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복지 환경

검색결과 1,311건 처리시간 0.033초

IEEE 11073 표준을 위한 홈 헬스케어 융합에 대한 연구 (A Study on Home Healthcare Convergence for IEEE 11073 Standard)

  • 오암석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422-427
    • /
    • 2015
  • 의료 패러다임이 과거 치료 중심에서 예방 및 건강 관리중심으로 전환되면서 IT융합 의료서비스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였고, 헬스케어서비스는 현재 급속히 보급되고 있는 스마트 기기를 바탕으로 수요자들의 일상생활에 매우 밀접하게 접근하여 자신의 의료, 건강, 그리고 복지 등을 복합적으로 관리 할 수 있는 스마트 헬스케어서비스가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개인 건강기기의 데이터를 이용한 상호 운용성을 확보하기 위해 각 시스템 구성요소 간에 IEEE 11073 PHD(Personal Health Devices), HL7(Health Level 7) 등의 표준을 통하여 스마트 TV 환경에 따른 헬스케어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통합 게이트웨이를 설계하고 이를 기반으로 홈 헬스케어시스템을 구현하였다.

포복형 초본(바랭이와 잔디)의 분지형과 유효 엽면적 (Branching Pattern and Effective Leaf Area of Spreading Herbs, The Crabgrass and The Korean Lawn)

  • 장남기;홍정림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7권2_3호
    • /
    • pp.95-101
    • /
    • 1993
  • 1992년 6월부터 1993년 9월 동안에 서울에서 이루어진 바랭이와 잔디의 분지형(branching pattern)과 유효엽면적(effective leaf area)에 대한 정량적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분지 끝 지점의 2차원적인 위치는 수학적 방식을 이용한 이론적 모델에 의해 분지사이의 각과 분지 길이들이 상대적인 비를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 2. 분지각과 분지길이의 상대적인 비는 바랭이나 잔디의 개체와 군락의 전체적인 구조를 효과적으로 분석하는데 있어 매우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3. 시간에 따라 변화되는 분지형을 명확히 분석하기 위해 positive feedback theory를 성장 분석 모델로 적용하였다. 4. 분지의 마디 배열은 봄에서 여름에 이르는 생장 기간동안에 변화됨을 나타내었다. 주지(mother branch)와 복지(daughter branch)사이의 각은 적정치에 수렴하는 양상을 보였으며 그 평균값은 바랭이가 50도, 잔디가 59도임을 알 수 있었다. 5. 야외에서 관찰된 실험적 측정치아 모식적 구성을 통해서 최대 물질 생산과 연관된 햇빛 흡수와 수용의 극대화를 위한 분지형과 최대 유효엽면적의 상관 관계를 분석하였다. 6. 따라서 수학적 모식을 이용한 분지형 분석은 실험적 측정치와 잘 일치하며, 이런 수관형의 형성은 유전적 요소와 환경적 요소에 의해 영향을 받을 뿐만 아니라 식물의 적응적 중요성을 지니는 유효잎면적, 관수용 및 광합성과 물질생산의 극대화를 분석하는데도 유효하게 쓰일 수 있다.

  • PDF

코로나19 시대의 보육환경 내 영유아의 사회적 경험 (Young Children's Social Experiences Within Child Care Centers During COVID-19)

  • 최혜영;유준호;권수정;장경은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29-46
    • /
    • 2021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young children's social experiences during COVID-19. In this study, social experiences are defined as children's social interactions and relationships, their educational experiences, and their daily life experiences in child care centers. Methods: Participants include nine child care teachers and fifteen young children.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emi-structured interviews with individual teachers, interviews with young children, and small group storytelling activities with young children. Results: The main findings in exploring meanings and implications of childcare consulting were as follows. First, childcare consulting was recognized as a process of learning about changes through mutual relationships. Second, the different ways to practice childcare consulting, the formation of the learning culture of an organization to help experience collective intelligence, the process of finding various solutions through mutual communication, and the improvement of childcare teachers' professional capabilities while reflecting the current times and context were all investigated. Conclusion/Implications: Given the findings of the study, the importance of childcare consulting, and the ways to establish its systems were discussed.

육아휴직의 정책효과에 관한 분석 : 출산에 미치는 효과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Policy Effects of Child Care Leave : Focusing on the childbirth)

  • 정의룡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4권4호
    • /
    • pp.145-154
    • /
    • 2018
  • 본 연구는 육아휴직제도가 출산에 미치는 정책효과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육아휴직제도는 1차적으로 일과 가정의 양립을 취지로 하고 있다. 그러나 출산율 제고의 문제가 부각되면서 육아휴직제도 또한 출산장려책의 일환으로 기대되면서 육아휴직의 대상과 급여 혜택 또한 강화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배경 하에서 복지패널 자료를 활용하여 가임기 여성 및 그 배우자의 육아휴직 혜택 이후 출산효과를 이중차분의 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육아휴직제도의 정책효과는 출산에 관한 한 아직까지 긍정적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출산율 제고에 있어서 육아휴직제도의 실질적인 확대 외에 우리나라의 가정친화적인 노동환경 재정립의 필요성을 시사하고 있다.

지지적인 학교환경이 아동의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행복감의 직렬매개 효과 (The Effects of Supportive School Environment on Children's Prosocial Behavior: Sequential Mediation Effects of Children's Self-esteem and Happiness)

  • 정지나;손승희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6권6호
    • /
    • pp.105-122
    • /
    • 2020
  • Objective: The study aimed to examine the impact of a supportive school environment on children's prosocial behavior by investigating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s of children's self-esteem and happiness. Methods: Results of the study were obtained by analysing data collected from 633 nine-year-old children in the 10th wave of the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2017). The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significance of mediated pathways using SPSS 23.0 and PROCESS macro 3.3. Results: First, children's self-esteem did not have mediational effects with respect to a supportive school environment and children's prosocial behavior. Second, children's happiness had mediational effects with respect to a supportive school environment and children's prosocial behavior. Lastly, a supportive school environment affects children's self-esteem, which affects children's happiness, thereby promoting children's prosocial behavior. Conclusion/Implications: In order to promote children's prosocial behavior, we should put emphasis on developing a supportive school environment, and increasing children's self-esteem and happiness. It is important that teachers treat children and classmates treat each other with a warm attitude so that they can value themselves and feel happiness in their lives.

세대 간 사회인구학적 특성 및 거주 특성 차이 분석 (Similarities and Discrepancies of Socio-demographic and Residential Outcomes between Young Adult Children Leaving Parental Home and Their Parents)

  • 이현정
    • 토지주택연구
    • /
    • 제11권4호
    • /
    • pp.1-13
    • /
    • 2020
  • This research explores the generational similarities and discrepancies of socio-demographic and housing statuses between young adult children leaving the parental home and their parents. Utilizing the 20th Korean Labour and Income Panel Study (KLIPS), this study identified a total of 609 households who have left their parent home from 1999 to 2017. Two-thirds of the adult children were married couples while the rest was singles. Children's educational level was higher, and their household size was smaller than their parents. Both generations were mainly headed by employed and married men. The vast majority of the adult children lived in the same area with their parents and lived as tenants in much smaller housing than their parents. On the contrary, most parents were homeowners of a large single-family home. The generational differences were clearly observed in housing tenure, housing structure, and housing size. Although leaving parents' home is part of a transition to adulthoods (depending on the stability of the labor market and the affordability in the housing market), that process was largely triggered by the employment status that can lead to economic independence rather than their marital status. Both housing and job opportunities are important factors to determine independent life.

성인학습자의 배움 의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eaning of Learning in Adult Learners)

  • 배나래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3권3호
    • /
    • pp.185-190
    • /
    • 2022
  • 사람들은 어떤 이유로 배움을 시작하게 되는가 라는 질문으로 배움의 의미에 대한 연구를 시작하였다. 배움은 인간화이며 인격화이다. 배움은 인간의 기본적인 본능이며 배움의 본질은 타인과 나의 삶에 대한 이해이며 공동체를 배우고 사회적 자본을 익히는 계기가 된다. 인간에게 배움은 유목적인 판단력을 주며 사회환경과의 끊임없는 조화를 이루면서 살아가야 할 인류에게 생산적 삶의 계기를 마련해 준다. 배움은 자기 관리, 다양한 세대와의 의사소통, 자아실현 등의 계기를 마련해 주며, 배움은 세상을 바라보는 시각을 확장 시킨다. 우리에게 배움은 개인의 존재론적 의미, 실존적 의미를 찾게 하는 중요한 기제로 작용한다.

진폐환자에서 연도별 활동성 폐결핵 유병률과 현황 조사의 필요성 (Annual Prevalence of Active Pulmonary Tuberculosis among Dusty Workers who Diagnosed with Pneumoconiosis in Korea)

  • 황주환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34-144
    • /
    • 2023
  • Objectives: Active pulmonary tuberculosis (active PTB) is manifested in one of the complications of pneumoconiosis, but statistics are not available. The objectiv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dentify the incidence of active PTB among dusty workers who were diagnosed with pneumoconiosis by year. Methods: The present study was performed using the results of the Pneumoconiosis Examination Council's assessment from the Korea Workers' Compensation and Welfare Service (KCOMWEL) database between January 1, 1984, and December 31, 2017. Pneumoconiosis is defined as Category 1 or more. Active PTB was defined as a positive result for active PTB in the result of the Pneumoconiosis Examination Council's assessment. The annual incidence rate of pneumoconiosis and active PTB were analyzed by age standardization. Results: The number of retired dusty workers who received the health examination for work-related pneumoconiosis increased every year. However, the incidence of pneumoconiosis among retired dusty workers and active PTB among patients with pneumoconiosis decreased every year. Conclusions: To effectively manage pneumoconiosis and active PTB among patients with pneumoconiosis, the annual status of them in retired dusty workers who received the health examination for work-related pneumoconiosis was required.

유아 스마트폰 과의존 유형에 따른 과의존의 차이 분석 연구 (A study on the analysis of differences in over-dependence according to the type of over-dependence on infant smartphone)

  • 윤경미;최대훈;조우홍;변길희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1년도 제63차 동계학술대회논문집 29권1호
    • /
    • pp.131-132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스마트폰 과의존 유형을 파악하고 과의존의 차이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9년 스마트폰 과의존실태조사에서 자료 중 유아 992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전체 유아 중 고위험군 1.9%, 잠재적위험군 19.2%, 일반사용자군 78.9%로 나타났다. 스마트폰 과의존 유형에 따른 과의존의 하위 변인인 조절실패, 현저성, 문제적 결과가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들이 스마트폰 이용이 증가하고 있는 시점에서 유아의 올바른 스마트폰 사용을 위한 교육과 과의존에 관한 예방 방안이 필요함을 시사해 준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또한 유아교육현장에서 유아가 건강한 성장을 도모할 수 있도록 과의존 예방을 위한 가정환경 점검 및 부모교육에 관한 기초적인 연구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비대면 실시간 온라인 수업을 위한 하브루타 학습모델 개발 및 적용가능성 탐색 (Development of a Havruta Learning model and exploring its applicability in non-face-to-face real-time online classes)

  • 변길희;최대훈;조우홍;윤경미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1년도 제63차 동계학술대회논문집 29권1호
    • /
    • pp.129-130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학생의 주도적 학습을 돕는 하브루타 학습방법을 대학의 비대면 실시간 온라인 수업에서 활용할 수 있는 하브루타 학습모델 개발과 그 적용 가능성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온라인 학습환경에서 하브루타 학습법 적용사례에 대한 선행연구 고찰과 관련 이론들을 분석하고 하브루타 수업운영 경험자 2인의 인터뷰를 통해 비대면 실시간 온라인 수업 상황에서 적용 가능한 학습 모델안을 고안할 것이다. 이를 하브루타 수업 운영 경험이 풍부한 6인의 전문가를 대상으로 수업 모델안의 적절성과 적용가능성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여 비대면 실시간 온라인 수업을 위한 하브루타 학습모델을 개발하고자 한다. 이 연구를 통해 비대면으로 수업을 해야 하는 상황에서도 학습자의 주도적 학습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학습효과를 높여 미래 사회에 필요한 역량을 개발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