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복원 기술

Search Result 2,910,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A Study of a Lane Line Restoration Method of Uncertainty Lane Image for Auto-Driving (자율주행을 위한 불완전한 차선 영상의 차선 복원 방법에 관한 연구)

  • Park, Seong-Hyeon;Song, Jin-Hyun;Kim, Young-G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8.05a
    • /
    • pp.521-524
    • /
    • 2018
  • 자율주행기술은 오래전부터 연구되어왔으며 최근에 상용화를 위한 많은 연구개발이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자율주행의 핵심 기술 중 영상처리기술을 사용하여 차선을 검출하고 차선이 가려지거나 지워진 불완전한 영상으로부터 차선을 복원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불완전한 차선 이미지로부터 차선을 검출하고 차선 복원 알고리즘을 제안하고 구현하였다. 제안한 차선을 복원하는 방법은 자율주행기술을 좀 더 신뢰할 수 있게 하며 자율주행 자동차의 상용화를 앞당기는데 기여할 것이다.

미국의 ${\ulcorner}수변복원 가이드라인{\urcorner}$의 이해

  • U, Hyo-Seop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3 no.S1
    • /
    • pp.571-578
    • /
    • 2000
  • ${\ulcorner}수변복원(水邊 復元, stream restoration){\lrcorner}$은 미 연방정부의 관련 기관들이 공동으로 참여하여 1998년 10월 발간한 하천과 그 연변의 복원을 위한 종합적인 가이드라인이다. 이 책은 "원칙, 과정, 실무"라는 부제가 붙어 있다. 이 책의 제작 취지는 연방 정부의 범 기관 차원에서 전국에 악화되가는 하천과 그 연변을 복원하는데 있어 실무자들에게 개념적, 방법적, 기술적 가이드라인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 가이드 라인의 제작에 참여한 기관은 농무성, 환경청, 상무성, 국방성(공병단), 내무성 등 15개 기관이다. 이를 위하여 각 기관에서 양해 각서를 조인하여 하천 기술자들은 물론, 생물, 생태, 조경, 하천 형태 등 관련 100명 이상의 전문가들이 '연방기관 수변복원 실무그룹'을 구성하여 추진하였다. 이 가이드라인 구조는 3부와 9장, 그리고 부록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원색사진과 그림을 강조하며 추후 수정보완을 위해 바인더로 만들어졌다. 이 가이드라인은 기본적으로 손상이 된 하천의 복원 설계보다는 손상이 안된 하천의 구조와 기능 이해에 더 중점을 두었다. 따라서 이것 하나만으로 하천 복원에 관한 모든 기술적 지식을 얻기는 어렵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가이드라인 제작팀의 규모와 노력 등을 고려할 때 당분간 미국은 물론 세계적으로 하천 복원과 자연형 하천공법 등의 실무에 상당한 기여를 할 것으로 보인다.

  • PDF

미국의 ${\ulcorner}수변복원 가이드라인{\urcorner}$의 이해

  • 우효섭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0.05a
    • /
    • pp.571-578
    • /
    • 2000
  • $\ulcorner$수변 복원 (水邊 復元), stream restoration)$\lrcorner$은 미 연방정부의 관련 기관들이 공동으로 참여하여 1998년 10월 발간한 하천과 그 연변의 복원을 위한 종합적인 가이드라인이다. 이 책은 “원칙, 과정, 실무”라는 부제가 붙어 있다. 이 책의 제작 취지는 연방 정보의 범 기관 차원에서 전국에 악화 되가는 하천과 그 연변을 복원하는데 있어 실무자들에게 개념적, 방법적, 기술적 가이드라인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 가이드라인의 제작에 참여한 기관은 농무성, 환경청, 상무성, 국방성(공병단), 내무성 등 15개 기관이다. 이를 위하여 각 기관에서 양해 각서를 조인하여 하천 기술자들은 물론, 생물, 생태, 조경, 하천 형태 등 관련 100명 이상의 전문가들이 ‘연방기관 수변복원 실무그룹’을 구성하여 추진하였다. 이 가이드라인 구조는 3부와 9장, 그리고 부록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원색사진과 그림을 강조하며 추후 수정보완을 위해 바인더로 만들어졌다. 이 가이드라인은 기본적으로 손상이 된 하천의 복원 설계보다는 손상이 안된 하천의 구조와 기능 이해에 더 중점을 두었다. 따라서 이 것 하나만으로 하천 복원에 관한 모든 기술적 지식을 얻기는 어렵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가이드라인 제작팀의 규모와 노력 등을 고려할 때 당분간 미국은 물론 세계적으로 하천 복원과 자연형 하천공법등의 실무에 상당한 기여을 할 것으로 보인다.

  • PDF

Development of Ecological revetment Technique with Non-toxic materials exclude Concrete and An examination of Field Application (콘크리트를 배제한 무독성 소재활용 생태호안 기술개발 및 현장 적용성 검토)

  • Ahn, Hong Kyu;Song, Hyung S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650-650
    • /
    • 2015
  • 최근 하천에는 치수와 하천생태를 고려한 수많은 하천복원기술이 개발 적용되고 있으나 국내 여건을 제대로 반영한 기술이 전무한 것이 현실이다. 또한 과도한 콘크리트 사용으로 인한 하천경관의 훼손 및 하천생태계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이와 더불어 강우량의 증대 및 집중호우 등 돌변하는 기후변화로 하천환경변화에 대한 적용 가능한 기술이 미비하다. 따라서 하천에 유해한 물질을 방출시키지 않고 하천환경 및 하천 생물의 생활사에 영향을 주지 않는 무 저독성 소재를 활용하여 기후변화에 대응이 가능하도록 수리적 안정성을 강화시키고, 생태적으로도 건강한 생태하천 복원 기술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무독성 소재를 활용하여 치수적으로 안정적이고 식물 및 어류 등 각종 생물의 서식이 가능한 하천호안공 기술을 개발하였으며, 개발된 호안기술은 창원시 마산회원구에 위치한 광려천 상류 일부구간에 시범적으로 적용하였고, 시공 전 중 후 물리, 화학, 생물 모니터링을 통하여 개발기술의 현장 적용성을 검증하였다.

  • PDF

Study on the Stability Criteria for Fishing Vessels (배의길이 24미터이상 40미터미만 어선의 복원성기준 연구)

  • Gwon, Su-Yeon;Choe, Han-Gyu
    • Journal of Korea Ship Safrty Technology Authority
    • /
    • no.7 s.25
    • /
    • pp.21-38
    • /
    • 2008
  • 본 연구는 배의길이 24미터이상 40미터미만 어선에 대한 국내 복원성기준과 IMO의 IS Code 기준 및 외국의 기준을 조사하고 비교하여 IS Code 기준의 국내 수용 가능성을 검토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하여 국내실정에 적합한 복원성기준을 마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국내외 어선의 L, B, D 분포, 상관관계 및 선형특성 등의 기초 자료를 조사하고, 우리나라, 미국, 영국 등 선진외국 및 IS Code의 어선복원성기준 비교 검토하여 IS Code의 복원성기준의 각 항목(요건)에 따른 차이점과 수용 시 문제점을 도출하였으며, 국내 어선의 업종별 실선자료 수집 및 적하상태의 복원성능 계산, 국내·외 기준을 적용한 업종별 실선의 복원성능 평가를 실시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국내실정을 고려한 배의길이 24미터이상 40미터미만 어선 복원성기준(안)을 제안하였다.

  • PDF

Design Scheme to Develop Integrated Remediation Technology: Case Study of Integration of Soil Flushing and Pneumatic Fracturing for Metal Contaminated Soil (복합복원기술 개발을 위한 설계안 : 중금속 오염토양을 위한 토양세척과 토양파쇄의 통합 사례 연구)

  • Chung, Doug-Young;Yang, Jae-E.
    •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 /
    • v.39 no.1
    • /
    • pp.29-37
    • /
    • 2006
  • In remediation of the contaminated soil, it requires to select at least more than two remediation technologies depending on the fate and transport phenomena through complicated reactions in soil matrix. Therefore, methodologies related to develop the integrated remediation technology were reviewed for agricultural soils contaminated with heavy metals. Pneumatic fracturing is necessary to implement deficiency because soil washing is not effective to remove heavy metals in the subsurface soil. But it needs to evaluate the characteristics such as essential data and factors of designated technology in order to effectively apply them in the site. In the remediation site, the important soil physical and chemical factors to be considered are hydrology, porosity, soil texture and structure, types and concentrations of the contaminants, and fate and its transport properties. However, the integrated technology can be restrictive by advective flux in the area which remediation is highly effective although both soil washing and pneumatic fracturing were applied simultaneously in the site. Therefore, we need to understand flow pathways of the target contaminants in the subsurface soils, that includes kinetic desorption and flux, predictive simulation modeling, and complicated reaction in heterogenous soil.

유류오염토양 정화를 위한 Phytoremediation 이용에 관한 연구

  • 심지현;이준규;장윤영;심상규;황경엽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1998.11a
    • /
    • pp.146-150
    • /
    • 1998
  • 현재 세계적인 토양환경복원의 추세는 단기간의 높은 처리효율을 기대하는 장치위주의 복원기술적용에서 좀 더 처리시간은 걸리나 저비용의 효율적인 처리기술선택으로 옮겨가고 있다. 이는 지금까지 무리한 투자에서 발생한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취해지고 있는 변화로 식물을 이용한 환경복원기술(phytoremediation)은 이러한 변화에 가장 잘 부응하는 발전 가능성이 매우 높은 미래 복원기술 가운데 하나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phytoremediation을 이용하여 디젤로 오염된 토양을 복원하고자 하였다. 먼저 대상오염물에 대한 정화능을 나타내는 식물을 선별하기 위해 알팔파, 옥수수, 피, 물피의 오염농도별 생장 률을 살핀 결과 알팔파가 오염농도에 따른 성장저해를 가장 덜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알팔파의 발아 test를 거친 후 실제상황을 모사하기 위한 column test를 실시하여 디젤의 제거효율을 살펴보았다. 1)외부로부터 pipe line을 따라 공기를 주입하여 산소를 보충한 처리구와 2)알팔파를 심은 처리구, 3)알팔파와 공기를 넣어준 처리구를 설계하여 디젤의 제거과정을 알아본 결과 제거효과가 가장 높은 처리구는 공기와 알팔파를 함께 넣어준 처리구였다. 이를 통해 유류로 오염된 토양에서 산소가 미생물활동에 커다란 제한요인이라는 것과 공정에 공기주입구를 장착함으로써 식물만으로 처리할 때 대두되는 시간적 제약의 문제를 다소 경감시킬 수 있음이 밝혀져 앞으로 이의 활용가능성이 주목된다.

  • PDF

3D Object Restoration and Data Compression Based on Adaptive Simplex-Mesh Technique (적응 Simplex-Mesh 기술에 기반한 3차원 물체 복원과 자료 압축)

  • 조용군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 /
    • v.9 no.4
    • /
    • pp.436-443
    • /
    • 1999
  • Most of the 3D object reconstruction techniques divide the object into multiplane and approximate the surfaces of the object. The Marching Cubes Algorithm which initializes the mesh structure using a given isovalue. and Delaunay Tetrahedrisation are widely used. Deformable models are well-suited for general object reconstruction because they make little assumptions about the shape to recover and they can reconstruct objects *om various types of datasets. Now, many researchers are studying the reconstruction systems based on a deformable model. In this paper, we propose a novel method for reconstruction of 3D objects. This method, for a 3D object composed of curved planes, compresses the 3D object based on the adaptive simplexmesh technique. It changes the pre-defined mesh structure, so that it may approach to the original object. Also, we redefine the geometric characteristics such as curvatures. As results of simulations, we show reconstruction of the original object with high compression and concentration of vertices towards parts of high curvature in order to optimize the shape description.

  • PDF

A Study on Digital Displays for Digital Restoration (디지털 복원을 위한 디지털 디스플레이 전시의 형태)

  • Kim, See Eun;Choi, Seung-Wo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1 no.11
    • /
    • pp.145-155
    • /
    • 2021
  • Recently because of development of technology the old cultural properties and damaged artworks are stored as digital information using digital technology and produced related contents as well as moving images or digital contents. The regenerated information and contents through digital technology conveys correct information of ancient art and helps audiences appreciate it, as well as it also stores accurate information and can be used for restoration and preservation of the work. In this study, the range of digital restoration was defined in three directions, and the exhibition of digital content with an ancillary role that can be useful the understanding of the heritage of nature and mankind using digital technology was defined as the range of digital restoration. In addition, the Ojukheon Museum in Kangneung and The Museum of Natural History in New York, which installed various digital displays to analyze and compare the types of digital display exhibitions used for digital restoration of the range, were described as examples. Through this, it was discovered that digital display exhibitions for digital restoration can effectively deliver information and stimulate participation and interest of visitors in the museums, which is able to be a positive way to preserve the heritage of nature and manki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