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복합 제어기

검색결과 302건 처리시간 0.037초

초고속복합분자펌프 제어기 개발

  • 오형록;이인찬
    • 한국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진공학회 2012년도 제43회 하계 정기 학술대회 초록집
    • /
    • pp.99-99
    • /
    • 2012
  • 본 개발에서는 초고속복합분자펌프 구동을 위한 디지털 구동장치를 설계하였다. BLDC구동을 위한 디지털 제어 시스템의 핵심제어 보드 설계 및 모듈 설계를 하여 보드제작 및 기본성능평가를 하고 고속 회전 실험을 하였다. AMB제어기는 넓은 제어대역폭을 확보하기 위하여 FPGA 1개와 마이크로 콘트롤러 2개를 사용하여 구성하였으며 FPGA로 AMB구동을 위한 PWM기능과 CPU 2개의 원활한 Data 통신을 위하여 Dual Memory을 구현하였으며 PWM의 디지털노이즈 회피를 위하여 AMB구동용 PWM과 동기화하여 Gap Sensor 및 전류센서신호 샘플링할 수 있도록 ADC를 구동 및 샘플링한다. 그리고 Gap Sensor 구동 회로와 제어기회로를 하나의 보드로 구연하였다.

  • PDF

변형 열복합 증류탑의 동적 특성 (Dynamic Behavior of a Modified Thermally Coupled Distillation Column)

  • 황규석;성익기;김영한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7권3호
    • /
    • pp.327-331
    • /
    • 2009
  • 보통의 2탑 증류시스템에서 사용하는 2기의 증류탑을 활용하여 열복합 증류시스템을 구성하고, 제안된 증류탑의 운전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시스템의 동특성을 조사하였다. 계단응답을 이용한 3가지 제품의 제어 방안을 알아내기 위하여, 상부제품의 유량, 중간제품의 유량, 재비기의 증기발생량을 변화하였다. 그 결과로부터 $3{\times}3$의 제어구조를 제시하였다. 제안된 제어시스템에 PI 제어기를 사용하였을 때의 제어성능을 조사한 결과 하부제품의 농도관리가 가장 어려움을 알 수 있었으나, 본 연구의 증류시스템 운전이 가능함을 알았다.

초고진공펌프를 위한 구동장치 개발

  • 오형록;이인찬
    • 한국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진공학회 2011년도 제41회 하계 정기 학술대회 초록집
    • /
    • pp.91-91
    • /
    • 2011
  • 본 개발에서는 초고속 복합 분자펌프 구동을 위한 디지털 구동장치를 설계 하였다. 초고속 모터구동을 위한 핵심제어 보드 설계 및 모듈을 설계하여 기본성능을 평가하였다. 또한 초고속 전동기 운전시 급가속 성능을 향상 하기 위해 홀센서에 의한 위치측정 오차를 최소화하는 관측기를 설계하여 모터제어기를 설계하여 고속회전 시험을 하였다. AMB 구동을 위한 전류제어기를 제작하여 성능시험을 하였다. AMB 구동을 위한 와전류식 변위센서 구동부를 설계 제작하였다.

  • PDF

차량 속력에 따른 부상제어기 성능 해석 (Levitation Controller Performance Analysis according to Vehicle Speed)

  • 김홍주;김춘경;권순만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8년도 학술대회 논문집 정보 및 제어부문
    • /
    • pp.458-459
    • /
    • 2008
  • 이 논문은 자기부상열차 속력에 따른 부상제어기 성능을 분석한다. 현재 실용화 사업은 시속 110km/h 속력으로 부상공극 8 mm 기준으로 상하 3 mm 이하 변화를 목표로 개발 중에 있다. 부상제어기의 안정성에 영향을 미치는 외란으로는 가이드웨어 처짐, 크로스아암에 의한 레일 처짐, 레일 불균일, 레일 연결부 단차 등이 있다. 이러한 외란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지만, 설계 단계에서 각각의 영향을 단순화하여 독립적으로 그 영향을 분석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차량속력에 따른 가이드웨어 처짐이 부상제어기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하나의 전자석과 유연레일을 모델링하고 상태궤환을 갖는 제어기를 제안하여 속력에 따른 부상공극 변화를 관찰한다. 모의시험 결과 12 mm 레일의 휘어짐 상황에서 속력에 따라 부상 공극 변화가 커지지만, 실용화 사업의 목표를 달성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HIL 시뮬레이터의 개발 (Development of a HIL Simulator)

  • 정승환;최익;송중호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7년도 제38회 하계학술대회
    • /
    • pp.1589-1590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대체에너지 발전시스템이 포함되는 복합발전시스템의 구성 및 운전 특성 등을 분석하고 종합적인 엔지니어링 기술 확보에 필요한 Hardware-in-the-loop(HIL) Simulator의 구조를 제시하며 이를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운영 소프트웨어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HIL Simulator는 복합발전 시스템을 구성하는 서브시스템의 제어기를 설계하는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 PDF

Self-Sensing 작동기를 이용한 복합재 보의 강인제어 시뮬레이션 (Robust Control Simulation of a Composite Beam using Self-Sensing Actuators)

  • 권대규;최병용;이성철
    • 한국정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밀공학회 2001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84-287
    • /
    • 2001
  • This paper presents the robust control simulation of a composite beam using self-sensing actuators(SSA). The self-sensing actuator is a new concept for intelligent material, where a single piezoelectric element simultaneously functions as both a sensor and an actuator. In a practical implementation of the self-sensing actuator an electrical bridge circuit is used to measure strain. The circuit could provide significant information about strain in the element if it were well-balanced. Our aim is design a robust controller which guarantees that the performance of a self-sensing actuator is robust against perturbation of the bridge balance and to confirm the advantages of this technique.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the self-sensing actuator driven by the designed controller exhibits excellent performance in suppressing the vibration of a composite beam.

  • PDF

차량 능동 현가장치의 성능 향상을 위한 복합제어기 설게 (Composite Control of Active Suspension System)

  • 한기봉;이시복
    • 한국정밀공학회지
    • /
    • 제12권7호
    • /
    • pp.74-81
    • /
    • 1995
  • In this paper, a composite controller cosisted of bandpass feedback controller and LQG/LTR controller is applied to a quarter-car model moving on a randomly profiled road. The LQG/LTR controller is used to achieve a design transfer toop. A bandpass feedback controller is adopted to eliminate the response due to the disturbance, which generally can not be measured, confined within an interested frequence range. The random road profile considered as colored noise is shaped from white noise by use of shaping filter. The performance of the composite control system is compared with that of an LQG/LTR control system.

  • PDF

리칭모드 제어기와 신경 회로망을 이용한 유도전동기의 위치제어 (The Position Control of Induction Motor using Reaching Mode Controller and Neural Networks)

  • 양오
    • 전자공학회논문지SC
    • /
    • 제37권3호
    • /
    • pp.72-83
    • /
    • 2000
  • 본 논문에서는 리칭모드 제어기와 신경 회로망을 이용하여 3상 유도전동기의 위치제어 시스템을 구현한다. 리칭모드 제어기는 위치오차와 속도오차의 궤적을 슬라이딩 평면으로 들어가도록 하고 신경회로망의 초기학습을 담당한다. 리칭모드 제어기의 구조는 슬라이딩 평면의 스위칭 함수로부터 간단히 구성하였다. 또한, 신경 회로망은 전향경로 신경망으로 구성되며 비선형 매핑능력과 탁월한 학습능력을 이용하여 유도전동기의 등가제어입력을 학습하도록 하였고 신경 회로망의 입력으로는 모터의 기준속도, 기준위치 및 엔코더를 이용하여 측정된 모터의 실제속도와 위치 등을 이용하였고 온라인 상태로 학습되도록 하였다. 이와 같이 복합적으로 구성된 제어기들을 유도전동기의 위치제어 시스템에 적용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된 알고리즘의 타당성을 보이기 위해 기존의 PI 제어기와 비교평가를 하였으며 시뮬레이션과 실험결과로부터 초기운전 상태에서는 리칭모드 제어기가 주로 제어를 담당하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신경회로망이 학습되어 신경 회로망이 주 제어기가 됨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제안된 제어기가 PI 제어기보다 우수하고 특히 부하변동과 같은 외란에 강인함을 알 수 있었으며, 정상상태 오차가 현저히 감소하여 정밀한 제어가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 PDF

압전 세라믹 감지기/작동기와 점탄성 재료를 이용한 지능형 복합 적층판의 진동 제어 (Vibration Control of Smart Laminated Composite Plates Using Piezoceramic Sensor/Actuators and Viscoelastic Material)

  • 강영규;서경민;이시복
    • 한국소음진동공학회논문집
    • /
    • 제11권4호
    • /
    • pp.37-42
    • /
    • 2001
  • Active vibration control of laminated composite plates has been carried out to design structure with maximum possible damping capacity, using piezoceramic sensor/actuators and passive constrained-layer damping treatment. The equations of motion are derived for symmetrical, multi-layer laminated plates. The damping ratio(ζ) and modal damping(2ζ$\omega$) of the first bending and torsional modes are calculated by means of iterative complex eigensolution method for both passive and active vibration control. This paper addresses a design strategy of laminated composite plate under structural vibrations.

  • PDF

PID제어기와 신경회로망 제어기를 이용한 유도전동기의 속도제어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peed Control of Induction Motor using a PID Controller and Neural Network Controller)

  • 조현섭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0권8호
    • /
    • pp.1993-1997
    • /
    • 2009
  • 산업 자동화의 고정밀도에 따라 직류서보 전동기는 강인제어가 요구되고 있다. 하지만 PID 제어기를 갖는 전동기 제어 시스템이 부하 외란의 영향을 받게되면 제어 시스템의 강인제어는 어렵게 된다. 이에 대한 보완적인 한 방법으로 본 논문에서는 전동기 제어시스템을 위한 PID-신경망 복합형 제어기법을 제시하였다. 신경망 제어기의 출력은 부하 외란 인가시에 발생되는 오차와 오차 변화율에 의해서 결정된다. 신경망 제어기를 이용한 직류서보 전동기의 강인제어는 시뮬레이션에 의하여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