature Regarding Motifs "Past Life" in a Tale of Marital Discord -Focusing on )

  • 박재인
    • 고전문학과교육
    • /
    • 제37호
    • /
    • pp.185-215
    • /
    • 2018
  • 이 글은 설화 <전생의 인연으로 부부가 된 중과 이[蝨]와 돼지>를 중심으로 전생론에 대한 새로운 해석을 시도하였다. 설화 전승주체들의 발언이나 독특한 방식으로 설화를 기억하는 사례를 통해, 부부갈등 설화 속 전생화소는 '막강한 운명에 대한 체념'을 강화하는 역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본고는 이 점에 문제를 제기하고, 이 설화 속 주인공이 품은 "왜?"라는 질문을 시작으로 이어지는 진중한 사유의 과정이야말로 좌절 속에서 극복의 가능성을 찾아내는 구비설화의 본질적 가치라고 주장한 것이다. 그리고 또 한 편의 각편 사례를 들어, '전생 발견하기' 화소가 이 설화에서 '존재와 삶을 스스로 선택할 수 있는 계기'로 의미하고 있음을 논하였다. 설화와 전생 화소에 이러한 해석은 운명에 대한 수동적 태도나 비극적 운명을 신념화하는 비관과는 달리 삶에 대한 긍정과 주체성인데, 이는 고정된 자아를 고집하지 않는 불가의 무아윤회론으로 풀이될 수 있었다. 이에 본고는 설화 속 주인공의 변화를 '전생 발견하기' 과정을 '"왜?"라는 질문을 던지고, 나와 아내의 존재를 사유하기 시작함 ${\rightarrow}$ 현존재적 '나'의 기억(혹은 인지)이 지닌 한계를 인정함 ${\rightarrow}$ 나와 아내의 존재를 재규정하고, 새로운 실존으로 거듭남'의 사유 과정으로 분석하였다. 설화의 서사 맥락에 따라 이러한 사유의 과정을 경험하는 것이 전생 화소를 포함한 부부갈등 설화의 효용성을 확인하는 문학치료 활동이 될 것이다.

이혼수형자대상 갈등대처기법 프로그램의 효과 (The Effect of the Correctional Program that Deals with the Conflicts of the Divorced Inmates)

  • 공정식
    • 시큐리티연구
    • /
    • 제13호
    • /
    • pp.23-45
    • /
    • 2007
  • 본 연구의 목적은 교정시험에 수용된 이혼수형자들을 대상으로 향후 재혼 등에 대비하여 부부갈등시 현명하게 대처할 수 있는 방안을 가질 수 있도록 유도하는데 초점을 두었다. 본 프로그램은 총 10회기로 구성되었으며, 초기 참여자는 6명이었으나, 최종 사후검사까지 마친 참여자는 5명이었다. 프로그램의 진행내용을 보면, 먼저 자기소개 중 별칭짓기에서는 참여자들이 별칭을 선정하는 기준이 대부분 개인적 경험이나 정서를 표현할 수 있는 단어들을 선호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10회기에 걸친 프로그램의 진행을 마친 후 프로그램의 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갈등 대처기법척도검사를 사전, 사후로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참여자별로 보면, ‘인내’ 와 ‘실로암’ 은 사전검사에서는 감정표출의 갈등대처기법을 많이 사용하던 것이 사후에는 이성적 대처를 더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변화되었음을 알 수 있다. ‘바다’ 와 ‘진’, ‘탄생’ 의 경우는 갈등상황에 사전검사에서는 이성적 대처 기법을 사용하는 정도가 높았는데, 프로그램 진행 후 사후검사에서 더 높아졌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하여 알 수 있는 것은 이혼수형자를 대상으로 한 갈등대처기법 교정프로그램이 참여자들의 갈등상황에서 효과적으로 대처하는 기술과 능력을 향상시켜 주는데 효과를 거둘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 PDF

부부상담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연구 : 부부갈등해결을 위한 통합적 접근 적용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of Marital Counseling Program : Applied Integrated Approach for Marital Conflict Solution)

  • 최규련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7권3호
    • /
    • pp.181-200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Marital Counseling Program for marital conflict solution and to verify the effects of the developed program both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This marital counseling program consisted of conjoint marital counseling(5 session) and group marital counseling(6 sessions). Each 13 couples of the experiment group and the control group were analysed. The effectiveness of this program was evaluated by pretest, post test, and follow-up after 3 months. It was analyzed by Mann-Whitney U Test and Wilcoxon Matched Pairs Signed-Rank Test. Also, as for the experiment group, the level of objective change perception, qualitative evaluation, and program evaluation were investigated. The major results were as follows: This marital counseling program for conflict solution was effective to decrease the level of marital conflict and explosive conflict coping and to increase the level of emotional interaction, communication skill, marital satisfaction, and self-esteem among experiment group. These positive effects maintained at follow-up. Additionally, participants(experiment group) reported positive changes of psycho-emotional state, spouse interaction behavior, marital communication and marital relationships. However, in the control group, there were no change according to the time. Future research and practical implications were added.

여성장애인의 결혼안정성 영향 요인 연구 (Factors Contributing to Marital Stability of Disabled Women)

  • 양정빈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3호
    • /
    • pp.208-216
    • /
    • 2020
  • 본 연구는 여성장애인의 결혼안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개인 관련 요인, 경제 관련 요인, 건강 관련 요인, 그리고 부부 관련 요인으로 나누어 분석해 보았다. 연구 대상은 조사시점 결혼생활을 유지하고 있는 여성장애인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총 124명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결혼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살펴본 결과, 연령이 높을수록, 기초생활수급자가 아닐수록, 자가에 거주할수록, 그리고 건강하고 우울감이 덜한 여성장애인일수록 결혼안정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부관련 요인에서 부부친밀감과 결혼만족도가 높고, 부부 갈등과 배우자 음주가 적을수록 결혼안정성이 긍정적으로 예측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여성장애인의 결혼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과 정책적 개입 방안들을 제안하였다.

청소년의 가족 및 또래 환경과 우울에 관한 연구 (The Effects of Family and Peer Environment on Adolescents' Depression)

  • 김진아;이형실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49-159
    • /
    • 2011
  • 본 연구는 중학생을 대상으로 성별에 따른 우울의 차이를 살펴보고, 가족 환경과 또래 환경이 청소년의 우울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해 우울, 부모와의 관계, 부부 갈등, 또래 관계, 또래괴롭힘을 측정하는 설문지를 구성하여, 경기도 부천 시내 5개의 중학교에서 2학년 학생 66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최종 분석에 633부의 자료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우울은 낮은 편이며,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남자 청소년보다 여자 청소년이 우울을 더 많이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의 우울에 미치는 가족 환경과 또래 환경의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보면, 남녀 청소년의 우울에는 또래괴롭힘, 부모와의 관계, 부부 갈등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녀 청소년 모두 또래괴롭힘 수준을 높게 인식할수록, 부모와의 관계 수준이 낮을수록, 부부 갈등이 심할수록 우울을 더 많이 경험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