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본질 영상

Search Result 83,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Design of CV-based Realtime Vision Analysis System for Effective AR Vision Control (효율적인 AR 영상 제어를 위한 CV 기반 실시간 영상 분석 시스템 개발)

  • Jung, Sung-Mo;Song, Jae-Gu;Lim, Ji-Hoon;Kim, Seok-Soo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0.05a
    • /
    • pp.172-175
    • /
    • 2010
  • 최근 스마트폰 기반의 AR(Augmented Reality) 기술이 이슈화됨에 따라 센서 기반의 AR 콘텐츠들이 빠르게 등장하고 있다. 그러나 센서 기반의 AR 기술인 P-AR(Pseudo AR)은 본질적인 AR이 구현되지 못하는 현실의 대안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실제 영상제어를 통한 AR 기술인 V-AR(Vision AR)은 기술개발이 진행 중에 있다. 이러한 예로 ARToolkit 등 AR을 제어할 수 있는 툴들이 개발 진행 중인데, 센서를 통해 이벤트를 발생시킬 수 있는 P-AR 기술에 반해 V-AR은 영상 자체에서 이벤트를 제어해야 하므로 상대적으로 구현이 어렵기 때문이다. V-AR에서 영상을 제어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영상에서 잡음 제거, 특정객체 인식, 객체 분석 등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향후 다가올 V-AR 기술에 대비하여 영상에서 배경 제거, 특정객체 인식, 객체 분석 등 효율적인 AR 영상제어를 할 수 있는 CV 기반 실시간 영상 분석 시스템의 프로토타입을 개발하였다.

  • PDF

Subjective Quality Management Scheme for Video Services in Mobile Environments (모바일 환경에서의 주관적 영상 서비스 품질 관리 방안)

  • Kim, Beom-Joon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 /
    • v.14 no.2
    • /
    • pp.331-338
    • /
    • 2019
  • Video services over Internet is getting important. Since the service quality of the video service provided by streaming over Internet may be degraded, the quality assessment and management are very important. Currently the objective method based on the measured values of parameters is being widely used for video services. The subjective assessment, however, is more ideal in that the quality that is experienced by human. This paper, therefore, proposes a subjective quality management scheme for video service in a mobile environment that overcomes the limitations of the subjective method. The proposed scheme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implement a more efficient quality management system for video services in a mobile environment.

Implementation of Realtime Responsive Media Artwork using User-Interface Interactivity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호작용성을 활용한 실시간 반응형 미디어 아트 작품 구현)

  • Choi, You Jin;Lee, Jun Pyo;Kim, Ho D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6.07a
    • /
    • pp.43-44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와의 실시간 상호작용을 활용하여 역사적 사실을 전달하는 반응형 미디어 아트 작품 을 보인다. 본 작품은 젊은 계층의 역사적 무관심을 김이 서리는 현상에 비유하고 사용자가 서린 김을 닦음으로써 잊고 있던 아픈 역사와 마주하게 되는 내용으로 구성된다. 김이 서리는 자연 현상과 서린 김을 닦는 행위를 영상으로 표현하였으며, 서려있는 정도와 사용자의 손 움직임에 따라 영상과 음향이 상이하게 반응한다. 이는 관객의 역사에 대한 무관심을 스스로 닦음으로서 역사적 본질과 마주할 수 있다는 의미를 극대화 한다.

  • PDF

디지털 홀로그램의 고속생성 기술 동향

  • Choe, Hyeon-Jun;Seo, Yeong-Ho;Yu, Ji-Sang;Kim, Dong-Uk
    • Broadcasting and Media Magazine
    • /
    • v.16 no.2
    • /
    • pp.109-117
    • /
    • 2011
  • 디지털 홀로그래피는 현재 입체영상 서비스의 주류를 이루고 있는 스테레오스코픽(Stereoscophic)이나 다시점(Multi-view) 3D와 달리 주어진 관찰각도에서 관찰자의 위치에 따른 입체영상을 볼 수 있다. 또한 입체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장치가 물리적 매체가 아닌 공간으로 한다는 점에서도 차이가 있다. 최근 홀로그래피, 홀로그램이란 용어가 상업적인 용도로 사용되면서 해당기술의 본질적인 의미가 상당히 변질되는 경우가 많이 있다. 본 기고에서는 일부에서 변질/왜곡하여 사용하고 있는 "유사한 홀로그래피(Fake holography)"가 아닌 간섭현상(Interference)을 수학적으로 모델링한 후 이를 컴퓨터에서 계산하여 디지털 홀로그램을 생성하는 컴퓨터 생성 홀로그램(Computer-Generated Hologram, CGH) 기술을 다룬다. 특히, 국내외의 연구개발 결과 중에서 전용 하드웨어나 범용 프로세서 등을 이용해 CGH 연산을 고속화하는 기술에 중점을 두었다.

Fault Detection of Ceramic Imaging using ART2 Algorithm (ART2 알고리즘을 이용한 세라믹 영상에서의 결함 검출)

  • Kim, Kwang Baek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17 no.11
    • /
    • pp.2486-2491
    • /
    • 2013
  • There are invisible defects by naked eyes in ceramic material images such as internal stomata, cracks and foreign substances. In this paper we propose a method to detect and extract such defects from ceramic pipe weld zone by applying ART2 learning. In pre-processing, we apply Ends-in Search Stretching to enhance the intensity and then perform fuzzy binarization with triangle type membership function followed by enhanced ART2 that interacts with random input patterns to extract such invisible defects. The experiment verifies that this proposed method is sufficiently effective.

An Implementaion of Integrated Medical Information System using XML (XML을 이용한 통합 의료정보 시스템 구현)

  • 안철범;나연묵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0.10a
    • /
    • pp.24-26
    • /
    • 2000
  • 기존 의료정보 시스템은 본질적으로 성격이 다른 텍스트 기반 정보와 의료 영상 정보를 HL7과 DICOM이라는 각기 다른 두 표준을 기반으로 다루어 왔다. 따라서 상이한 두 표준 상호간의 정보 교환의 필요성과 최근들어 인터넷을 통한 개방 시스템으로의 전환의 필요성이 증가되면서 이를 위한 적절한 대안이 요구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질적인 두 표준간의 데이터 교환과 통합을 위하여 XML을 활용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두 표준의 통합 DTD를 기반으로 XML 문서를 생성하고 통합 의료정보를 웹 상에서 검색, 저장할 수 있는 통합 의료정보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 PDF

A Study on Gesture Recognition Interface System using Stereo Camera (스테레오 카메라를 이용한 동작 인식 인터페이스에 관한 연구)

  • Jang, Young-Dae;Park, Ji-Hu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7.11a
    • /
    • pp.97-100
    • /
    • 2007
  • 이 논문에서는 비전 시스템 기반 동작 인식 인터페이스 시스템으로 스테레오 카메라와 동적 제스처를 이용한 방식을 제안한다. 스테레오 카메라로부터 얻은 영상으로 손의 3차원 위치를 검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손의 동작을 추적하고 이를 인식함으로써 동적 제스처에 기반 한 동작 인식 방법을 제시한다. 이러한 깊이에 따른 제스처 동작을 인식하는 방법으로 단순한 컨트롤러부터 IPTV 제어나 가상의 마우스 제작이 가능한 본질적으로 편하고 자연스러운 인터페이스 구현 방향을 제시한다.

  • PDF

Proposal of Improved Application and Utilization of Satellite Imagery for Disaster Management (재난관리분야 위성영상 활용성 및 적용성에 관한 제언)

  • Cho, Myeong Heum;Park, Young Jin;Kim, Kye Hyun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1.02a
    • /
    • pp.64-64
    • /
    • 2011
  • 최근 전 세계적으로 구제역, 화산, 지진재해 등 장기적이고 광역적인 재해 재난의 심각성을 반영하는 듯 다양한 기술개발과 재난관리 적용성에 관한 연구가 전개되고 있다. 그 가운데 인공위성에 대한 가치와 활용에 대한 기대치가 높아짐에 따라 국내외로 신속한 재난대응 및 광역적 피해지역에 대한 조기분석 등에 관한 다양한 지원체계구축에 대한 연구가 심화되고 있다. 국내에서도 재해 재난에 대한 인공위성의 활용성 및 실무적 대안마련에 대한 검토가 시작되고 있으며, 특히 재해시 영상의 확보 및 분석과 의사결정지원 등 재난관리 프로세스에 대한 정부부처의 활용방안 마련에 대한 기대가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재난총괄기관인 소방방재청은 국립방재연구소에 방재영상분석팀을 신설하였다. 2010년 1월 HAITI 지진피해, 2010년 12월 삼척 산불모니터링, 2011년 1월 포항 폭설피해 등의 재해 재난 분석을 통해 의사결정지원체계를 구축하고 있다. 위성영상 분석기술은 국외기관과 비슷한 실정이나, 본질적으로는 영상촬영 및 수급문제 해소에 있다고 하겠다. 현재, 지구관측센터(KEOC) 및 한국항공우주연구원에서도 이와 같은 수급체계에 대한 문제의식을 공유하고 있다는 점은 재난관리업무 담당자로서 고무적이고 개선에 대한 희망이 밝다. 향후 본 연구를 기반으로 우리나라 재난관리업무에 있어 위성영상을 기반으로 하는 선제적이고 과학적인 재난관리기법이 개발되고 방재분야의 위성영상활용의 위상이 높게 제고 되었으면 한다. 이와 관련하여 본 논문에서는 현재 전 세계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인공위성들을 대상으로, 시 공간 해상도별 분포도를 작성하여 인공위성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특히, 한국항공우주연구원과 소방방재청에서 2010년 10월에 가입한 국제재해관리를 위한 위성영상활용 협력기구인 International Charter에서 재해 재난관련 위성영상 분석 및 현황을 조사하여 재난유형별 활용성을 검토하였다. 마지막으로 조사 분석된 내용을 토대로 위성영상을 통한 재난관리 분야에 적합한 업무 프로세스를 도출하였다. 또한, 재해발생지역에 대한 신속한 위성영상의 확보와 정량적 피해규모 파악에 따른 응급 복구지원이 가능한 대응전략에 대해서 검토하였다.

  • PDF

The Practical Application Strategy of Video Production for Recording an Archeology (고고학 기록을 위한 영상제작 활용 방안)

  • Park Soon-Hong;Jeon Byeong-Ho
    • Journal of Game and Entertainment
    • /
    • v.2 no.1
    • /
    • pp.45-55
    • /
    • 2006
  • The video production, as a recording data about the archeological survey, has advantages to be visualized in actuality and historical fact presented objects with elements such as moving images, audio(voice) and text(subtitle). While the report with text and images such as photographs and drawings does not present exactly, the video production can record a concrete excavation process to be difficult of represent with former media. To make a practical use the video production in archeological surveys, the use dimension should be expanded to the entire archeological excavations and the shooting and editing work should be done by those video production-specialized staffs. Ultimately, when this video production device is used but also for the survey purposes but also for the education, exhibition, and even commercial purposes, it can have the substantial meaning as a survey tool.

  • PDF

A Study on Improving the Direction of Moving Image Material Descriptions (영상기록물 기술의 개선 방향 연구)

  • Shim, Bomee;Chang, Yunkeum
    •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29 no.1
    • /
    • pp.325-344
    • /
    • 2018
  • Since the year 2000, the need for an improvement of archival descriptions has been an increasing issue, due to the growing usage and amount of archival materials. Unlike the development of descriptions for paper records, however, the technological development and research for moving image descriptions has been limited due to its diversity and specificity. This research investigated the current status and the specificity of the moving image descriptions and also examined major international archival description cases. In-depth interviews with archival professionals were also conducted. Based on the findings, this study suggested the need for redefinition of and continuous research on the fundamental values of moving image information, moving image description and management based on digilog view points, the development of user-centric description and search aides, the creation of moving image values using a relevant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and the improvement of moving image description elements throughout the life-cycle of the materi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