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복지정보화

검색결과 104건 처리시간 0.028초

노인복지관의 정보화 교육만족도가 노인의 정보활용 및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Informatization Education Satisfaction of Elderly Welfare Center on Elderly Information Usage and Life Satisfaction)

  • 곽미정;노상은;곽영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3호
    • /
    • pp.486-495
    • /
    • 2017
  • 본 연구는 노인복지관의 정보화 교육만족도가 노인의 정보활용만족도 및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이를 위하여 2015년 09월 02일부터 09월 24일까지 서울 및 수도권의 노인복지관에 등록하여 활동하고 있는 노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노인의 정보인지 영역의 향상에 있어서는 정보화 교육만족도의 교육내용, 교육강사, 교육환경의 요인이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노인의 정보경험 영역의 향상에 있어서는 정보화 교육만족도의 교육내용, 교육방법, 교육강사, 교육환경의 요인이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노인의 개인요인 만족도 향상에 있어서는 정보화 교육만족도의 교육내용, 교육강사의 요인이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하여 노인의 정보활용만족 및 생활만족도를 함양하기 위해서는 노인의 정보화 교육만족도의 함양이 중요하며 이를 위해서 노인복지관 등의 기관을 통하여 실시하고 있는 노인의 정보화 교육을 구성하는 하위요인의 점검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복지부문 정보화의 효과에 대한 시론적 논의 : 사회복지통합관리망을 중심으로 (The Effects of Informatization on the Social Welfare Sector: with a focus on the Integrated Social Welfare Management System)

  • 함영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8호
    • /
    • pp.11-21
    • /
    • 2013
  • 사회복지통합관리망은 정부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복지급여 및 서비스를 통합적으로 제공 관리하기 위한 정보시스템으로서 사회복지 행정의 효율화에 기여하고, 나아가 사회복지 전달체계를 개선하기 위하여 구축되었다. 사회복지통합관리망은 복지행정업무를 담당하는 지자체 사회복지공무원의 업무량을 경감시키고 일하는 방식을 개선함으로써 전달체계 효율화 측면을 강조하였으며, 이에 따라 정보화 평가 또한 복지행정업무의 효율성측면과 예산, 인력 감축 규모를 통해 실질적인 효과를 찾아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사회복지통합관리망 구축 및 운영에 따른 경제적 측면, 공급자 측면 그리고 수요자 측면에서 정보시스템의 효과를 살펴보고, 이에 따른 사회복지통합관리망의 실질적인 성과를 제시하였다.

수급자의 생활세계 관점에서 바라본 사회복지정보화 : 정보 리터러시 3차원을 중심으로 (Social Welfare Informatization from the Viewpoint of Recipients: Applying Three Dimensions of Information Literacy)

  • 전기옥;김수영
    • 사회복지연구
    • /
    • 제49권2호
    • /
    • pp.257-295
    • /
    • 2018
  • 본 연구는 수급자들이 자신의 일상생활 속에서 사회복지정보를 어떤 방식으로 접근, 이해, 활용하는지를 구체적으로 살펴봄으로써, 정부의 사회복지정보 제공방법이 어떻게 바뀌어야 하는지를 제안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른바 정보사회가 도래하면서 한국 정부 또한 IT 교육프로그램 확대, 복지정보포털 '복지로' 개통 등 사회복지정보 전달과 공유를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여 왔다. 그러나 정부의 관심과 노력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많은 복지대상자들이 사회복지정보를 접하고 이를 활용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이는 그동안 복지수급자 대상 정보화 사업이 행정체계의 입장에서 상향식으로 추진되면서, 수급자들이 실제 생활세계에서 어떤 방식으로 정보를 얻고 해석하며 이용하는지를 충분히 고려하지 못했기 때문이기도 하다. 이에 본 연구는 수급자들이 자신의 일상적인 삶에서 사회복지정보를 어떻게 받아들이고 인식하는 지를 살펴보고 그들의 시점에서 사회복지정보화를 성찰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수급자 14명을 심층면접하고 이를 주제분석법을 적용하여 분석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사회복지정보화의 추진방향이 복지공급자인 정부의 행정체계 중심이 아니라 수요자의 생활세계의 관점에서 출발해야 할 필요가 있음을 제기하고자 한다.

사회복지를 위한 정보화의 역할에 대한 연구

  • 정종기
    • 한국컴퓨터정보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9-15
    • /
    • 2003
  • 정보화는 IT의 기술의 씨알이 되어 발전하였으며 한국이 세계 속에 두각을 나타내게 되었다. 21세기의 초창기는 기술로 승부하겠지만 점점 기술의 개발이 고도화되면서 부속적으로는 기술의 응용분야도 함께 발전해야한다는 명제를 우리는 안고 있다. 그것이 바로 정보기술의 아우름이라고 표현하면 좋겠다. 옛말에 “구슬이 세 말이라도 꿰어야 보배”라는 말이 있다. 다시 말해 기술이 아무리 훌륭하다고 하더라도 앞으로는 응용되고 인간이 활용하지 않는다면 사장되는 경우가 많다는 것을 표현하는 말이다. 여기서는 정보화를 사회복지에 응용하는 분야 중 개략적으로 방법론을 다루었다. 이 주제발표가 IT기술을 개발하는 학자들에게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작용하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주제 발표를 하게 되었다.

  • PDF

정보통신기술(ICT)이 사회복지일선관료와 복지대상자의 역학관계에 미친 영향 (The Influenc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on the Power Dynamics between Social Welfare Bureaucrats and Recipients)

  • 김수영
    • 사회복지연구
    • /
    • 제49권1호
    • /
    • pp.335-374
    • /
    • 2018
  • 본 연구는 사회복지전담공무원 16명과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자 13명에 대한 심층면접을 바탕으로 정보통신기술(ICT)의 활용이 사회복지일선관료와 복지수급자의 관계에 미친 변화를 비판적으로 살펴본다. 공공행정에서 ICT의 도입은 행정정보의 투명한 공유와 공개를 가능하게 하여 일선관료와 주민의 관계에 신뢰성과 민주성을 높일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를 받아왔다. 그러나 본 연구는 한국의 사회복지 공공행정을 사례로 정보화가 사회복지일선관료와 복지수급자의 관계에서 불신을 심화시키고 상호역량을 약화시킬 가능성도 내포하고 있음을 지적하고자 한다. 먼저 본 논문에서는 ICT를 통해 전담공무원과 수급자가 상대편의 정보와 데이터에 의지하게 되면서 면대면의 인간관계가 확인조사와 민원제기처럼 상대방에 대한 의심과 불만을 표출하는 사무적 절차로 대체되는 현상을 짚어볼 것이다. 나아가 ICT-기반의 행정시스템이 전담 공무원의 일상업무와 수급자의 생활세계를 조밀하게 감찰하게 되면서 일선관료에게 부여되던 자율적 정책선택권이 축소되고 수급자들의 공개적 경제활동이 위축되는 현상을 살펴볼 것이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정보화가 휴먼서비스의 신뢰성과 민주적 자율성을 제고하는 것만이 아니라, 반대로 서비스 제공자와 이용자의 관계를 더 비인격적이고 무기력하게 만드는 측면도 있음을 드러내고자 한다.

평생교육으로서 노인정보화 교육의 발전 방향 : 구미시 노인종합복지회관의 정보화교육을 중심으로 (The Future Direction of Information Literacy for the Aged in the Lifelong Learning : Centering on Gumi Senior Welfare Center)

  • 김화숙;김진욱;정광식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5권4호
    • /
    • pp.491-500
    • /
    • 2014
  • 인터넷 이용이 생활 전반으로 활용되어지면서 노인들의 정보화교육이 필요하게 되었다. 노인들에게 정보화교육의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다양한 계층 간의 소통을 할 수 있고 정보화교육을 통하여 생활 전반의 흐름을 이해하여 사회 구성요소로서의 삶을 향상시키는데 의미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경북 구미의 노인종합복지회관의 컴퓨터교실의 수업과정을 분석하고 정보화교육을 통해 노인 수강생에서 어떤 교육을 요구하는지를 파악하고 노인 수강생들의 정보화교육을 받기 전과 받은 후의 변화를 알아본 뒤 앞으로의 노인 정보화교육의 방향을 제시한다. 본 논문의 결과가 지방 노인들의 삶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정보화 차원의 사회 ${\cdot}$ 문화 발전 수준에 대한 공간 분석 (A Spatial Analysis on the Socio-Cultural Level of Informatization Aspects)

  • 유영준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529-541
    • /
    • 1996
  • 본 연구는 첫째 정보화의 진전 초기에는 정보화 현상의 공간적 집중화가 이루어지며, 둘째 경제가 발전함에 따라 복지적 차원의 지역간 격차보다 앞으로 지역의 경제 활성화에 상당히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되는 정보화 차원의 지역간 격차가 클 것이라는 가설을 세워 연구를 진행하였는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보화 차원의 사회.문화 발전 수준은 서울과 다른 지역간에 격차가 상당히 크게 나타나고 있으며, 서울 및 수도권으로의 집중화가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정보화가 진전되면서 나타나는 지역에의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서 지역경제의 자족성을 나타내는 지표인 복지수준과 정보화 수준의 지역간 격차를 비교한 결과 정보화 수준이 복지수준의 격차에 비해 크게 나타나고 있다. 그 동안의 경제발전에 의해 나타난 지역격차를 줄이기 위해서 도입된 정보화는 하부구조가 잘 갖추어진 대도시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기 때문에 지역간 격차를 더욱 증가시키는 결과를 초래했다. 따라서, 이런 지역격차를 줄이기 위해서는 중앙정부뿐만 아니라 자치정부를 중심으로 한 체계적인 지역정보화 정책이 필요하다.

  • PDF

장애인복지관을 위한 그룹웨어시스템 (A Groupware System For Rehabilitation Welfare Center)

  • 장성모;서정민;이상문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3년도 제47차 동계학술대회논문집 21권1호
    • /
    • pp.209-212
    • /
    • 2013
  • 최신 IT정보기술 발전에 따라 일반 사용자 이외에도 신체적 결함을 가지고 있는 모든 사람들에게 의사소통과 정보획득을 하기 위한 중요한 수단이 되었다. 기술개발이 진행됨에 따라 현대사회의 정보화는 산업현장에서부터 가정에 이르기까지 모든 분야에서 컴퓨터와 인터넷을 통해 다양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삼품과 서비스를 구입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생활의 여유를 즐길 수 있도록 해주는 등 사람들의 생활에 커다란 변화를 가져왔다. 이와 같이 빠르고 다양해지는 서비스의 다변화 속에서 자신의 신체적 결함을 극복하고 보완하기 위한 서비스 활용을 가능케 해주는 IT 정보통신 기기 및 제품들은 이들에게 필수적인 부분이라 할 수 있다. 특히 장애인들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특히 정보화가 중요하다 할 수 있다. 이에 장애인 복지관에는 정부의 정보화 촉진 계획에 따라 2001년부터 업무표준화를 시작으로 개발된 전산시스템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시스템이 일반 기업이나 기관에서 사용하는 시스템을 그대로 갖다 사용하는 관계로 장애인복지관에 특화된 서비스를 고려하지 않아 많은 문제점들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들을 분석하고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장애인복지관에 특화된 시스템을 구현한다.

  • PDF

노인의 일상생활에서의 인터넷 활용 경험과 그 의미에 관한 질적 연구 (A Qualitative Study on Experiences of Internet Use in Their Daily Lives and Its Meaning among Older Adults)

  • 권중돈;김유진;엄태영
    • 한국노년학
    • /
    • 제32권3호
    • /
    • pp.835-850
    • /
    • 2012
  • 최근 노년층의 인터넷 이용률 및 활용 능력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질적기술연구 방법을 통하여 노인정보화 현상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이 어떠한 맥락에서 인터넷을 이용하며, 그 경험의 모습과 의미는 무엇인가를 살펴보는 것이다. 16명 노인 참여자와의 심층 면담을 분석한 결과, 노년층의 인터넷 활용의 경험과 그 의미는 다음과 같이 네 개의 주제로 도출되었다. (1) 현대사회 "애매한" 연령대 노인의 고민, (2) 아날로그 세대의 디지털 시대 변화 동참, (3) 인터넷 활용이 가져온 삶의 변화, (4) 노년층의 정보화 활용, 그 동전의 양면에 있는 생각.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노인 정보화 정책을 위한 구체적인 함의를 세 가지 차원에서 살펴보았다. 첫째, 노년층의 정보화 활용이 생산적 활용으로 이어지는 방안에 관하여 논의하였다. 두 번째 및 세 번째 논의는 노인 정보화의 발전방향에 관한 것으로 정보화를 통한 고령자의 건강 증진 및 정보화와 인문학과의 만남을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