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본인확인서비스

Search Result 74, Processing Time 0.062 seconds

A Study on Digital Identity Guidelines of NIST (온라인상에서 디지털 사용자 신원 확인 가이드에 대한 연구)

  • Kim, Jong-Bae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9.05a
    • /
    • pp.160-163
    • /
    • 2019
  • 본 연구는 미국 상무부 소속 국립표준기술연구소(NIST)에 의해 제시된 온라인상에서 디지털 신원 지침(digital identity guidelines)에 대한 내용을 살펴보고, 디지털 신원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한 기술적인 요구사항들에 대해 검토 후 국내 본인확인서비스에 적용이 가능한 방안을 제시한다. 온라인상에서 사용자의 신원을 확인하기 위해 다양한 방안이 제시되고 있으며 현행 국내 본인확인서비스의 경우 과도한 개인정보 제공으로 사생활 침해 이슈가 제시되고 있다. 따라서 NIST의 디지털 신원지침에서 제시하는 차등화된 서비스 제공 방안에 대해 검토하고 국내 본인확인서비스에 적용 가능한 방안을 모색한다. 제시한 방안에서 획일화된 본인확인서비스에서 본인확인수단, 인증, 정보제공에 대한 차별적인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보다 안전하고 건전한 본인확인서비스의 실현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A Study of improving user authentication procedures for enhanced safety of personal authorization methods (본인확인서비스의 안전성 강화를 위한 본인인증 수단 및 절차 개선 방안 연구)

  • Chio, Jung-Suk;Kim, Jong-Bae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5.10a
    • /
    • pp.668-671
    • /
    • 2015
  • 본인확인이란 적법하고 합당한 절차에 따라 합의된 사용자임을 증명하고 인증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는 본인확인서비스에서 본인임을 인증하는 다양한 수단들의 특징에서 살펴보고 대표적인 본인확인수단인 아이핀과 휴대폰 서비스의 인증절차 개선 방안을 제안한다. 제안한 방안을 통해 안전성이 강화된 본인확인서비스 제공과 이용이 가능할 것이다.

A Study on Differentiated Personal Proofing Service Based on Analysis of Personal Identification Requirements in Online Services (온라인 서비스의 본인확인 요구사항 분석 기반의 차등화된 본인확인서비스 적용 방안)

  • Kim, Jong-Bae
    •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v.20 no.2
    • /
    • pp.201-208
    • /
    • 2020
  • Recently, the application of personal proofing service based on social security number(SSN) replacement means for verifying identity in non-face-to-face transactions is increasing. In this paper, we propose a method of applying differentiated personal proofing service on whether identity verification is necessary in the online service provided by ISP and if it is appropriate to apply a certain level of assurance. By analyzing the requirements related to personal proofing required by current ISPs, we analyze the risks for each of the requirements and propose a method of applying differentiated personal proofing service according to the level of identity assurance guarantee to minimize the risks. In applying the proposed method to online service provision, it is possible to reduce user's unnecessary authentication cost by minimizing the application of personal proofing service based on alternative means, and to help protect user personal information by minimizing excessively collected personal information.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Personal Identity Proofing Service Using an Alternative Method for Resident Registration Number Based on Electronic Signature (전자서명 기반의 주민등록번호 대체수단을 사용한 본인확인서비스 개선 방안에 대한 연구)

  • Kim, Jong Bae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
    • v.7 no.3
    • /
    • pp.453-462
    • /
    • 2021
  • As the status of public certificates expired due to the recent revision of the Electronic Signature Act, electronic signature-based public certificates were also lost in the means of replacing resident registration numbers(RRN). As a result, public certification institutions have recently been designated by the Korea Communications Commission as identity verification service providers through a review of the designation of personal identity proofing agency based on alternative means of RRN. However, unlike existing RRN replacements such as i-PIN, mobile phones, and credit cards, the personal identity proofing process for applicants for certificates is different from existing alternatives. The proposed method shows that it is possible to protect users' personal information and provide universal, reasonable, and safe identification services by applying improvements to electronic signature-based personal identity proofing services.

주민번호 대체수단(i-PIN) 개발을 위한 기술표준과 서비스 프레임워크

  • Chung, Chan-Joo;Kim, Yoon-Jeong;Kim, Jin-Won;Park, Kwang-Jin
    • Review of KIISC
    • /
    • v.18 no.6
    • /
    • pp.20-27
    • /
    • 2008
  • 국내 인터넷 사이트의 60% 이상은 회원가입시 본인확인 등을 위해 주민번호를 수집 저장하고 있다. 인터넷 사이트의 주민번호 수집 목적은 개인식별(중복기입여부 확인)과 본인확인, 연령확인, 마케팅 활용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인터넷 사업자들의 주민번호 수집이 증가하면서 개인정보 유 노출로 인한 피해도 늘고 있다. 인터넷 사이트에서 주민번호 수집을 제한하면서 주민번호 기능을 제공 유지하기 위해 마련된 것이 주민번호 대체수단(i-PIN)이다. 본인확인기관이라는 다수의 제3의 신뢰기관이 인터넷 이용자의 개인정보를 받아 저장하고 인터넷 사이트 가입 등 필요할 때, 인증을 해주는 방식이다. i-PIN 서비스의 구성요소와 기능, 제공 서비스 등 i-PIN 서비스 프레임워크를 설명하고, 복수의 본인확인기관이 이용자의 인증을 위해 주고받아야 하는 메시지의 종류와 형식, 방법에 대한 국내 기술표준을 소개한다. 또한 중복가입 확인이 필요한 인터넷 사이트를 위해 유일 식별값으로 사용되는 중복가입확인정보 생성방법과 메시지 교류 방법 등을 소개함으로써 인터넷 사이트가 주민번호 대체수단으로서 타 수단과 차별화 된 전략을 소개한다.

Review of the suitability to introduce new identity verification means in South Korea : Focused on Block Chain and FIDO (우리나라의 본인확인수단에 관한 신규 인증수단의 도입 적합성 검토 : Block Chain과 FIDO를 중심으로)

  • Shin, Young-Jin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 /
    • v.8 no.5
    • /
    • pp.85-93
    • /
    • 2018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suitability of the blockchain and FIDO among non-face-to-face authentication means in order to secure diversity of identfication means operated in South Korea. In order to do this, the study selected and analyzed seven conformance criteria (universality, persistence, uniqueness, convenience, security, applicability, and economics), and the results were appropriate. Accordingly, in order to apply the blockchain and FIDO as the identification means, the related regulations and notices should be revised to improve the identification procedure. In addition, differentiated certification standards should be established for each service field to apply various authentication means as well as existing identification means, and the authentication means should be continuously developed and linked with the service. In the future, the identification means will bring security of the information circulation environment in the IoT, so it should be implemented in a variety of services by supporting application of identification means.

A Study on Big Data Based Non-Face-to-Face Identity Proofing Technology (빅데이터 기반 비대면 본인확인 기술에 대한 연구)

  • Jung, Kwansoo;Yeom, Hee Gyun;Choi, Daeseon
    • KIPS Transactions on Computer and Communication Systems
    • /
    • v.6 no.10
    • /
    • pp.421-428
    • /
    • 2017
  • The need for various approaches to non-face-to-face identification technology for registering and authenticating users online is being required because of the growth of online financial services and the rapid development of financial technology. In general, non-face-to-face approaches can be exposed to a greater number of threats than face-to-face approaches. Therefore, identification policies and technologies to verify users by using various factors and channels are being studied in order to complement the risks and to be more reliable non-face-to-face identification methods. One of these new approaches is to collect and verify a large number of personal information of user. Therefore, we propose a big-data based non-face-to-face Identity Proofing method that verifies identity on online based on various and large amount of information of user. The proposed method also provides an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scheme that collects and verifies only the user information required for the identity verification level required by the service. In addition, we propose an identity information sharing model that can provide the information to other service providers so that user can reuse verified identity information. Finally, we prove by implementing a system that verifies and manages only the identity assurance level required by the service through the enhanced user verification in the non-face-to-face identity proofing process.

A Study on Establishment of Connecting Information Conversion Criteria for Mobile Electronic Notification Service of Private Institutions (민간기관 모바일 전자고지서비스를 위한 연계정보 변환기준 수립에 대한 연구)

  • Kim, JongBae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
    • v.7 no.4
    • /
    • pp.735-743
    • /
    • 2021
  • The mobile electronic notice service (MENS) is a service that delivers a mobile electronic notice to a smartphone in the person's name through an authorized electronic document intermediary instead of a bill that was delivered by mail using paper. In order to provide the MENS, information is needed to identify the same user between the sending agency and the authorized electronic document relay. In this paper, we propose a standard for safe conversion and utilization of Connecting Information (CI) used as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MENS. In the proposed method, it is necessary for the requesting institution to send the electronic notice to provide the resident registration number to the identity verification institution and convert it into the CI. In this case, a safe and efficient MENS will be possible by proposing a review standard and processing method to verify the appropriateness of the conversion of CI. By applying the proposed method to the MENS, it can contribute to service activation and reinforcement of user privacy protection.

X.509 인증서내 식별번호를 이용한 본인확인기술 표준화 동향

  • 박종욱;김승주;이재일;이홍섭
    • Review of KIISC
    • /
    • v.14 no.2
    • /
    • pp.46-56
    • /
    • 2004
  • 식별번호를 이용한 본인확인기술(SIM : Subject Identification Method) 표준(안)은 국내 보안분야로는 처음으로 IETF PKIX 워킹그룹에서 논의되고 있는 순수 국내 보안기술로 연내 IETF 공식표준문서(RFC)로 채택될 가능성이 높다. 동 기술은 PKI 기반의 전자서명인증서비스에서 동일한 이름을 갖는 개인 사용자나 유사한 법인명을 갖는 법인사업자가 겪을 수 있는 본인확인의 오류를 원천적으로 방지하여 인증서 소유자의 신원을 유일하게 확인할 수 있는 방안을 제공한다. 본 고에서는 관련 국외 동향을 고려하여 SIM 표준(안)의 보안요구사항, 프로토콜, 표준화 주요 쟁점 및 진행상황을 고찰하고자 한다.

A Study on an Alternation of RNN and Access Control for Offline Environments by using I-PIN (아이핀을 이용한 오프라인 주민번호대체 및 접근제어 방법)

  • Kim, Seung-Hyun;Kim, Seok-Hyun;Jin, Seung-Hu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1.04a
    • /
    • pp.840-843
    • /
    • 2011
  • 주민등록번호는 온오프라인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본인확인 수단이나, 해킹이나 내부자 유출문제로 인해 온라인 환경에서는 아이핀과 같은 대체방안이 제시되었다. 하지만 오프라인 환경에서는 다양한 문제가 우려되나 대체방안이 없는 상황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아이핀을 오프라인 환경에서 사용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한다. 아이핀 메시지의 특정 필드에 본인확인을 위한 정보와 접근 제어 정보를 암호화 한 뒤, 사용자의 휴대폰으로 아이핀 인증 요청/응답 메시지를 관리하고 기업의 출입시스템에서 본인확인과 접근제어에 활용하였다. 또한 제안한 시스템은 안드로이드가 탑재된 휴대폰에서 구현되었고 실제 서비스를 제공 중인 본인확인기관과 연계하여 본인확인 절차를 수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