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복합발전기

Search Result 116,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Development of Turbine Blade with Composite in Wind Turbine (복합재료를 이용한 풍력발전기용 터빈 블레이드의 개발)

  • 조정미;이경봉
    • Journal of the KSME
    • /
    • v.34 no.5
    • /
    • pp.342-350
    • /
    • 1994
  • 본 연구를 통하여 기존에 사용되고 있던 알루미늄 압출재 블레이드를 복합재료로 대치하여 개 발함으로써 이의 타당성을 검토하여 보았다. 풍력발전기의 개발 추세는 점차 메가와트 (megawatt)급 시스템으로 진행되어 터빈 블레이드가 대형화됨에 따른 터빈브레이드의 경량화 및 내구력의 향상이 절실히 요구된다. 이는 복합소재의 사용으로 경량화를 통한 시스템 각요소의 제작비용절감 및 내구력 향상을 통한 시스템의 수명증대의 효과를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그 러나 복합재료를 사용한 터빈 블레이드는 기존의 알루미늄을 이용한 재료보다는 가격경쟁에서 다소 떨어지며 제작공정상의 어려움과 정밀한 설계기술의 미개발 등 아직도 많은 난점을 안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현재 풍력에너지 이용 선직국의 개발추이로 보아 대용량시스템의 터빈 블레이드는 복합소재의 사용이 필수적이며 보다 효율적인 양산시스템의 구축과 최적설계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실시되면 기존의 블레이드와는 충분한 경쟁성을 확보할 것으로 전망된다.

  • PDF

풍력발전

  • 전홍석;박경호
    • 전기의세계
    • /
    • v.41 no.6
    • /
    • pp.25-33
    • /
    • 1992
  • 국내에서의 풍력발전 연구는 낙도나 여지와 같은 미전화지역에 적합한 신뢰성있는 풍력발전기를 개발하고 또한 보다 안정된 전력 공합을 위하여 태양광이나 디젤발전과의 복합발전기술을 개발하는 방향으로 추진됨이 요구된다. 아울러 에너지 자립도를 높이고 환경오염을 가능한 한 줄일수 있도록 강풍지역과 풍력자원이 풍부한 지역을 발굴하고 이들 지역에 풍력발전원지를 건설 운용함이 바람직하다.

  • PDF

Performance analysis of legacy line communication using high current powerlines in midrange wind turbines (중형급 풍력 발전기내 전력선을 이용한 무배선 통신 성능분석)

  • Kim, Kyoung-Hwa;Jeong, Seong-Uk;Nam, Seung-Yun;Kim, Hyun-Sik;Sohn, Kyung-Rak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v.40 no.4
    • /
    • pp.336-341
    • /
    • 2016
  • This paper presents an implementation of a communication network in wind turbines, which exploits the power-line communication system (PLC). We used an inductive coupling unit and a multi-interface device to connect a data-communication terminal to the power line, to ensure that stable communication was possible at various electric current and voltage values of the generator. The results of the operation tests conducted on an operational wind turbine showed that the implemented PLC demonstrated a transmission rate of at least 43 Mbps with a 100% success rate. Moreover, a real-time image was transmitted. Thus, the system could be a useful alternative for implementing a communication network in wind turbines that does not require additional channels. Since the presented system is easy to implement, and can support various interfaces for data communication, it will be quite useful when a real-time monitoring system is launched in wind turbines.

A Study on the Output Performance of Solid-solid Triboelectric Energy Harvesting Depending on the Surface Morphology and Thickness of AAO (AAO 두께 및 표면 형상에 따른 고체-고체 마찰 대전 기반 에너지 하베스팅 발전 성능에 관한 연구)

  • Kwangseok Lee;Woonbong Hwang
    • Composites Research
    • /
    • v.36 no.3
    • /
    • pp.224-229
    • /
    • 2023
  • Due to the increasing demand for wearable devices and miniaturization of various electronic devices, the trend of nanofabrication in IT devices is underway. In order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battery size and capacity, there has been a lot of research interest in energy harvesting technology, also known as triboelectric nanogenerator. AAO(Anodic Aluminum oxide) coated with fluoride is a structure that includes an anode layer with high properties in the triboelectric series, an dielectric layer that helps transfer the triboelectrically generated charges to the electrode without loss, and the electrode. For these reasons, AAO has been a lot of research on its application to frictional energy harvesting nanogenerators. In this work, we analyzed the correlation of AAO between the surface morphology and thickness of the insulating layer by utilizing aluminum oxide, which is advantageous for the application of triboelectric nanogenerators, and adjusting the thickness of the insulating layer.

A Study on the Generator Operation by the Electronic Consumption During the Summer in a Complex Building Cluster (복합시설의 하절기 전력사용량에 따른 발전기 가동현황 분석)

  • Kwon, Han-Sol;Kong, Dong-Seok;Kwak, Ro-Yeul;Huh, Jung-Ho
    • 한국태양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8.11a
    • /
    • pp.126-131
    • /
    • 2008
  • The large buildings in Korea usually use the generators to control the peak load of electronic consumption during the summer. It is necessary that these generators emit carbon dioxide, since they use gas or gasoline for their fuel.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ata of electronic consumption and operation of the generators at COEX, one of the representative complex building clusters in Korea, and to compare to the amount of carbon dioxide emitted per 1kWh from the domestic power plant by analogizing the frequency of using the generator during the summer and the amount of fuel consumption by the capacity of the generator and estimating the amount of carbon dioxide emitted from the generator.

  • PDF

A Study on the Generation Capacity and Cost Analysis of Solar-Wind Hybrid Power System (태양광-풍력 복합발전시스템의 용량 산정과 경제성 분석에 관한 연구)

  • Kim, Jong-Hwan;Lee, Seung-Chul;Kwon, Byeong-Gook;Oh, Hae-Jin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3.11a
    • /
    • pp.348-350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태양광-풍력 복합발전시스템의 발전용량 예측을 통한 시스템 시설투자비 및 발전단가와 경제성에 대하여 분석한다. 도시지역의 일사량 및 풍속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복합발전시스템의 일일 발전량을 구하고, 수용가의 일일부하패턴과 수요부하를 고려하여 태양전지 어레이와 풍력발전기의 용량을 산정한다. 그리고 용량 산정에 따른 복합발전시스템의 초기투자비용과 연간 발전량, 연간 소요경비 등의 요소를 고려하여 총 수명가 분석법(Total Life-Cycle Cost Analysis)에 기초한 발전단가를 계산하고 잉여전력을 계통에 판매할 경우의 경제성을 평가한다.

  • PDF

A Sturdy on the Stack Sleep Twist Round Wind Power System Using Magnetic Levitation Technology (대형 건물 구조에 적합한 자기 부상을 이용한 저 풍속 적층 연곡형 풍력발전 시스템에 관한 연구)

  • Jung, JaChoon;Jang, MiHye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06a
    • /
    • pp.186.3-186.3
    • /
    • 2010
  • 본 논문은 우리나라와 같이 평균풍속이 낮고 바람 방향이 수시로 변하는 지역에 적합한 풍력발전 시스템에 관하여 논한다. 특히, 풍향에 상관없이 효율을 보장하고, 아주 약한 풍속 조건에서도 기동(Cut-in)되며, 낮은 평균풍속 5~6m/s인 지역에서도 경제적으로 풍력발전 단지의 구축이 가능하며, 다양한 지역에 설치가 가능하고, 소음이 적고 친(親) 환경적이며, 양산이 가능해 납기를 예측할 수 있으며 그리고 모든 부품 및 시스템의 국산화가 가능해야 한다는 7가지 조건을 만족하는 풍력발전시스템으로 이를 실현시키기 위하여 현재 풍력발전시스템의 가장 앞선 요소기술(state-of-the-art technology)인 직접구동 방식, 적층식, STR 블레이드, AFPM동기발전기, 자기부상 및 전자브레이크 등 5가지 기술을 복합 융합하여 최고의 효율 및 성능을 보장해 주는 적층 연곡형 시스템이다.

  • PDF

Investigation on Design and Impact Damage for a 500W Wind Turbine Composite Blade (500W급 풍력발전기 복합계 블레이드의 설계 및 충격손상 안전성 연구)

  • Kong, Chang-Duk;Choi, Su-Hyun;Park, Hyun-Bum;Kim, Sang-Hoon
    • Composites Research
    • /
    • v.22 no.1
    • /
    • pp.22-31
    • /
    • 2009
  • Recently the wind energy has been alternatively used as a renewable energy resource instead of the mostly used fossil fuel due to its lack and environmental issues. This work is to propose a structural design and analysis procedure for development of the 500W class small wind turbine system which will be applicable to relatively low speed region like Korea and for the domestic use. The wind turbine blade was performed structural analysis including stress, deformation, buckling, vibration and fatigue. In addition, the blade should be safe from the impact damage due to FOD(Foreign Object Damage) including the bird strike. MSC.Dytran was used in order to analyze the bird strike penomena on the blade, and the applied method Arbitrary Lagrangian-Eulerian was evaluated by comparison with the previous study results. Finally, the structural test was carried out and its test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e estimated results for evaluation of the designed struc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