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y on the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of Marital Counseling Program : Applied Integrated Approach for Marital Conflict Solution

부부상담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연구 : 부부갈등해결을 위한 통합적 접근 적용

  • 최규련 (수원대학교 아동가족복지학과)
  • Published : 2009.06.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Marital Counseling Program for marital conflict solution and to verify the effects of the developed program both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This marital counseling program consisted of conjoint marital counseling(5 session) and group marital counseling(6 sessions). Each 13 couples of the experiment group and the control group were analysed. The effectiveness of this program was evaluated by pretest, post test, and follow-up after 3 months. It was analyzed by Mann-Whitney U Test and Wilcoxon Matched Pairs Signed-Rank Test. Also, as for the experiment group, the level of objective change perception, qualitative evaluation, and program evaluation were investigated. The major results were as follows: This marital counseling program for conflict solution was effective to decrease the level of marital conflict and explosive conflict coping and to increase the level of emotional interaction, communication skill, marital satisfaction, and self-esteem among experiment group. These positive effects maintained at follow-up. Additionally, participants(experiment group) reported positive changes of psycho-emotional state, spouse interaction behavior, marital communication and marital relationships. However, in the control group, there were no change according to the time. Future research and practical implications were added.

Keywords

References

  1. 강혜숙.김영희(2008). 결혼초기 부부의 결혼만족도와 안정성에 관련된 요인. 한국가족치료학회지, 16(1), 135-156
  2. 공성숙(2004). Gottman의 이론을 바탕으로 한 부부관계증진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연구. 한국가족치료 학회지, 12(2), 139-169
  3. 권수정.전영주(2007). ENRICH를 활용한 결혼초기 부부관계 향상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검증. 한국가족치료학회지, 15(2), 242-275
  4. 권정란(2005). 원가족의 정서적 건강성과 자기분화에 따른 부부적응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기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권정혜.채규만(2000). 부부적응 프로그램의 개발과 그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임상심리학회지, 19(2), 207-218
  6. 김경자(2004). 기혼남녀의 원가족 경험과 자아분화가 가족체계 기능에 미치는 영향. 성신여자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7. 김규식.김성회(2001). 인지행동적 부부훈련이 부부문제감소와 부부관계 향상에 미치는 효과. 상담학연구, 2(1), 45-60
  8. 김명자.최연실(2007). 중년기 기혼남녀의 부부의사소통과 부부 친밀감이 심리적 복지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 학회지, 25(3), 1-23
  9. 김성회(1999). 인지-행동적 부부관계촉진 훈련 프로그램 : 집단 상담 프로그램. 한국발달상담학회 출판부
  10. 김순기(2001). 기혼자녀가 지각하는 원가족의 정서적 건강성과 자아정체감이 결혼 후 심리적 안녕에 미치는 영향. 경희 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1. 김순옥(2001). 부부의사소통 교육프로그램 개발. 한국가족관계 학회지, 6(1), 137-157
  12. 김영희.정선영(2007). 부부갈등과 결혼만족도- 갈등대처방식의 조절 효과.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5(5), 65-82
  13. 김오남.김경신.이정화(2008). 결혼이민자 남편의 부부관계 향샹프로그램 효과성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6(1), 69-84
  14. 김현정.김명자(1999). 근원가족건강도,자아존중감, 결혼적응의 관계-청주시 결혼초기 부부를 중심으로. 한국가족관계학회지, 4(2), 39-60
  15. 김희진(2004). 결혼초기 부부관계 향상프로그램 개발. 서울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6. 김희진(2004). 한국부부의 결혼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상담학연구, 5(3), 839-853
  17. 모의희(2002). 자기존중감과 의사소통 훈련을 통한 부부적응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개발. 한국가족치료학회지, 10(2), 45-73
  18. 박남숙.연문희(2002). 부부성장집단 프로그램 개발. 상담학 연구, 3(2), 337-364
  19. 박민자.정혜정(2006). 미술치료를 활용한 Satir 집단프로그램이 가정폭력 피해여성의 자존감과 의사소통 향상에 미치는 효과. 한국가족치료학회지, 14(1), 21-49
  20. 박성주(2008). 이혼위기 부부를 위한 문제해결 단기상담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검증. 계명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1. 박영화.고재홍(2005).부부의 자존감,의사소통방식, 및 갈등 대처 행동과 결혼만족도간의 관계:자기효과와 상대방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 사회와 성격. 19(1), 65-83
  22. 박태영(2005). 한국인 기혼남녀들의 결혼만족도에 대한 비교 연구. 상담학연구, 6(2), 601-619
  23. 방현주.이기숙(2002). 부부관계향상 프로그램을 통한 결혼 초기 부부의 의사소통 능력증진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40(11), 39-54
  24. 서혜석(2005). 자존감 및 부부적응 향상을 위한 가정폭력 행위자의 부부집단 프로그램 효과성 연구 : V. Satir, 성장모델 이론을 중심으로. 한국가족복지학회, 10(1), 25-41
  25. 송정아(2006). 이마고 부부치료 모델 내용의 타당성과 적용 효과성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44(4), 87-99
  26. 안창현.김진이(2008). 부부의 자아존중감, 의사소통 및 가족 응집성․적응성과 갈등대처방식간의 관계. 한국가족 치료학회지, 16(2), 95-114
  27. 오윤자(1998). 부부관계향상 프로그램. 한국가족관계학회편, 가족생활교육. 도서출판하우
  28. 원요한.천성문.윤치연.이영순(2004). 부부관계증진 상담 프로그램이 지체장애인 부부의 자아존중감 및 가족기능에 미치는 효과. 상담학연구, 5(3), 855-866
  29. 유계숙.최성일(2005).이혼 숙려부부들을 위한 상담프로그램 모형개발.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0(2), 57-92
  30. 유양숙(1999). 척수장애인 부부의 문제와 부부관계증진 프로그램 적용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박사학위논문
  31. 유영주(2001). 건강가족연구. 교문사
  32. 윤운성.김봉환.임형택.황임란.이주하.정정옥.이명숙 (2003). 애니어그램 이해와 적용. 학지사
  33. 이경순(2004). 가정폭력 행위자 부부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V. Satir 성장모델 이론을 중심으로. 영남대 박사학위 논문
  34. 이경옥.김영희(2003). 기혼여성의 성과 결혼만족도. 대한가정 학회지, 41(7), 39-58
  35. 이동숙(2008). 부부성장 집단프로그램이 개인 및 관계성장에 미치는 효과 -중년기부부를 중심으로-. 한국가족치료학회지, 16(1), 81-111
  36. 이영실(1989). 도시부인의 부부갈등 제 요인과 성생활 불만족의 정도. 숭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7. 이종선.권정혜(2002).부부의 대인관계, 의사소통방식, 결혼 만족도가 부부폭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임상, 21(2), 313-330
  38. 이지현(1997). 가정행복지수 높이는 66가지 지혜. 규장
  39. 이창숙.유영주(1998). 부부갈등 해결교육 프로그램 개발연구-Baucom과 Epstein의 인지행동적 모델에 기초하여. 한국가족관계학회지, 3(10), 46-71
  40. 이현숙(1999). 인지행동적 부부의사소통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41. 이현주(2004). 회복중인 알코올 의존자 부부를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42. 이화자(2008).경험적 부부집단치료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성 검증 -Satir 성장모델과 비폭력대화(NVC) 모델의 통합-.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43. 이화자.최연실(2003). 중년기 부부관계증진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성 연구: Satir 가족치료모델을 중심으로. 한국가족치료학회지, 119(2), 49-76
  44. 임유진.박정윤.김양희(2008). 원가족 부모와의 애착 맟 심리적 독립 지각과 신혼기 결혼적응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6(5), 143-154
  45. 장록주(2007). 애니어그램을 사용한 부부관계증진 프로그램연구. 한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6. 장문선.김영환(2002). 부부의사소통 패턴과 특징적 갈등 대처방식. 한국심리학회지 : 임상, 21(2), 331-347
  47. 전영주.이성희(2006). 협의이혼청구자의 원가족경험 분석,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4(5), 191-203
  48. 정미향.김득성(2001). 결혼 전 관계 향상프로그램 구성 및 효과검증. 한국가정관리학회지, 52(8), 69-83
  49. 정현숙(1998). 부부관계프로그램 : 일, 사랑, 가족 함께 가기. 한국가족관계편, 가족생활교육. 도서출판 하우
  50. 조은숙(2006). 우리들의 거듭난 결혼 이야기. 한국기독학생부
  51. 진명자(2005). 부부성장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홍익대학교 박사학위논문
  52. 천혜정(2006). 연령에 따른 기혼남여의 성 의사소통 및 성만족도의 차이와 결혼행복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1(3), 283-299
  53. 최규련(1995a). 가족체계의 기능성, 부부간 갈등 및 대처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2(2), 140-152
  54. 최규련(1995b). 가족의 기능성, 부부간 갈등 및 대처방법과 부부의 심리적 적응과의 관계. 대한가정학회지, 33(6), 99-113
  55. 최규련(1997). 부부대화법 프로그램의 한국에서의 적용효과. 한국가족관계학회지 2, 141-166
  56. 최규련(2001). 행복한 결혼생활을 위한 부부대화법. 신정
  57. 최규련(2002). 농촌 부부평등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검증.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0(3), 73-85
  58. 최규련(2003). 농촌 부부평등교육 프로그램 효과에 관한 분석적 연구. 상담학연구, 4(2), 309-328
  59. 최규련(2008). 가족상담 및 치료. 공동체
  60. 최문임.최규련(2007). 중년기 여성의 성적 적응이 심리적 복지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2(3), 59-83
  61. 최선령(2001). 아내구타자의 인지행동집단프로그램 참여 1년 후 효과와 폭력관련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치료학회지, 9(1), 99-130
  62. 최선희.장신재(2002). 부부의사소통이 부부폭력 및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가족과 문화, 14(2), 31-58
  63. 통계청(2008). 이혼통계결과. 통계청
  64. 하상희(2007). 기혼남여가 지각한 원가족 경험이 자존감 및 부부갈등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5(4), 17-29
  65. 하상희(2008). 기혼남여가 원가족 경험이 결혼만족도 및 심리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6(2), 129-141
  66. 한국결혼지능연구소(2003). 한국결혼지능연구소 개소기념 심포지움 자료
  67. 한주리.허경호(2004). 부인과 남편의 의사소통, 논쟁경향 및 성격과 결혼만족도의 관계. 한국방송학보, 14(4), 148-190
  68. 홍성묵(2003). 아름다운 사랑과 성. 학지사
  69. Bartle-Haring, S.,& Sabatelli,R.(1998). An intergenerational examination of patterns of individual and family adjustment.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60, 903-911 https://doi.org/10.2307/353633
  70. Brown, J. H., & Brown, C.S.(2005). 부부치료-효과적 임상을 위한 개념과 기술.(김영희.최규련.홍숙자 역, Marital therapy : Concept and skills for effective practice. Thomson). 학지사.(원저 2002 발행)
  71. Cahn,D.(1992). Conflict in intimate relationships. N.Y.: Norton
  72. Curran,D.(1985). Stress and the healthy family. N.Y. : Harper & Row
  73. Donnelly,D.(1993). Sexually inactive marriage. The Journal of Sex Research, 30(1), 171-179
  74. Dunn,K.M.,Croft, P.R.,& Hackett,G. I.(2000). Satisfaction in the sexx life of a General Population sample. Journal of Sex & Marital Therapy, 26, 141-151 https://doi.org/10.1080/009262300278542
  75. Ellis,A.(1990). Anger : How to live with and without it. N.Y. : Carol Publishings
  76. Feindler.E & Guttman, J.(1994). Cognitive behavioral anger control training. C.W.LeCroy(Ed.). Handbook of child and adolescent treatment manuals. N.Y. : Lexington Books
  77. Gottman.J.M.(1993). A theory of marital dissolution and stability. Journal of Family Psychology,7,57-75 https://doi.org/10.1037/0893-3200.7.1.57
  78. Gottman.J.M.(2003). 부부치료의 과학적 접근: Gottman의 부부치료 모델 (한국결혼지능연구소 역, The marriage clinic : scientifically-based maritaltherapy.N.Y.:Norton) 한국결혼지능연구소.(원저 1999 발행)
  79. Gray,J.(1993). Men are from Mars, women are from Venus. N.Y. : Bantam
  80. Guerin,P., Fay, L., Burden,S., &Kautto, J.(1987). The evaluation and treatment of marital conflict. N.Y.: Basic Books
  81. Jacobson,N.S., & Margolin,G.(1979). Marital therapy : Strategies based on social learning,and behavior exchange principles. N.Y. : Bruner/Mazel
  82. Jacobson,N., Holtzworth-Monroe,A., & Schmailing,K.(1989). Marital therapy and spouse involement in the treatment of depression, agoraphobia and alcoholism. Journal of Counseling and Clinical Psychology, 57, 5-10 https://doi.org/10.1037/0022-006X.57.1.5
  83. Miller, S., Miller, P., Nunnally, E. W., & Wackman, D.B.(1996). 부부대화법 : 부부가 함께 말하기와 듣기.(채규만.최규 련.송정아.홍숙자 역, Couple communication1:Talking and Listening Together. Interpersonal Communication Programs, Inc.).한국가족상담교육연구소.(원저 1991 발행)
  84. Nichols, W.C.(1988).Matital therapy : An integrative approach. N.Y.: Guilford Press
  85. Olson,D.H. & DeFrain, J.(1994).Marriage and the family: Diversity and strengths. Mayfield Publishing Co
  86. Rehman,U.S.,& Holtzworth-Munroe,A.(2007). A cross-cultural examination of the relation of marital communication behavior to marital satisfaction. Journal of Family Psychology, 21(4),759-763 https://doi.org/10.1037/0893-3200.21.4.759
  87. Rosenberg, M.(1979). Conceiving the self. N.Y.: Basic Books
  88. Sabatelli, R. M & Suzanne,B.H.(2003). Family-of-origin experiences and adjustment in married couples.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65, 159-169 https://doi.org/10.1111/j.1741-3737.2003.00159.x
  89. Satir. V.(1983). Conjoint family therapy. California : CA; Science and Behavior Books
  90. Stinnett, N.(1997). Strengthening families. Family Perspective, 13
  91. Stinnett, N. & Defrain,J.(1985).Secrets of strong families. Boston : Little,Brown & Co
  92. Trudel, G.(2002). Sexuality and marital life : Results of a survey. Journal of Sex and Marital Therapy, 28, 229-249 https://doi.org/10.1080/009262302760328271
  93. Wallerstein J.(1995). The good marriage : How and why love lasts. N.Y.: Houghton Muffin
  94. Yalom, I. D.(1993). 집단정신치료의 이론과 실제.(최혜림.장정숙 역. The theory and practice of group psychotherapy. (3rd)), 하나의학사.(원저 1985년 발행)
  95. Young, M.E.,& Long, L.L.(2003). 부부상담과 치료.(이정연 역, Counseling and therapy for couples. Thompson).시그마 프레스.(원저 1998발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