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부드러움

Search Result 90,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Effect of Fabric Sound and Touch on Human Subjective Sensation -Crosscultural Comparison between Korea and U.S.A- (직물의 소리와 촉감이 주관적 감각에 미치는 영향 -한.미 문화간 비교-)

  • 조길수;이은주;조자영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3 no.1
    • /
    • pp.41-52
    • /
    • 2000
  • 한·미 문화간 비교를 통하여 직물의 소리와 촉감이 주관적 감각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고자 한국인과 미국인 각각 30명을 대상으로 의미분별척도에 의하여 서로 다른 8개 직물 소리의 주관적 감각(부드러움, 시끄러움, 유쾌함, 날카로움, 맑음, 거친, 높음)과 촉감의 주관적 감각 (딱딱함, 매끄러움, 성김, 시원함, 유연함, 까실거림, 무게, 두께)을 측정하였다. 직물 소리의 파라미터로 LPT(level pressure of total sound)와 Δf (frequency differences)를 계산하고, KES (Kawabata Evaluation System)을 이용하여 직물의 역학적 성질을 측정하였다. 직물의 소리에 대하여 ‘부드러움’의 점수가 높고 ‘시끄러움’과 ‘날카로움’, ‘거침’의 점수가 낮은 직물들이 주관적으로 유쾌하게 느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물에 따른 소리의 시끄러움과 날카로움, 높음에 대한 주관적 감각은 한·미 간에 유사한 경향을 보였으나, 한국인은 미국인보다 모직물의 소리에 대하여 ‘부드러움’과 ‘유쾌함’의 점수가 높고, ‘거침’의 점수가 낮았으며, ‘맑음’에 대한 직물별 점수가 다양하였다. 직물의 촉감은 직물에 따른 차이가 더 다양하게 나타났다. ‘딱딱함’과 ‘매끄러움’의 직물 별 감각은 한 ·미 간에 유사한 경향을 보였는데, 한국인은 대체로 미국인보다 ‘성금’과 ‘까실거림’을 낮게, ‘시원함’을 높게 평가하였다. 직물 소리의 파라미터인 LPT와 ΔL이 양국인의 소리 감각에 영향을 미쳤는데, 한국인의 감각은 주로 LPT가, 미국인의 감각은 LPT와 ΔL이 함께 영향을 미치는 회귀식이 성립하였다. 촉감에서 ‘딱딱함’과 ‘매끄러움’, ‘유연함’, ‘까실거림’에 한·미 모두 표면 거칠기가 영향을 미쳤는데, 한국인의 촉감에 대한 회귀식이 더 많이 성립하였고 R2가 높게 나타났다.

  • PDF

Relationshios Between Preference of Innerware Fabrics and Their Mechanical Properties (내의 직물의 역학적 특성과 질감 감성과의 관계)

  • 손진훈;박현영;이임갑;최상섭;강대임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1 no.2
    • /
    • pp.35-42
    • /
    • 1998
  • 소비자의 감성적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직물 및 의류의 설계 및 생산을 위해서는 직물의 접촉시에 유발되는 감성반응의 객관적이고 정량화된 평가 체계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질감을 표현하는 형용사들을 추출하여 최종적으로 18개의 감각 및 감성을 구분한 Likert Scale을 개발하였으며 이 척도의 신뢰도(reliability)는 매우 높았다. 이들 18개의 형용사는 요인분석 결과 5개의 주된 요인으로 묶였으며 구성타당도가 높은 척도이다. 19종의 내의 표본에 대한 세 차례의 측정을 통해 내의 직물의 선호도(감성)에 영향을 미치는 주된 감각적 감성요인을 추출하였다. 특히 "매끄러움", "부드러움". "섹시함". "편안함". "폭신함". 등의 감성요인이 선호직물과 비선호 직물을 매우 잘 구분해 주는 소비자의 대표적 감성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가장 중요한 결과로, Kawabata Evaluation System을 이용하여 시료 내의 직물의 16개 역학적 특성을 분석하였으며, 이들 특성이 감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회귀 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시료직물 중 선호되는 내의류들은 폴리에스테르(속칭, 물실크)종류이었으며, 가장 비선호 되는 것들은 망사나 모시메리로 나타났다. 내의류 js호도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주된 심리적 특성인 "매끄러움". "부드러움". "섹시함". "편안함" 그리고 "푹신함" 등을 결정짓는 방정식을 만들었다.

  • PDF

Optimization on Preparation Conditions of Dried Citrus (건조 감귤의 제조조건 최적화)

  • 이기동;윤성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
    • v.32 no.8
    • /
    • pp.1297-1301
    • /
    • 2003
  • The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was peformed by central composite design based on drying temperature and time of Citrus, to monitor quality property change caused by drying and make dried products with a good overall palatability. In result, water activity, hardness and softness were affected by drying temperature; water activity decreased and hardness increased with increase of drying temperature. Softness was also high at low temperature and short time of drying. In the range of overall palatability having high score, hardness was shown in 2.01 ∼ 3.20${\times}$10$^{6}$ dyn/$\textrm{cm}^2$ and softness was 62.54 ∼ 146.37 cm/kg. Drying conditions satisfying this range were predicted as 66 ∼ 75$^{\circ}C$ of drying temperature and 8 ∼ 14 hr of drying time.

질감 메카니즘 해석을 위한 손끝의 접촉이론 연구

  • 한은경;권영하
    • Proceedings of the Korean Fiber Society Conference
    • /
    • 1998.10a
    • /
    • pp.439-443
    • /
    • 1998
  • 인간은 시각으로 판단할 수 없는 경우 촉감을 이용하여 정보를 받아들이며 피부와 대상체 표면과의 접촉에 의해서 질감을 느낀다. 피부는 대뇌의 체성감각 피질과 관련이 있다. 피부에는 여러 가지 감각 수용체들이 산재되어 있어 손끝이 대상체 표면과 접촉했을 때 손끝의 압력변화에 의해 부드러움, 매끄러움, 딱딱함 들의 질감을 느끼게 된다. 따라서 손끝에서의 접촉 반응은 질감을 느끼는데 있어서 중요하므로 기본적인 접촉 이론에 의한 현상을 해석하여 질감 메카니즘 현상을 분석하였다. (중략)

  • PDF

Structural and Textural Characteristics of Egg Custard with Soused Shrimp Juice (새우젓국물 첨가에 따른 알찜의 구조 및 질감에 관한 연구)

  • 배영희
    • Korean journal of food and cookery science
    • /
    • v.9 no.4
    • /
    • pp.303-307
    • /
    • 1993
  • Structural and textural characteristics of egg custard with 1.5ft sodium chloride as salt or soused shrimp juice were investigated by SEM, texturometer and sensory evaluation.: 1. Egg custard without sodium chloride showed flat, crosslinkaged structure and no pores. : but the addition of salt or soused shrimp juice developed much of round pores and smooth walls. 2.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in hardness between without sodium chloride group and boiled soused shrimp juice group. 3.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in appearance, taste and texture, but flavor and total acceptability did no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preference test. In discriminating test, swellness, softness, flavor, color, holes and hardness were important factors affecting the preference to determine the characteristics of egg custard.

  • PDF

Effect of Analysis in the by Taste and Quality Freeze-Dried Kimchi Powder Adding of Noodles (동결김치분말을 첨가한 국수의 품질과 맛에 미치는 영향)

  • 조용범;강병남
    • Culinary science and hospitality research
    • /
    • v.9 no.2
    • /
    • pp.115-126
    • /
    • 2003
  • Freeze-dried Kimchi powder has to be first produced to make Kimchi noodle. Two days, ten days, fifteen days and twenty-five days fermented Kimchi were analyzed respectively to obtain adequate material for freeze-dried Kimchi. Fourteen days' fermented Kimchi with pH 4.0∼4.7 and 0.5∼0.8% acidity was chosen for material for freeze-dried Kimchi, Fourteen days fermented Kimchi was first freeze-dried and powdered. Sensory evaluation was done to decide that 4% addition of the powdered material was optimal. The mixture of Kimchi noodle was analyzed into two perspectives; noodle and Kimchi. The analyzed factors of the mixture was a texture of noodle, color level, Kimchi flavor and its spiciness. The texture of noodle are nutty taste, softness, viscidity and oil flavor. Heavy oil flavor and nutty tasty decreased against the increase of Kimchi powder. Six percent addition of material showed a definite change to the mixture. More than six percent addition destroyed the texture of noodle into near crumbles. Four percent addition of material showed almost same as ordinary noodle texture. Therefore four percent addition of freeze-dried Kimchi was chosen optimal through sensory evaluation.

  • PDF

The Difference in the Smoothness of the Movement according to Shoe, Velocity, and Slope during Walking (보행시 신발, 속도, 경사도에 따른 동작의 부드러움 차이)

  • Choi J.S.;Tack G.R.;Yi J.H.;Lee B.S.;Chung S.C.;Sohn S.H.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ecis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6.05a
    • /
    • pp.169-170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smoothness of the gait pattern according to shoe, walking speed, and slope. Eleven male university students used three types(running shoes, mounting climbing boots, elevated forefoot walking shoes) of shoes at various walking speeds(1.19, 1.25, 1.33, 1.56, 1.78, 1.9, 2.0, 2.11, 2.33m/s) and gradients (0, 3, 6, 10%) on a treadmill. Three-dimensional motion analysis (Motion Analysis Corp, Santa Rosa, CA, USA) was conducted with 4 Falcon high speed cameras. The results showed that elevated forefoot walking shoes had the lowest value of normalized jerk at the heel, which means that elevated forefoot walking shoes had the smoothest walking pattern at the heel. In contrast, elevated forefoot walking shoes had greater normalized jerk at the center of mass (COM) at most walking speeds, which means that the smoothness of gait pattern at the center of mass is the lowest for the elevated forefoot walking shoes. This movement at the COM might even have a beneficial effect of activating muscles in the back and abdomen more than other shoes.

  • PDF

Effect of Paraffin Wax Mask Pack on Skin Improvement (파라핀왁스 마스크 팩의 피부 개선 효과)

  • Yi, Ji-Eun;Lee, Sang-Bong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10 no.3
    • /
    • pp.237-242
    • /
    • 2019
  •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paraffin wax mask pack on skin improvement. The subjects were 13 males and females in 20s. Subjects applied the paraffin wax mask pack eight times for four week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paraffin wax mask pack on the skin, we measured oil, moisture, skin surface temperature, softness of skin and satisfaction in subjective skin condition. After using the paraffin wax mask pack, the moisture, oil content of the facial skin, skin surface temperature and softness of skin increased. In addition, the subjects were highly satisfied with the improvement in subjective skin conditons such as dryness, oil and skin tone. Therefore, these results suggest that paraffin wax mask pack has beneficial effects on skin improvement and it will have high utility and value as development of skin care devices for skin care.

Psychophysiological Study for the Development of Sensible Textiles (감성 의류 소재 개발을 위한 직물 마찰 소리의 심리생리학적 연구)

  • 조자영;이은주;조길수;손진훈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1.05a
    • /
    • pp.54-59
    • /
    • 2001
  • 본 연구는 청각적 감성을 만족시키는 의류소재의 개발을 위해, 직물 마찰음에 대한 인간의 감서을 생리반응측정과 심리적·주관적 평가를 통해 파악하고, 직물 마찰음이 갖는 음향특성과의 관련성을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직물 마찰음의 음향특성을 분석하고, 직물 마찰음에 대한 감각·감성 표현어(부드러움, 시끄러움, 유쾌함, 날카로움, 맑음, 거침, 높음)를 이용하여 주관적 평가를 실시하였으며, 생리적 반응으로서의 뇌파 및 혈류량, 심박변화율, 피부전도수준 등을 측정하였다. 주관적 감각·감성은 대부분 직물 소리의 크기와 관련이 깊은 것으로 나타나, loudness(Z)와 총음압 LPT가 증가할수록 시끄럽고 거칠며 딱딱하고 불쾌하며 탁하다고 지각하였다. 생리적 반응과 관련하여서는, 부드럽고 조용하며 맑다고 지각할수록 slow alpha파가 증가하였고, 유쾌하고 매끄럽다고 평가할수록 혈류량은 증가하였다. 또한, 높다고 지각하는 소리에 대한 LF/HF는 증가하였다. 마찰음의 음향특성이 생리적 반응에 미치는 영향으로서, LPT가 혈류량의 감소에, Loudness(Z)가 피부전도수준의 증가에 각각 영향을 미치며, sharpness(Z)가 높고 ΔL이 작을수록 LF/HF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