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복합시스템엔지니어링

Search Result 51, Processing Time 0.047 seconds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Systems Engineering for Systems of Systems (복합시스템을 위한 시스템엔지니어링 적용방안에 대한 연구)

  • Kim, Jong Yoel;Ham, Bum Sik;Cho, Tae Hyoung;Lee, Bum Su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ystems Engineering
    • /
    • v.6 no.1
    • /
    • pp.15-23
    • /
    • 2010
  • This paper describes the application method of systems engineering for systems of systems and addressed the evolution in approach as organizations have evolved from standalone platform providers to architect of SoS. There is an increasing need to perform Systems of Systems Engineering(SoSE) in a global environment This has stimulated the development of new, innovative SoSE approaches that surpass current military and industry state-of-the-art systems engineering processes. The simple scaling of the former process was ineffective in dealing with global distributed large-scale integration efforts of network-centric systems of systems. A new SoSE process has been developed which is a significant breakthrough in the development of large complex systems and net-centric systems of systems. The SoSE process provides a complete, detailed and systematic development approach for military and civil SoS. In this point of view, this paper analyzes functionally the architecture framework, process and integrated verification & validation of SoSE. From results of this analysis, perspectives on the application of SoSE suitable for Korea aquisition environment are presented.

  • PDF

Application of Model Based Systems Engineering(MBSE) Methodology in Precision Guided Missile(PGM) System with UML (SysML을 활용한 국방 유도무기체계에 대한 MBSE 적용 사례 연구)

  • Jang, Jae-Deok;Choi, Sang-Taik;Kim, Myong-Ho;Park, Dong-Ju;Kim, Seung-Hwan;Choi, Sang-Wook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ystems Engineering
    • /
    • v.7 no.1
    • /
    • pp.23-30
    • /
    • 2011
  • 본 논문은 대형복합 시스템인 국방 유도무기체계를 MBSE(Model Based Systems Engineering) 방법론에 적용한 사례 연구에 대하여 다룬다. MBSE 방법론 적용을 위해 시스템 엔지니어링 설계 프로세스를 적용한다. 이를 통해 MBSE 방법론 적용의 유용성을 공유하고, MBSE 적용 지침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한다.

A Study on the Conceptual Design of Integrated Battle Experimentation System for Future Force Development (미래 전력발전을 위한 종합전투실험체계 개념설계 연구)

  • Oh, Seung-Hwan;Hong, Yoon-Gee
    • Journal of the military operations research society of Korea
    • /
    • v.36 no.3
    • /
    • pp.57-68
    • /
    • 2010
  • This Study proposes that a SoS(System of Systems) Conceptual Design Model which is developed for the SoS establishment, requirement and decision, utilizing SoS engineering and architecture methodology, and the Model performed with the Process Transition Map using subject matter expert survey. Establishing an Integrated Battle Experimentation System(IBES) for the future force development, the process product of IBES was conceptually designed using a SoS Conceptual Design Model.

On Creating the Systems Engineering Management Plan for Successful Completion of Urban Maglev Transportation Commercialization Project (도시형 자기부상철도 사업을 위한 시스템엔지니어링 관리계획서 작성)

  • Lee, Young-Hoon;Choi, Yo-Chul;Lee, Jae-Chon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7.10c
    • /
    • pp.241-243
    • /
    • 2007
  • 자기부상철도는 철도시스템 특유의 특성을 가진 복합시스템으로, 그동안 장기간 기술개발을 걸쳐 경량전철형의 도시형 자기부상열차가 개발되었다. 현재 2006년부터 국내 상용을 목표고 하는 대규모의 실용화사업이 추진되고 있다. 이와 같은 대규모의 복잡한 시스템에 대한 프로젝트에는 생명주기 개념이 적용된 프로젝트 관리 및 기술서인 시스템엔지니어링을 기반으로 하는 사업추진이 필수적이다. 시스템엔지니어링 관리계획서(SEMP; Systems Engineering Management Plan)는 관련 프로젝트에 대한 시스템엔지니어링 분야의 최상위 계획으로, 프로젝트 추진방안 및 일정, 예산, 기술적 목표 등과 함께 시스템엔지니어링 기능 및 수행작업, 업무범위, 조직구조, 인터페이스 등에 대한 내용을 포함하여 기술한 문서를 말한다. 본 논문에서는 도시형 자기부상철도에 대한 실용화사업의 계획 수립을 통하여 SEMP를 작성하면서, SEPM에 대한 문헌조사 및 분석과 함께 SEMP의 작성 방안 및 과정을 보였다. 또한 이를 컴퓨터 기반의 도구를 사용하여 작성되도록 하였다.

  • PDF

Case Studies and Future Direction in Systems Engineering Educational Program (시스템 엔지니어링 교육의 사례연구와 미래 발전방안)

  • Lee, Jae-Ryul;Park, Young-Won
    •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 /
    • v.9 no.2
    • /
    • pp.52-70
    • /
    • 2006
  • Systems Engineering(SE), as a special discipline evolved from multidisciplinary and interdisciplinary design knowledges and practical lessons learned from development practices, is required to develop today's ever-growing large complex systems. As computer speed and analytic sophistication accelerate their applications, modern society's needs have become increasingly varied and complex. Rapid advances in Systems Engineering and its education programs among the developed countries demonstrate their needs as an alternative to what is lacking from traditional disciplinary engineering to meet new challenges of our changing social environments. Systems Engineering is an interdisciplinary approach that includes both management and technical processes. Its processes, methods, and tools are used to evolve, define, and verify an integrated, life-cycle balanced set of system solution that satisfy customer needs and requirements. The process methodology offers a top-down comprehensive, iterative and recursive problem solving process which includes the stating the problems, investigating the alternatives, architecting and modeling the system, integrating and operating the system, assessing and re-evaluating the system performance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search the cases of SE educational programs for both domestic and other developed countries and to propose recommendations for the domestic SE educational programs in the futur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Virtual Environment for Team-based Firefighter Training (소방관 팀 훈련을 위한 가상환경의 설계 및 구현)

  • Lee, JaiKyung;Cha, Moohyun;Choi, Byungil;Kim, Taes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0.11a
    • /
    • pp.818-819
    • /
    • 2010
  • 고층빌딩, 지하역사와 같은 대형 복합건물은 건물 자체의 복합도 증가와 더불어 이에 따른 위험요소(hazard)의 증가를 가져오고 위험상황에 대처해야 할 소방관들의 대응기술 및 훈련도 고도화되어야 한다. 실제 화재현장, 특히 대형 복합건물에 대한 훈련은 비용, 시간뿐만 아니라 소방관 안전 확보라는 차원에서 불가능하며 반복적인 훈련이나 그 평가가 어렵다는 점에서 가상환경을 이용한 훈련 시스템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복합건물에 대한 소방관 팀 훈련 시스템 구현을 위한 가상환경의 설계 및 구현을 소개하고자 한다. 가상환경은 소방관의 훈련 및 평가, 팀 단위훈련을 제공하고 현실감 있는 훈련을 위하여 가상현실, 증강현실, 물리체험 모듈을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가상환경 구축을 위하여 대상 건축물에 대한 3 차원 모델을 구축하고 도출된 발생 가능한 화재 시나리오에 대한 수치적 모델링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가상환경 및 훈련 시나리오에 반영하였다.

A Study on the Systems Engineering Process for Effectively Carrying Out LRT Project (경량전철사업의 효과적인 수행을 위한 시스템엔지니어링프로세스 연구)

  • Han, Seok-Youn;Kim, Joo-Uk;Baek, Jong-Hyun
    • Transactions of the KSME C: Technology and Education
    • /
    • v.1 no.1
    • /
    • pp.139-145
    • /
    • 2013
  • Light rail transit(LRT) is a public transportation and mainly has an automatic driverless operation system. LRT project is a large scaled project which a construction cost is tens of billions of won per km. Systems engineering(SE) is an interdisciplinary approach and means to enable realization of successful systems.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systems engineering processes and their outputs list for the LRT project. And then, we present template and sample case of process output. We also present a case which carried out SE process by SE tool.

Development of a HIL Simulator (HIL 시뮬레이터의 개발)

  • Jung, Seung-Hwan;Choy, Ick;Song, Joong-Ho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7.07a
    • /
    • pp.1589-1590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대체에너지 발전시스템이 포함되는 복합발전시스템의 구성 및 운전 특성 등을 분석하고 종합적인 엔지니어링 기술 확보에 필요한 Hardware-in-the-loop(HIL) Simulator의 구조를 제시하며 이를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운영 소프트웨어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HIL Simulator는 복합발전 시스템을 구성하는 서브시스템의 제어기를 설계하는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 PDF

Design Technology Development of High Speed Railway System (고속전철시스템 설계기술개발 대책)

  • 송달호
    • Journal of the KSME
    • /
    • v.34 no.6
    • /
    • pp.422-474
    • /
    • 1994
  • 지하철 과천선의 사고는 인재라고는 하나 근본적으로 기술개발을 소홀히 했기 때문이라고 생각 한다. 300km/h의 경부 고속전철은 터널, 통신, 신호, 기계, 전기 등의 첨단 복합기술로서 이들의 통합에 의한 엔지니어링의 산물이며, 지하철보다는 차원이 다른 고도의 설계.엔지니어링 기술을 요구한다. 또한 고속으로 주행하는 데 따른 안전한 열차의 제동은 물론, 사고에 대비하기 위한 열차제어 시스템 등에 의한 모든 열차운영은 전적으로 기술적인 문제와 결부되어 있다. 이러한 고속전철기술의 자립을 이룩하려면 정부의 고속전철기술에 대한 정책전략과 이를 실현하려는 의지에서 출발하는 점을 다시 한 번 강조한다. 지금부터 한 세대가 지나기 전에 우리가 독자적 으로 설계, 제작, 건설한 고속전철이 부산에서 서울을 거쳐 신의주 및 원산을 달리는 시대가 오 기를 기대한다.

  • PDF

A Scheme of Systems Engineering Based Requirements Management for Development of a Large Complex System (대형복합시스템 개발을 위한 시스템엔지니어링 기반의 요구조건관리 방안 연구)

  • Kim, Keun-Taek;Park, Chang-Su;Kwon, Byung-Cha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ystems Engineering
    • /
    • v.12 no.2
    • /
    • pp.39-45
    • /
    • 2016
  • In order to successfully develop a large complex system, it is important that the systems engineering processes take into account the program context and characteristics. Among these processes, the requirements management process requires a management plan based on the program plans and systems engineering management plan (SEMP) to the connection with the program management system and the policy directives. In this paper, a systems engineering based requirement management scheme and guidelines for writing requirements are proposed. is propo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