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복합 정보 추천 시스템

Search Result 42, Processing Time 0.039 seconds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Contents Recommendation System in Mobile Environments (모바일 환경에서 콘텐츠 추천 시스템 설계 및 구현)

  • Lee, Nak-Gyu;Pi, Jun-Il;Park, Jun-Ho;Bok, Kyoung-Soo;Yoo, Jae-Soo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1 no.12
    • /
    • pp.40-51
    • /
    • 2011
  • The key issues of recommendation systems provide the contents satisfying the interests of users for the huge amounts of contents over internet. The existing recommendation system use the algorithms considering the users' profiles and context information to enhance the exactness of a recommendation. However, the existing recommendation system can't satisfy the requirements of service providers because the business models of service providers is not considered.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mobile recommendation system using the composite contexts and the recommendation weights applying the business model of service providers. The proposed system retrieves the contents of the contents providers using composite context information and apply the recommendation weights to recommend the suitable contents for the business models of service providers. Therefore, we provide the contents satisfying the consumption value of users and the business models of service providers to mobile users.

Multi-modal approach for FASCODE-EVAL (FASCODE-EVAL을 위한 복합모달 접근방법)

  • Chung, Euisok;Kim, Hyun Woo;Park, Minho;Song, Hwa Jeon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21.10a
    • /
    • pp.514-517
    • /
    • 2021
  • FASCODE-EVAL1은 고객과 시스템간의 의상 추천 대화 문맥과 해당 문맥의 요구사항을 고려한 의상셋 추천 목록으로 구성된다. 의상셋 추천 목록은 3개의 의상셋 후보로 구성되고, 문맥과 관련성이 높은 순서로 정렬된다. 해당 정렬을 찾는 방식으로 의상 추천 시스템 평가를 진행한다. 대화 문맥는 텍스트로 되어 있고, 의상 아이템은 텍스트로 구성된 자질 정보와 의상 이미지 정보로 구성된다. 본 논문은 FASCODE-EVAL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트랜스포머 기반의 사전학습 언어모델을 이용하고, 텍스트 정보와 이미지 정보를 해당 언어모델에 통합하는 방법을 보여준다. FASCODE-EVAL 실험결과는 기존 공개된 결과들보다 우수한 성능을 보여준다.

  • PDF

Hybrid Recommendation System of Qualitative Information Based on Content Similarity and Social Affinity Analysis (컨텐츠 유사도와 사회적 친화도 분석 기법을 혼합한 가치정보의 추천 시스템)

  • Kim, Myeonghun;Kim, Sangwook
    • Journal of KIISE
    • /
    • v.43 no.11
    • /
    • pp.1188-1200
    • /
    • 2016
  • Recommendation systems play a significant role in providing personalized information to users, with enhanced satisfaction and reduced information overload. Since the mid-1990s, man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recommendation systems, but few have examined the recommendations of information from people in the online social networking environment. In this paper, we present a hybrid recommendation method that combines both the traditional system of content-based techniques to improve specialization, and the recently developed system of social network-based techniques to best overcome a few limitations of the traditional techniques, such as the cold-start problem. By suggesting a state-of-the-art method, this research will help users in online social networks view more personalized information with less effort than before.

A Development of Personalized Recommendation System using Spark GraphX (Spark GraphX를 활용한 개인 추천 시스템 개발)

  • Kim, Sungsook;Park, Kiejin;Lu, Su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8.05a
    • /
    • pp.41-43
    • /
    • 2018
  • 소설 데이터는 인터넷 상의 수 많은 개인과 개인의 상호 작용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으며, 이러한 데이터를 분석하여, 분석 대상에 내재하고 있는 구조와 특성을 파악하는 일은 중요하다. 특히, 개인 추천을 위해서는 개별 데이터들의 관계 그래프를 활용하여 빠르고 정확하게 추천 값을 도출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하지만, 기존 추천 기법으로는 신규 사용자와 아이템이 끊임없이 등장하는 상황을 즉각적으로 반영하기가 어렵고, 또한 많은 결측값을 포함하는 sparse 한 데이터일 경우에는 추천 시스템의 연산 공간과 시간에 많은 제약이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Spark GraphX 를 활용한 개인 추천 시스템을 설계 및 개발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사용자와 아이템간에 내재하는 복합 요인이 반영된 그래프 기반 추천을 실행하여, 개인 추천 결과의 우수성을 확인하였다.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Mobile Contents Recommendation System Using Reliability in Composite Context Environments (복합 상황 환경에서 신뢰도를 이용한 모바일 콘텐츠 추천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 Lee, nak-gyu;Bok, kyeong-soo;Yoo, jae-soo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91-92
    • /
    • 2011
  • 최근 유비쿼터스 시대의 도래와 함께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서비스 수요가 급격히 증가함에 따라 대량의 콘텐츠와 서비스를 효율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를 위해 사용자의 상황 정보를 이용하여 개인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다양한 모델들이 제시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모델들은 상황에 따른 사용자의 선호도 혹은 컨텍스트를 자체적으로 수집/분석하여 추천한다는 점에서 신뢰도가 높은 콘텐츠를 추천하지 못하거나 이를 검증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시공간 복합 상황 정보와 사용자의 컨텍스트를 활용한 분석과 함께 콘텐츠와 서비스를 제공하는 외부 CP(Contents Provider)가 Open API로 제공하는 신뢰도에 따라 소비 가치가 높은 최적의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추천 시스템을 제안한다.

  • PDF

A Music Recommendation System based on Context-awareness using Association Rules (연관규칙을 이용한 상황인식 음악 추천 시스템)

  • Oh, Jae-Taek;Lee, Sang-Yong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7 no.9
    • /
    • pp.375-381
    • /
    • 2019
  • Recently, the recommendation system has attracted the attention of users as customized recommendation services have been provided focusing on fashion, video and music. But these services are difficult to provide users with proper service according to many different contexts because they do not use contextual information emerging in real time. When applied contextual information expands dimensions, it also increases data sparsity and makes it impossible to recommend proper music for users. Trying to solve these problems, our study proposed a music recommendation system to recommend proper music in real time by applying association rules and using relationships and rules about the current location and time information of users. The accuracy of the recommendation system was measured according to location and time information through 5-fold cross validation.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accuracy of the recommendation system was improved as contextual information accumulated.

Contents prediction method applying automatically extracted user groups based on users' consuming logs about contents (자동 추출된 사용자 그룹을 이용한 콘텐츠 및 사용자 히스토리 기반의 사용자 별 콘텐츠 추천 방법)

  • Shin, Saim;Yang, Chang-Mo;Jang, Se-Jin;Lee, Seok-Pil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2.07a
    • /
    • pp.55-58
    • /
    • 2012
  • 본 논문은 사용자의 각종 멀티미디어 콘텐츠 소비 히스토리를 수집하여 체계화 및 패턴 분석을 수행하고, 이를 바탕으로 사용자가 선호할 것으로 예측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들을 추출하여 제공하는 콘텐츠 추천 시스템에 관한 연구이다. 본 논문에서는 콘텐츠 소비와 연관된 사용자 로그와 엔진에서 자동 추출한 사용자 그룹을 통하여 콘텐츠 추천을 수행한다. 각 사용자들의 선호정보 데이터를 분석하여 선호정보 패턴이 유사한 사용자들을 사용자 그룹으로 정의하고, 각 사용자들이 속한 사용자 그룹의 사용자 로그를 활용하여 사용자별 선호 콘텐츠를 예측한다. 본 시스템은 웹 또는 모바일 환경에서 음악, 방송, 광고, 기사 등의 방대하고 다양한 콘텐츠를 복합적으로 사용자들에게 선별하여 제공해 주며, 이들의 연관성과 사용자의 콘텐츠 선호패턴을 반영한 개인 맞춤형 콘텐츠 추천 엔진은 사용자가 선호할만한 콘텐츠들을 추천하여 사용자의 콘텐츠 소비 시의 만족도를 높여줄 수 있다.

  • PDF

A study on medical herb recommendation system using word2vec (word2vec을 이용한 한약재 추천 시스템 연구)

  • Ahn, Joo-Eon;Kim, Yeon-Ju;Kim, Hun-Sung;Kim, Woo-je;Lee, Yunh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7.01a
    • /
    • pp.83-85
    • /
    • 2017
  • 여러 약재의 복합적인 작용으로 치료를 행하는 한의학의 특성으로 여러 처방과 약재 조합들을 기억하고 있어야 하는 한의사의 어려움을 줄이고 환자에게 보다 높은 질의 의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것이 목적이다. 다양하고 복합적인 약재의 조합으로 증상을 치료하는 한의학의 특성 때문에 셀 수 없이 많은 약재의 조합이 존재하며 한의사가 이 모든 조합을 기억하기는 어렵기 때문에 한의사들이 환자를 처방함에 있어 조금이라도 보탬이 될 수 있는 처방 지원 시스템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word2vec을 이용하여 처방과 약재의 조합을 추천해주며 분석을 통해 산출된 약재의 조합과 그 조합이 실제 의서에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함께 알려주어 한의사가 보다 더 주의하여 환자에게 처방할 수 있다.

  • PDF

Development of the Potential Query Recommendation System using User's Search History (사용자 검색이력 기반의 잠재적 질의어 추천 시스템 개발)

  • Park, Jeongbae;Park, Kinam;Lim, Heuiseok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1 no.7
    • /
    • pp.193-199
    • /
    • 2013
  • In this paper, a user search history based potential query recommendation system is proposed to enable the user of information search system to represent one's potential desire for information in terms of query and to facilitate the desired information to be searched. The proposed system has analyzed the association with the existing users's search histories based on the users' search query, and it has extracted the users's potential desire for information. The extracted potential desire for information is represented in terms of recommended query and thereby made recommendations to users. In order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the system proposed in this paper, we conducted behavioral experiments by using search histories of 27656. As a result of behavioral experiments, the experiment subjects were found to show a statistically significant higher level of satisfaction when using the proposed system as compared to using general search engines.

Personalized Apparel Coordi System using Multiple Hybrid-Filtering on Semantic Web (시맨틱 웹에서 다중 혼합필터링을 이용한 개인화된 의상 코디 시스템)

  • Eun, Chae-Soo;Song, Chang-Woo;Lee, Seung-Geun;Lee, Jung-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6.10b
    • /
    • pp.178-182
    • /
    • 2006
  • 인터넷과 웹이 일상생활의 일부가 되면서 온라인상에는 방대한 양의 정보가 쌓이게 되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정보의 양은 급속도로 늘어나는 현상을 보이며, ‘개인화’ 를 통해 수많은 데이터들 사이에서 원하는 정보를 자동으로 찾아내는 기술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이를 ‘추천시스템’ 이라 부르며, 내용기반 필터링과 협력적 필터링 등의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사용자에게 가장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또래의 선호도, 지역, 시대 등의 복합적인 환경을 반영하는데 아직까지 어려움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필터링들을 조합하고 좀더 편리하게 정보를 공유하고 학습할 수 있는 시맨틱 웹에서 연관 이웃 마이닝 기법을 통해 개인화된 추천 시스템을 설계한다. 생활에서 흔히 접할 수 있는 의상을 다양한 사용자에게 특화되어 코디해주는 시스템을 웹에서 제공한 결과 불필요한 검색시간이 줄어들고 사용자의 피드백을 통해 점차 만족도가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