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부모학대

검색결과 131건 처리시간 0.023초

부모의 학대 및 방임과 학령기 아동의 또래애착이 휴대전화 의존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arental Abuse and Neglect, and Children's Peer Attachment, on Mobile Phone Dependency)

  • 우수정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51권6호
    • /
    • pp.583-590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parental abuse and neglect, as well as that of children's peer attachment, on mobile phone dependency. Data were obtained from the Korean Child-Youth Panel Survey (KCYPS), and the participants were 1,892 (909 boys, 983 girls) elementary students (5th graders) who had a mobile phone. To measure the variables, this study used such scales as the parental abuse and neglect scale, peer attachment scale, and mobile phone dependency scale.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parental abuse and neglect had direct negative effects on children's peer attachment; that is, the more parental abuse and neglect, the less children's peer attachment. Second, parental abuse and neglect had direct positive effects on mobile phone dependency; that is, the more parental abuse and neglect, the greater children's mobile phone dependency. However, children's peer attachment did not directly affect mobile phone dependency; that is, children's peer attachment did not have a mediating effect between parental abuse and neglect, and mobile phone dependency. In conclusion, parental abuse and neglect influence children's peer attachment and mobile phone dependency. Thus this study showed that parental abuse and neglect, rather than children's peer attachment, affect children's mobile phone dependency.

부모의 언어적 학대와 아동의 정서적 부적응행동과의 관계 (The Relation between Verbal Aggression by Parents and Children's Maladjusted Emotional Behavior)

  • 김혜련;이재연
    • 아동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91-108
    • /
    • 1994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 between verbal abuse by parents and children's maladjusted emotional behavior. The sampling consisted of 628 children in 16 classes out of every three elementary schools and one middle school. Instruments used for this study were the Verbal Abuse Measure, Parent-to-child violence items of the Conflict Tactics Scales, Emotional Maladjustment Behavior Scale, and Socioeconmic Status. Methods applied to data analysis were multiple regression, logistic regression and logistic curve graphic display. The major findings were ; (1) Of all subjects, almost 20% experienced at least one instance in which they were victims of verbal abuse during the year covered by this study. (2) As the amount of physical abuse by parents increased the verbal abuse by parents increased. The older children experienced more verbal abuse than the younger ones. (3) Verbal abuse by parents was more highly related to maladjusted emotional behavior of the children than physical abuse by parents. (4) Regardless of the physical violence by parents, verbal abuse by parents was associated with maladjusted emotional behavior of children. Children who were subjected to both verbal and physical abuse were more strongly related to withdrawal, hyperactivity, and obsessive-compulsions than children experienced either one or the other.

  • PDF

부모의 학대, 방임과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간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in the Relation between Parental Abuse, Neglect and School Life Adjustment in Adolescent)

  • 이윤아;최진아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53권3호
    • /
    • pp.331-339
    • /
    • 2015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parental abuse and neglect on school life adjustment mediated by self-esteem in adolescents. Participants consisted of 2,259 middle school students from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tudy 2012. Secondary questionnaire data on parental abuse and neglect, self-esteem, and school life adjustment are used for this study.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analysis, Cronbach's a,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Baron and Kenny's method determined the mediation effect. SPSS ver 18.0 was adopt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parental abuse and neglect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adolescent school life adjustment; however self-esteem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adolescent school life adjustment. Second, the results of the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adolescent school life adjustment was influenced both directly and indirectly; parental abuse had a direct effect on adolescents' school life adjustment and also had an indirect effect on mediated by self-esteem. Parental neglect had a direct effect on adolescent school life adjustment and had an indirect effect on adolescent school life adjustment mediated by self-esteem. The results indicated that self-esteem plays a crucial variable in the relationship of parental abuse and the school life adjustment. Also, self-esteem plays a crucial variab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neglect and school life adjustment.

애착과 정신병리 (ATTACHMENT AND PSYCHOPATHOLOGY)

  • 최지은;안동현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15권1호
    • /
    • pp.40-60
    • /
    • 2004
  • 서 론:1940년 경 발달학적 관점에서 시작된 애착에 관한 연구가 지난 수십 년 동안 많은 발전을 이루었다. 초기 연구에서 주로 영유아기 아동의 부모에 대한 애착연구는 이후 성인기애착에 대한 평가가 가능해지면서 청소년기 혹은 성인기의 대인관계나 정서적 유대, 양육 경험에 까지 적용해 왔다. 이런 발전과 함께 최근 발달학적 정신병리에 관한 연구로 애착장애를 포함한 다양한 아동기 정신병리, 더 나아가 성인기 정신질환과 애착의 관계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었다. 이 관계를 최근에 수행된 연구들을 중심으로 조명해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최근에 수행된 연구를 중심으로 관련 문헌들-Medline에서 검색된 논문, 주요 단행본, 국내에서 발표된 애착 관련 논문들을 고찰하였다. 결 과:아동기 애착장애, 그 외에 정신병리로서 수용소에서의 양육과 후기 입양의 문제, 공격성과 행동문제, 아동기 불안장애 및 우울증, 성주체성 장애 및 섭식장애, 그리고 아동학대 및 부당 취급, 아동기의 또래관계 및 사회성 발달, 부모의 애착관계와 양육행동이 애착과 밀접한 연관을 가짐을 보여주고 있다. 다음으로, 최근 유아의 애착 행동이나 유형이 성인기까지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장기 추적 연구들이 진행 중이다. 또한 Main 등이 개발한 AAI는 성인애착연구에 중요한 도구로 이용되었고, 이런 발전에 힘입어 부모의 해결되지 않은 애착에 관련된 문제가 자녀와 애착을 형성하는 과정에 영향을 주는 세대간 전이 현상을 발견하게 된 이후 성인 정신 병리의 원인에 대한 연구가 이러한 생애 초기의 애착과 관련된 문제에 관심을 갖게 하였다. 이 가운데 특히 성인기의 다양한 정신질환들-기분장애, 불안장애, 식사장애, 정신분열병, 해리장애, 성격장애-을 Bowlby의 발달학적 이론을 근거로 이해해 보고, 유아기의 애착과의 연관성 및 애착과 관련된 경험들이 후기 이러한 정신병리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가에 대한 연구결과들이 논의되었다. 결 론:애착이론은 일반적인 부모의 양육과 같이 광범위한 부모-자녀 관계를 보다 심도 있게 조명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부모-자녀관계가 대개 사회심리적인 접근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것과 달리 애착은 기본적으로 생존에 대한 생물학적인 기초에 근거하여 생태학적인 관점에서 아동의 문제를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또한 부모-자녀관계, 나아가 아동과 가족간의 관계 속에서 파악하기 때문에 접근이나이를 기초로 하는 치료도 상호적인 관계 속에 이루어질 수밖에 없다. 따라서 앞으로 별도로 발전되어 왔던 발달 이론과 또한 별도로 독자적인 발전을 이루어 온 아동 정신병리 및 애착 장애와의 관련이 긴밀해져야 할 것이다.

  • PDF

청소년이 지각한 근친상간의 가족역동 (FAMILY DYNAMICS OF INCEST PERCEIVED BY ADOLESECENTS)

  • 김헌수;신화식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6권1호
    • /
    • pp.56-64
    • /
    • 1995
  • 오늘날 우리사회가 맞고 있는 가치관의 변화, 도덕성의 불괴와 더불어 가정폭력은 중대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흔히 문제가 되는 가정 폭력으로는 배우자학대, 아동학대, 노인학대, 근친상간등을 들수있는데 특히 근친상간은 그 문제의 은폐성으로 인하여 정확한 발생빈도조차 파악되지 않고 있다는점이 그 심각성을 더해주고 있다. 그러나 아동에 대한 성적학대의 한 형태인 근친상간이 높은 빈도로 발생하고 있다는 사실은 여러문헌을 통하여 간접적으로 알려진 사실이다. 근친상간은 매우 역기능적인 가족관계에서 유발되며 이러한 환경에서 성장한 자녀가 성인이 된후 그들의 자녀를 성적으로 학대하는 경향이 높다는 악순환성에서 그 심각성을 엿볼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근친상간 경험청소년의 성격적특성, 근친상간 발생 가정내 가족원의 성격적특성과 정신병력 유무 및 근친상간발생 가정의 가족역동을 알아보기 위함이다. 연구방법은 설문지와 면담을 통한 측정조사연구로써 조사대상자는 중학교 1학년에서 고등학교 3학년까지 재학중인 학생청소년 1,237명과 소년원, 분류심사원에 재원중인 비행분류심사원, 범죄 청소년 601명중 불충분한 응답자 142명을 제외한 1,69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조사결과 전체 연구대상자중 근친상간경험비율은 3.7%였으며 근친상간유형별로는 형제-자매간 근친상간유형이 1.6%로 가장 높았다. 근친상간경험 청소년의 성격특성은 근친상간비경험 청소년에 비해 미숙하고, 융통서이 적으며, 의사표현력의 결여, 충동적, 학업성적의 저조와 긴장, 불안 및 의존적 성향을 보여주었으며 가족원중에도 우울증환자, 알코올중독자, 정신병력자 및 범법행위자등이 많았다. 또한 근친상간발생 가정의 가족역동은 근친상간이 발생하지 않은 가정의 가족역동에 비해 매우 역기능적이었음을 알수 있었다. 즉 근친상간 발생 가정의 가정분위기는 매우 불안정하였으며, 자녀에 대한 부모의 거부적 태도, 가족원간의 불화, 원만하지 않은 부부관계등을 보여주었다.로 나타났으며, 특히 LNNB-C의 지적 과정 척도(C11)와 FSIQ간에 가장 높은 부적 상관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절과들은 모두 뇌손상을 진단하는 신경심리 검사로서 한국판 LNNB-C의 타당도 및 진단 변별력이 우수함을 입증해주는 결과라 할 수 있다.形 父母平定尺度)(CAPRS), 아동행동조사표(兒童行動調査表) 및 연속과제수행(連續課題遂行)에서 호전을 보였고, 투여 2개월후에서도 같은 양상의 호전을 보였으며, 또한 아동행동조사표(兒童行動調査表)에서 외향성(外向性)은 물론 소통불능(疏通不能)${\cdot}$사회적위축(社會的萎縮)${\cdot}$과잉행동(過剩行動)${\cdot}$공격성(攻擊性)${\cdot}$비행요인(非行要因)에서도 호전양상을 보였다. 이와같은 결과는 이 두 약물이 모두 주의력(注意力)과 인지기능(認知機能)을 증진시키기는 하였으나, 보다 뚜렷한 변화는 methylphenidate 투여후에 볼 수 있었다. 특히 methylphenidate투여후 연속과제수행(連續課題遂行)에서 민감도(敏感度)와 반응오류수(反應誤謬數)의 호전이 있었으나 반응기준(反應基準)에는 변화가 없었다는 소견, 그리고 단기기억수행(短期記憶遂行)에서의 호전과 '같은 그림 찾기' 검사의 오류수(誤謬數)에서 변화가 없었다는 소견은 methylphenidate가 훈기요인(勳機要因)의 호전에 의한 이차적인 변화에 의한 것이 아니라 주의집중력(注意集中力)에 직접적으로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었다. 또한 이같은 소견으로 주의력결핍(注意力缺乏)${\cdot}$과잉운동장애환아(過剩運動障碍患兒)에서의 충동성(衝動性)은 이 장애의 중심증상이 아니거나, 이들 약물투여에 의해 호전되지 않거나, 호전의 측정에 문제가 있을 수도 있겠다. 마지막으로 주의력결핍(注意力缺乏)${\cdot}$과잉운동장애(過剩運動障碍)에서 과잉행동(過剩行動)과

  • PDF

우리나라 중·고등학생의 다문화 수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체계적 문헌고찰 (A Systematic Review on Factors Influencing Multicultural Acceptance in Korean Adolescents)

  • 차슬기;변해원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7호
    • /
    • pp.207-213
    • /
    • 2018
  • 청소년들의 다문화 수용성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일반 청소년들의 다문화 인식 개선 교육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다문화 수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파악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청소년의 다문화 수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동향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청소년들의 다문화 수용성 증진을 위한 향후 연구에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 2008년부터 2017년까지 '다문화', '수용성', '청소년', '중학생', '고등학생' 키워드를 조합하여 검색된 6,435건의 논문 중 영향요인을 분석한 종적연구 6편을 분석하였다. 논문의 질적 평가는 미국 질병관리센터의 Community Guide와 STROBE의 질적 평가 기준을 참고하였다. 연구 결과 개인요인에서 성별, 해외방문경험, 삶의 만족도, 가정요인에서 부모의 양육방식 중 방임과 학대, 부모의 학력, 학교 및 지역사회요인에서 교우관계, 교사관계, 지역사회 관계, 공동체의식이 다문화 수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조사되었다. 청소년의 다문화 수용성은 일부 요인에만 영향을 받지 않으며 개인, 가정, 학교, 지역사회와 같은 여러 요인에 영향을 받으며 이러한 영향 요인은 학년이 바뀌면서 함께 변화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를 기초로 학년별 영향요인을 파악하여 다문화 수용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환경조성과 교육의 지원이 요구된다.

비연속시간 생존분석을 적용한 청소년의 최초 폭력 발생시점에 대한 영향요인 검증 (Applying Discrete-Time Survival Analysis to Testing the Determinants on the Onset of Adolescents' Violence Behavior)

  • 노언경;홍세희
    • 한국조사연구학회지:조사연구
    • /
    • 제11권3호
    • /
    • pp.81-101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최초 폭력 발생시점을 살펴보고, 최초 폭력 발생시점에 대하여 개인, 가족 및 학교체계변수들의 영향을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패널조사에서 최초 폭력 발생시점을 회고적으로 응답한 자료에 비연속시간 생존분석(discrete-time survival analysis)을 적용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최초의 폭력행동은 초등학교 시기에 발생할 확률은 매우 낮았으나, 중학교 1학년 시기부터 급증하여 고등학교 1학년이 되기까지 계속해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폭력행동의 최초 발생시점에 대한 개인체계요인 중에서는 성별, 자아존중감, 공격성이, 가족체계요인 중에서는 결손가정 여부와 부모의 학대요인이, 학교체계요인 중에서는 비행친구 수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최초 폭력 발생시점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변수들에 초점을 맞추어 청소년의 폭력 발생을 예방하기 위한 적절한 대비책을 찾는 데 도움을 줄 것이다.

  • PDF

부모의 학대 및 방임과 청소년의 우울 및 비행의 안정성 및 상호적 영향 (Stability and Reciprocal Effects of Abuse and Neglect by Parents and Adolescent Depression and Delinquency)

  • 김민주;도현심
    • 아동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133-148
    • /
    • 2017
  • Objective: This study focused on the stability and reciprocal effects between abuse and neglect by parents and adolescent depression and delinquency. We examined both parent and child effects by adopting the transactional model proposed by Sameroff (2009). Methods: Using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ing, data from the $2^{nd}$ to the $4^{th}$ wave of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tudy (KCYPS) were analyzed. The sample consisted of 1,982 adolescents who were $8^{th}$ graders in 2011. Data were collected at three different phases: when participants were in $8^{th}$ grade (T1), $9^{th}$ grade (T2) and $10^{th}$ grade (T3). Results: First, the effects of abuse and neglect by parents and adolescent depression and delinquency showed stability from the $8^{th}$ to the $10^{th}$ grade. Second, abuse at T1 and T2 had effects on adolescent delinquency at T2 and T3, respectively, but not on adolescent depression. In terms of child effects, abuse was influenced by adolescent depression only. Adolescent depression and delinquency had no reciprocal effects. Finally, there were reciprocal effects between neglect on one hand and adolescent depression and delinquency on the other. That is, there were child effects as well as parent effects. No significant effects were found in the reciprocal relations between adolescent depression and delinquency. Conclusion: The present study found the stability of abuse and neglect by parents and adolescent depression and delinquency. Furthermore, this study identified the child effects as well as parent effects, thus supporting the transactional model of neglect by parents and adolescent depression and delinquency.

가정폭력 가해자 교정상담 프로그램 효과와 내용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Effect of Corrective Counseling Programs for Domestic Violence Offenders and Its Content Analysis)

  • 변상해
    • 벤처창업연구
    • /
    • 제6권3호
    • /
    • pp.131-146
    • /
    • 2011
  • 본 연구는 가정폭력 가해자들을 위한 가해자 교정상담 프로그램에 대한 효과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내용은 전국가정폭력 상담소 가해자 교육대상자와 전국 가정폭력 상담소 협의회, 한국여성의 전화 전화연합, 한국가정법률상담소 미 전국지부와 법원위탁 가정폭력 가해자 상담기관에서 상담 받은 가정폭력 가해자들이다. 연구결과는 부모로부터 받은 아동기 학대 경험이 적을수록 교육에 효과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도시에 거주하는 가해자의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는 정보와 교육수준이 높아 이해력이 높기 때문이다. 셋째, 교정상담 프로그램중에서 부부상담 프로그램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넷째, 교정상담 적용 프로그램중 여성주의 모델이 가장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가정폭력 가해자 교육중에 여성주의 상담과 여성주의 모델은 교정상담에 만족도에 큰 영향을 주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PDF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학대와 자녀의 부적응 (Parental Abuse and Maladjustment Perceived by Middle School Student)

  • 강경아;류점숙;신효식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43-55
    • /
    • 1998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abuse and maladjustment per ceived by middle school student. The subjects were 448 middle school students in Kwangju.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1. There were foun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background variables in parental abuse and maladjustment. Physical abuse was found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gender of the child and unreasonable rearing behavior of the parents, but emotional abuse was found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job of the father and unreasonable rearing behavior of the parents. And, neglect was found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educational level of the father and unreasonable rearing behavior of the parents. Social withdrawal was found significantly cliff erent according to gender of the child, family income and unreasonable rearing behavior of the parents, but hyperactivity was found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gender of the child and unreasonable rearing behavior of the parents. Agression and retreat were found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gender of the child and unreasonable rearing behavior of the parents. Obsessive-compulsion was found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unreasonable_ rearing behavior of the parents. 2.There were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parental abuse and maladjustment. 3. The finding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demonstrated that neglect, physical abuse, family income, gender of child were found to be important variables in predicting social with drawal. Neglect, unreasonable rearing behavior of the parents, phsical abuse, gender of child were found to be important variables in predicting hyperactivity. Neglect, emotional abuse, and unreasonable rearing behavior of the parents were found to be important varialbes in predicting aggression. Gender of the child. emotional abuse, and unreasonable reanng behavior. of the parents were found to be important variables in predicting retreat. And, unreasonable rearlng behavior of the parents. neglect. and physical abuse were f ouod to be Importan variabJes in predicting obsessive-compulsion.ls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