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복합봉재

검색결과 16건 처리시간 0.048초

복합봉재 압출에 의한 에너지 소산의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Energy Dissipation in Extruding Clad Rod)

  • 김창훈
    • 한국기계가공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56-64
    • /
    • 2006
  • Rapid progress in many branches of technology has led to a demand on new materials such as high strength light weight alloys, powdered alloys and composite materials. The hydrostatic extrusion is essentially a method of extruding a clad rod through a die.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process conditions such as friction heat, deformation and clad thickness on the clad extrusion process, viscoplastic finite element simulations were conducted. A specific model for theoretical analysis used in this study is The single scalar variable version of Hart's model. An experiment also has been carried out using 1.5MN hydrostatic extruder with variable speed ram, LVDT and load cell for comparison. It is found that the hydrostatic extrusion pressure considering the effect of heat dissipation in this theoretical work was closer to the experimental pressure than the isothermal hydrostatic extrusion pressure.

  • PDF

알카리 환경하에서 유리섬유의 내구성 (Durability of glass fiber under the alkali environment)

  • 김태진;김기수;최롱
    • 한국복합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복합재료학회 1999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204-209
    • /
    • 1999
  • 각종섬유를 연속섬유 보강재로 사용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수지를 매트릭스로 하여 봉재 형상(FRP rod)으로 제조하고있다. 성형된 섬유는 수지가 섬유의 보호재 역할을 하기 때문에, 콘크리트내의 알칼리와 절연되어 열화가능성이 작다고 고려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섬유를 둘러싼 수지는 그 두께가 수 {$mu}m$이하로 특히 얇고, 운반이나 보관시에 수지가 물리적 변형 및 자외선에 의한 열화가 일어날 가능성이 높다. 또 알칼리에 의하여 에스테르의 가수분해반응에 따른 폴리머의 부식 등, 수지에 알칼리의 침입을 완전히 막는 것이 불가능하게 여겨진다.

  • PDF

SOFC 밀봉재로서 $SiO_2-B_2O_3-RO$계에서 RO 변화에 따른 밀봉특성

  • 권용진;최병현;지미정;안용태;설광희;남산
    • 한국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재료학회 2011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33.2-33.2
    • /
    • 2011
  • 고온형 SOFC의 개발에 있어 스택의 신뢰성을 확보하는데 가장 중요한 핵심기술은 스택 구성요소 사이를 접합하는데 필요한 고온형 밀봉재의 개발이다. SOFC 스택에서의 밀봉재는 고체전해질과 접속자 사이에서 음극에 공급되는 연료가스와 양극에 공급되는 공기가 서로 혼합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은 물론 기계적으로 취약한 단전지의 보호 및 스택전체 구조물의 구조적 일체성(Structural integrity)을 부여하는데 주목적이 있다. 현재 기체 기밀성을 유지하기 위한 밀봉재는 크게 유리 및 결정화 유리계, mica및 mica/유리복합재료, 유리/충전재 복합재료 등이 사용되고 있으나 다수의 단위전지로 구성되는 스택 구성에서 스택의 열기계적 안정성 및 장기수명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본 연구에서 개발하고자 하는 복합밀봉재가 가장 적합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SiO_2-B_2O_3-RO$계에 BaO, SrO를 일정비율로 첨가하여 제작된 유리 frit을 열처리하여 물리화학적 물성변화를 검토하였으며, $700^{\circ}C$ 이하의 연화점을 갖는 유리를 기지상으로 하고 세라믹 보강재를 첨가한 고온형 복합밀봉재를 개발하고 그 물리화학적 안정성, 열기계적 안정성 및 밀봉 특성을 평가하였다.

  • PDF

고체산화물연료전지에 사용되는 밀봉재 개발 및 특성 평가

  • 권용진;최병현;지미정;이서환;설광희;남산
    • 한국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재료학회 2012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95.2-95.2
    • /
    • 2012
  • 고온형 SOFC의 개발에 있어 스택의 신뢰성을 확보하는데 가장 중요한 핵심기술은 스택 구성요소 사이를 접합하는데 필요한 고온형 밀봉재의 개발이다. SOFC 스택에서의 밀봉재는 고체전해질과 접속자 사이에서 음극에 공급되는 연료가스와 양극에 공급되는 공기가 서로 혼합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은 물론 기계적으로 취약한 단전지의 보호 및 스택전체 구조물의 구조적 일체성(Structural integrity)을 부여하는데 주목적이 있다. 현재 기체 기밀성을 유지하기 위한 밀봉재는 크게 유리 및 결정화 유리계, mica및 mica/유리복합재료, 유리/충전재 복합재료 등이 사용되고 있으나 다수의 단위전지로 구성되는 스택 구성에서 스택의 열기계적 안정성 및 장기수명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본 연구에서 개발하고자 하는 복합밀봉재가 가장 적합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SiO-B2O3-RO계에 BaO, SrO를 일정비율로 첨가하여 제작된 유리 frit을 열처리하여 물리화학적 물성변화를 검토하였으며, $750^{\circ}C$ 이하의 연화점을 갖는 유리를 기지상으로 하고 세라믹 보강재를 첨가한 고온형 복합밀봉재를 개발하고 그 물리화학적 안정성, 열기계적 안정성 및 밀봉 특성을 평가하였다.

  • PDF

(TiB+TiC) 입자강화 Ti기 복합재료의 접촉하중에 따른 내마모 특성 (Effect of Contact Load on Wear Property of (TiB+TiC) Particulates Reinforced Titanium Matrix Composites)

  • 최봉재
    • 한국주조공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115-122
    • /
    • 2017
  •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evaluate the wear properties of (TiB+TiC) paticulate reinforced titanium matrix composites (TMCs) by in-situ synthesis. Different particle sizes (1500, $150{\mu}m$) and contents (0.94, 1.88 and 3.76 mass% for Ti, 1.98 and 3.96 mass% for the Ti6Al4V alloy) of boron carbide were added to pure titanium and to a Ti6Al4V alloy matrix during vacuum induction melting to provide 5, 10 and 20 vol.% (TiB+TiC) particulate reinforcement amounts. The wear behavior of the (TiB+TiC) particulate reinforced TMCs is described in detail with regard to the coefficient of friction, the hardness, and the degree of reinforcement fragmentation during sliding wear. The worn surfaces of each sliding wear condition are shown for the three types of wear studied here: transfer layer wear, particle cohesion wear and the development of abrasive areas. The fine reinforcements of TMCs were easily fragmented from the Ti matrix as compared to coarse reinforcements, and fragmented debris accelerated the decrease in the wear resistance.

반응생성 합성에 의한 (TiB+TiC) 입자강화 Ti기 복합재료의 미세조직 및 인장특성 평가 (Microstructure and Tensile Property of In-Situ (TiB+TiC) Particulate Reinforced Titanium Matrix Composites)

  • 최봉재;김영직
    • 대한금속재료학회지
    • /
    • 제48권8호
    • /
    • pp.780-789
    • /
    • 2010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microstructure and tensile property of in-situ (TiB+TiC) particulate reinforced titanium matrix composites (TMCs) synthesized by the investment casting process. Boron carbide ($1,500{\mu}m$ and $150{\mu}m$) was added to the titanium matrix during vacuum induction melting, which can provide the in-situ reaction of $5Ti+B_4C{\rightarrow}4TiB+TiC$. 0.94, 1.88 and 3.76 wt% of $B_4C$ were added to the melt. The phases identification of the in-situ synthesized TMCs was examined using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an X-ray diffractometer, an electron probe micro-analyzer and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Tensile properties of TMCs were investigated in accordance with the reinforcement size and volume fraction. The improvement of tensile property of titanium matrix composites was caused by load transfer from the titanium matrix to the reinforcement and by grain refinement of titanium matrix and reinforcements.

Al 합금 다이캐스팅 용 타이타늄 기지 복합재료 슬리브의 내용손성 및 내마모성 평가 (Endurance in Al Alloy Melts and Wear Resistance of Titanium Matrix Composite Shot-Sleeve for Aluminum Alloy Die-casting)

  • 최봉재;성시영;김영직
    • 대한금속재료학회지
    • /
    • 제50권2호
    • /
    • pp.176-182
    • /
    • 2012
  •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ndurance against Al alloy melts and wear resistance of an in-situ synthesized titanium matrix composite (TMC) sleeve for aluminum alloy die-casting. The conventional die-casting shot sleeve material was STD61 tool steel. TMCs have great thermal stability, wear and oxidation resistance. The in-situ reaction between Ti and $B_4C$ leads to two kinds of thermodynamically stable reinforcements, such as TiBw and TiCp. To evaluate the feasibility of the application to a TMCs diecasting shot sleeve, the interfacial reaction behavior was examined between Al alloys melts with TMCs and STD61 tool steel. The pin-on-disk type dry sliding wear test was also investigated for TMCs and STD61 tool steel.

약물 이송기능을 갖는 복합구조 초음파 변환기 어셈블리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velopment of Composite Ultrasonic Transducer Assembly with Drug Transfer Function)

  • 노시철;김주영;유병철;정봉재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1권5호
    • /
    • pp.353-359
    • /
    • 2017
  • 대표적인 저강도 초음파 자극 기술인 음파영동은 초음파의 물리적 진동과 온열 효과를 이용하여 약물을 인체 표피 내부로 전달시키는 기법이다. 음파영동법은 치료 약물 전달의 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인슐린이나 지질 등 분자 크기가 비교적 큰 약물의 전달에도 효과적이라는 장점을 갖는다. 본 연구에서는 효율적인 음파영동 치료를 위하여 대면적 단일 진동소자와 치료 부위에 약물 이송 기능을 갖는 복합 구조 초음파 변환기 어셈블리를 제안하였다. 또한, 치료 부위의 온도를 상승 및 유지시킬 수 있는 변환기 어셈블리 구조를 제안하고 유효성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변환기 어셈블리는 지속적으로 정량의 약물을 제공하고, 가온을 통하여 약물 전달을 보조함으로써 초음파를 이용한 음파영동 시술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레진코팅된 상아질 표면과 레진인레이간 결합에 임시가봉재가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EMPORARY FILLING MATERIALS ON THE ADHESION BETWEEN DENTIN ADHESIVE-COATED SURFACE AND RESIN INLAY)

  • 김태균;이광원;유미경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3권6호
    • /
    • pp.553-559
    • /
    • 2008
  • 이 연구의 목적은 레진 코팅된 표면과 레진인레이 사이의 자가-접착 레진시멘트를 이용한 결합 시 임시가봉제에 따른 미세인장결합강도를 평가하는 것이었다. Caviton(GC, Tokyo, Japan), Provifil(Promedica, Neumunster, Germany), Provifil(Promedica, Neumunster Germany) & petrolatum, and Eugenol-based cement, Tembond(Kerr, Orange. CA, USA) 이 임시가봉재로 사용되었다. Tescera(Bisco, Schamburg IL, USA) 로 제작하였고 자가-접착 레진시멘트인 Rely X unicem (3M, St. Paul. Minn, USA) 를 이용하여 접착하였다. 이후 미세인 장결합강도를 측정하였고 one-way anova 와 Duncan test 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p<0.05) Caviton 군이 다른 그룹과 비교하여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여주었다(p<0.05). Provifil, Provifil & petrolatum, Tembond 군 등은 상대적으로 낮은 값을 보여주었다.

저온작동 (600∼650°C) SOFC용 복합밀봉재 제조 및 평가 (Fabr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Composite Sealants for Low Temperature (600∼650°C)SOFCs)

  • 임현엽;김형철;최선희;김혜령;손지원;이해원;이종호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45권12호
    • /
    • pp.802-806
    • /
    • 2008
  • A proper sealant for low temperature SOFCs should show zero or low leak rates to avoid direct mixing of the fuel and oxidant gases or leakage of fuel gas during the operation of SOFCs. Furthermore, it should be chemically and/or mechanically stable in both oxidizing and reducing environments and chemically compatible with other fuel cell components. In the present work, we developed a novel compressed seal gasket of glass-based composite reinforced with ceramic particulate particles, which can efficiently control the viscous flow of glass matrix as well as the crystallization of glass phase. This novel sealing gasket showed excellent gas tightness under very low compressive load which would be suitable for the operation of SOFCs in the temperature range $600{\sim}650^{\circ}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