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부모변인(parent related variables)

검색결과 23건 처리시간 0.021초

부모의 양육태도,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방식이 온라인 게임에 대한 부모의 인식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Parental Style,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on Parent's Perception Types of Online Game)

  • 김지연;도영임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15권6호
    • /
    • pp.65-76
    • /
    • 2015
  • 아동, 청소년들의 온라인 게임 이용과 관련된 여러 사회 문제들에 대해 효과적으로 예방, 개입하기 위해서는 핵심 이해 당사자인 부모의 온라인 게임 인식 및 이와 관련된 부모-자녀 관계의 속성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아동, 청소년 자녀를 둔 부모를 대상으로 온라인 게임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부모가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자녀와의 의사소통 방식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485명의 자료가 분석되었다. 부모의 온라인 게임 인식 유형은 온라인 게임 인식 질문지를 사용하여 4유형으로 구분하였다. 각 유형별 특성을 비교한 결과, 성별 및 자녀의 온라인 게임 이용에 대한 태도 및 반응에서 유형별 차이가 있었다. 또한 온라인 게임 인식 유형을 예측하는 변인을 알아보고자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어머니 집단에서, 그리고 통제적인 양육태도와 역기능적이지 않은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방식이 각 온라인 게임 인식 유형과 관련이 있었다. 본 연구는 부모 환경 및 부모-자녀 관계의 맥락에서 아동, 청소년의 게임 이용 문제를 고찰하고, 부모의 게임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자녀 관련 변인을 탐색하였다는 의의가 있다.

아동의 행복감에 대한 아동이 지각한 부모-자녀관계의 사회적 자본, 자아탄력성, 사회 인구학적 변인의 영향 (The Effects of Social Capital of Child's Perceived Parent-child Relationship, Ego-resilience and Sociodemographic Variables on Children's Happiness)

  • 정현정;문혁준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21-42
    • /
    • 2011
  • 본 연구는 아동의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규명하여 아동의 삶을 이해하고 행복감을 증진시키기 위해 필요한 실증적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서울지역 초등학교 5, 6학년 학생을 연구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배부 설문지 중 누락, 이중 기재된 설문지를 제외한 총 426부를 최종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결과 행복감의 하위변인인 자아존중감은 자아탄력성의 하위변인인 자기 효능감에서 유의미한 정적관계가 나타나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행복감을 더 느낄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행복감의 하위변인인 부모와의 관계와 학교생활은 긍정적 지지에서 가장 높은 상관을 보였다. 전반적 생활과 욕구만족에서도 긍정적지지가 높을수록 행복감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부모-자녀관계의 사회적 자본 하위변인 관계적 차원, 인지적 차원 그리고 자아탄력성의 하위변인인 부정적 감정의 인내와 긍정적 지지관계가 행복감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 부모가 교육적인 관심을 갖고 대화를 하며 부모가 기대와 훈육을 덜할 때, 그리고 아동이 부정적인 감정을 잘 견디고 긍정적 지지관계를 가질 때 아동의 행복감이 높았다. 본 연구를 토대로 아동의 행복감을 위하여 학교 현장에 있는 교사 뿐 아니라 가정에서 부모가 어떠한 노력을 기울여야 하는지에 대해 알 수 있었다. 그리하여 아동의 행복한 삶을 살아가기 위한 효율적인 부모교육 및 상담을 위한 자료, 가정과 학교와의 연계 교육의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

아동의 정서조절능력과 부모변인 및 또래에 의한 괴롭힘이 행동문제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Emotion Regulation, Parent Related Variables and Victimization by Peer Harassment on Behavioral Problems among Children)

  • 이경님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7권7호
    • /
    • pp.1-12
    • /
    • 2009
  • This study examined emotion regulation, parental support, supervision, psychological control and marital conflict and victimization by peer harassment that affect children’s behavioral problems. The sample consisted of 412 fifth and sixth grade children. Statistics and methods used for the data analysis were percentage, frequency, Cronbach’s alpha, Factor analysis, t-test, Pearson’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Several major results were found from the analysis. First, girls had more internalized behavioral problems than boys. No sex difference was found in externalized behavioral problems. Second, boys’ and girls’ internalized and externalized behavioral problems showed positive correlations with maladaptive emotion regulation and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Boys’ and girls’ internalized behavioral problems and girls’ externalized behavioral problems showed negative correlations with parental support, but positive correlations with parentral marital conflict and victimization by peer harassment. Girls’ internalized and externalized behavioral problems showed negative correlations with parental supervision. Third, maladaptive emotion regulation was the most important variable predicting boys’ and girls’ externalized behavioral problems and girls’ internalized behavioral problems. Victimization by peer harassment was the most important variable predicting boys’ internalized behavioral problems.

부모효능감 관련변인에 대한 메타분석 (A Meta-Analysis of Variables Related to Parenting Efficacy)

  • 이회성;유순화
    • 아동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35-51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ynthesize research finding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efficacy and the variables related to it, as well as to produce results using meta-analysis. The following questions guide this study : Which variables are frequently conducted in research related to parenting efficacy? What is the effect size of each variable? The 65 studies whose results are analyzed in this paper were collected via a search for investigations focusing on 'parenting efficacy'. The studies were used for meta-analysis in which eleven variables were selecte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indicate that a large effect size is produced by the parenting stress in a negative direction. A higher than medium effect size occurs on the basis of parenting beliefs in a negative direction. A higher than medium effect size is also caused by the father's involvement in child care and social support. A medium effect size is produced on the basis of children's temperament, and a small effect size is the result of the mother's academic background, parenting knowledge, and parent's income. There is no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efficacy and children's gender.

자녀의 소프트웨어 교육에 대한 학부모 의지에 미치는 요인의 구조방정식 모형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of Factors Affecting the Parent Willingness on Child's Software Education)

  • 류미영;한선관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0권5호
    • /
    • pp.443-450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학부모가 자녀의 SW교육 의지에 미치는 영향이 무엇인지 분석하였다. 구조방정식 모형을 설계하기 위해 변인을 자녀의 SW 관심도, 부모의 SW정책 인식, SW관련 역량, 자녀의 SW 진로, 자녀에 대한 SW교육 의지로 설정하고 SW교육 경험이 있는 자녀를 둔 부모를 대상으로 검사하였다. 연구 결과 자녀의 SW 교육에 대한 학부모 의지에 미치는 요인은 자녀의 SW 관련 직업을 매개로 SW관련 정책과 SW 역량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중요한 변인으로 작용하였고, 자녀의 SW 관심도는 직접적으로 중요한 요인임을 밝혔다.

초등학생의 인터넷게임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관련 변인 (Parent Related Factors in Internet Game Addiction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 김기숙;김경희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15권1호
    • /
    • pp.24-33
    • /
    • 2009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parent related factors that influence internet game addiction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Method: Data was collected through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and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correlation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Data survey was conducted with 739 conveniently selected students who were in grades 4, 5, and 6 of elementary schools in Seoul or Gyung-gi province. Results: The addiction groups were classified as general user group (84.3%), potential risk group (10.0%) and high risk group (5.7%). There were significant internet game addiction differences by gender, grade, expense of internet cafe, religion, school record, place where child played, economic status, and duration and frequency of game play. The addiction was negatively correlated to parents' attachment, supervision, attitude to child nurturing, and expectations regarding school study. The most significant variables were both parents' attitude to child nurturing, and mother's supervision. These three variables explained 20.7% of internet game addiction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Conclusion: These findings are expected to make a contribution to the creation of ideal interventions at school, home, and counselling centers to prevent internet game addiction.

  • PDF

임신기 부부의 태아 관련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The variables affecting married couples' fetus-related stress during pregnancy)

  • 강수경;박수경;정미라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1017-1028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fetus-related pregnancy stress and temperament, parenting attitude, parent-fetal attachment, and marital quality. Respondents were 285 pregnant women and their spouses who participated in Pregnant Education Programs. Data was collected by means of questionnaire.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total fetus-related pregnancy stress level of pregnant couples demonstrated a higher relationship while parent-fetal attachment level demonstrated a very significant relationship.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spouses with regard to fetus-related pregnancy stress, parenting attitude, parent-fetal attachment, and marital quality.

학업반감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적·심리적 영향요인 분석: 고등학교 3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Analyses of Environmental and Psychological Factors for Academic Hatred: Focusing on the Senior Students in Korean High Schools)

  • 이민영;엄정호;이경주;이상은;이상민
    • 한국심리학회지:학교
    • /
    • 제16권2호
    • /
    • pp.89-110
    • /
    • 2019
  • 본 연구는 학업반감에 영향을 미치는 내외적 보호 및 위험요인으로서 학습자개인, 부모, 교우, 교사 관련변인의 상대적 영향력을 검증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서울, 인천, 경기 소재 8개 고교에 재학 중인 수능 1개월 전 고등학교 3학년생 총 1,015명(여학생 57.3%)을 대상으로 상관분석 및 위계적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상관분석 결과, 교사학업압력은 학습자의 기본심리욕구, 교사자율성지지, 교사지지, 교우지지와 유의한 상관을 보이지 않았으며 이외의 모든 변인은 서로 유의한 상관을 보였다. 위계적회귀분석 결과, 최종적으로 학습자 개인의 유능성과 자율성, 부모의 학업적지지 및 교사의 정서적 지지는 학업반감에 대한 보호요인으로, 부모학업압력은 위험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교우지지는 교사요인 투입시부터 유의한 영향력을 잃는 것으로 드러났으며, 학습자개인의 기본심리적욕구 투입시 교사의 자율성지지 효과는 사라지고 교사지지의 영향력만이 강화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는 그동안 기존 연구들에서 본격적으로 다루어지지 않은 학업반감에 대해 구체적으로 밝히고 관련 변인들의 상대적 영향력을 검증하여 향후 학업반감 연구의 기초를 마련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마지막으로 이에 대한 한계 및 학교상담에서의 개입전략과 관련한 함의점, 후속 연구에서의 방향성 등을 제시하였다.

영아기 부모 양육스트레스 관련 연구 동향 분석 (Analysis of Research Trends Related to Parenting Stresses in Infancy)

  • 이진희;임진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2호
    • /
    • pp.577-586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영아기 자녀를 둔 부모 양육스트레스 관련 연구 동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부모 양육스트레스 관련 논문 최초 발행 시점인 1998년부터 2019년까지 한국연구재단(KCI)에 등재된 국내 학술지 논문 82편을 분석하였다. 연구문제에 따라 연구시기, 연구주제, 연구유형, 연구대상별로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시기별 분석결과, 1998년부터 2019년까지 시기별로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였다. 둘째, 연구주제별 분석결과, 부모 관련 주제가 가장 많았으며, 자녀 관련, 양육환경 관련, 부모-자녀 관련 순으로 나타났다. 부모 관련 주제 중 양육신념과 행동 관련 변인연구가 가장 많이 이루어졌다. 셋째, 연구유형별 분석결과, 양적연구가 주를 이루었고 질적연구와 문헌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양적연구에서는 질문지를 활용한 검사방법이 가장 많았다. 넷째, 연구대상별 분석결과, 어머니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우세하였으며 모-영아, 부모, 부모-영아-교사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영아기 부모 양육스트레스에 대한 관심과 학문적 연구의 범위를 넓히는 계기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아동의 신체화 증상 경험과 관련 부모 및 아동 변인 (Children's Somatic Symptoms and Related Parent and Child Variables)

  • 차지량;유미숙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8권2호
    • /
    • pp.193-202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revalence of children's somatic symptoms and the relationships among parent and child variables such as parenting attitude, children's anxiety,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somatic symptoms. The subjects were 523 6th grade students in four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Seoul, Busan and Daejeon. All subjects were tested with the Korean version of Children's Somatization Inventory (K-CSI), Parental Rearing Attitude Inventory, State-Trait Anxiety for Children (STAIC), and The Emotional Expressiveness Questionnair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he frequency and percentage of somatic symptoms the children had experienced during the last 2 weeks; Pearson'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were used for the selected data of 10 somatic symptoms which were experienced by over 10% of the children.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bdominal pain, headache, dizziness, and memory failure, in that order, were experienced in over 20% of the children. Second, children's somatic symptoms had significant relations with mothers' and fathers' loving-denial attitudes and their anxiety and emotional expressiveness. Third, children's somatic symptoms were influenced by their anxiety and emotional expressiveness, but not by parenting attitu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