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복원성능

Search Result 1,164, Processing Time 0.045 seconds

자유항주 모형선을 이용한 선박의 복원성능과 조종성능 관계 연구

  • Choe, Bo-Ra;Im, Nam-Gy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6.05a
    • /
    • pp.75-77
    • /
    • 2016
  • IMO는 해상에서의 선박 안전 향상을 위해 선박의 복원성능과 조종성능에 관한 국제적 기준을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기준은 선박 연구자가 수행하는 연구의 방향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기존의 수행된 연구는 복원성능과 조종성능의 각각의 분야에서 독립적으로 수행되어 왔으며, 아직 두 분야의 상호 관계에 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선박의 복원성능과 조종성능의 상호 관계를 정량적으로 규명하고자 기초적인 실험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복원성능을 나타내는 지표인 GM과 선박의 조종성능을 나타내는 지표인 선회성능을 통해 두 항복 간 상호 관계의 정량적 분석을 시도하였다. 자유항주 모형선을 이용한 선회 시험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 GM 감소에 따른 선회반경 감소 및 초기 횡경사 각도 증가를 확인했으며, 그 변화의 경향은 서로 다르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 PDF

여객선의 복원성 평가항목의 지수화 연구

  • Choe, Hun;Im, Nam-Gy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7.11a
    • /
    • pp.25-26
    • /
    • 2017
  • 여객선은 다른 선종에 비해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기 때문에 선박의 안전에 더욱 주의를 기울어야 한다. 복원성은 선박의 안전을 판단하는 대표적인 특성으로 IMO에서는 관련 규정을 만들어 준수하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IMO 복원성 규정은 각 항목에 대한 기준만을 제시하고 있을 뿐 복원성을 종합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은 부재한 상황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복원성을 하나의 값으로 표현하는 지수를 개발하였다. IMO에서 규정한 선박의 10가지 복원성능 평가항목을 검토하였으며, 대상선박의 적재상황에 따른 복원성을 계산하여 평가항목 간 관계를 분석하였다. 이를 토대로 지수산정식을 개발하였으며, 대상선박에 지수산정식을 적용하여 복원성능 평가지수(Stability Index)가 IMO 복원성 규정을 적절하게 설명함을 확인하였다.

  • PDF

Development of Stability Index for Vessel Operators Support System (선박 운항자 지원 시스템용 선박 복원성능 지수 개발)

  • IM, Nam-Kyun;HWANG, SooJin;CHOE, Hu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24 no.1
    • /
    • pp.1-9
    • /
    • 2018
  • All ships should ensure stability in accordance with IMO regulations. However, GM is only used to determine ship stability because it takes a lot of time to validate all regulations. This is a problem given that the safety of vessels cannot be guaranteed, potentially leading to accidents. There is a need for a more intuitive and comprehensive method of confirming the stability of ships. This study developed a stability index that expresses ship stability in one value. An index equation is defined based on the 6 stability criteria for ships prescribed by IMO and the result of calculating the ship stability of a model ship. A stability index has been derived for each loading condition by applying the index equation to the same ship. It can clearly be seen that this stability index appropriately explains the criteria. In other words, it is possible to assess ship stability with one value and confirm whether the ship stability satisfies IMO regulations. This index will help masters and officers more easily and accurately check ship stability.

복원력 계측 장치 개발에 관한 연구

  • Ok, Ji-Hun;Lee, Seong-Beom;Han, Ji-Hun;Jang, Geun-Yeong;Lee, Seung-Ge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5.10a
    • /
    • pp.30-32
    • /
    • 2015
  • 최근 대형 여객선 및 소형 낚시선 등의 전복사고 사례가 급증하고 있으며 이는 많은 인명사고와 함께 큰 경제적 손실로 이어지고 있다. 이로 인해 선박의 복원 안정성에 관한 관심이 더욱 높아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모형선의 복원력을 계측하여 평가 할 수 있는 복원성 시험 도구로서 복원력 계측 장비를 개발하였으며 성능 평가를 함께 실시하였다. 성능평가는 이론적 계산과 시험 결과의 비교분석을 통해 이루어졌고, 이론치와 상용프로그램 및 시험치 결과와의 오차가 각각 0.04%, 3.7%로 양호한 일치를 보여주고 있다. 이와 같이 4%이내의 매우 낮은 오차로 나타남으로서 본 계측 장비의 정밀성과 유용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Image Restoration using Enhanced Fuzzy Associative Memory (개선된 퍼지 연상 메모리를 이용한 영상 복원)

  • 조서영;민지희;김광백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04.05b
    • /
    • pp.133-135
    • /
    • 2004
  • 신경 회로망에서 연상 메모리(Associative Memory)는 주어진 자료에 대해 정보를 저장하고 복원하는 알고리즘이다. 본 논문에서는 학습된 영상의 정확한 분류와 왜곡된 영상의 복원 및 분류를 위해 기존의 퍼지 연상 메모리 알고리즘을 개선하였다. 기존의 퍼지 연상 메모리는 학습 데이터와 학습 원본과 같은 입력에 대해 우수한 복원 성능을 보이나 학습 데이터의 수가 증가할수록 그리고 왜곡된 입력에 대해 정확히 출력할 수 없고 복원 성능도 저하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퍼지 연상 메모리 알고리즘을 개선하여 왜곡된 입력에 대해서도 원본 학습 데이터를 정확히 출력하고 복원하는 개선된 퍼지 연상 메모리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hip Stability and Maneuverability Using Free Running Model Experiments (자유항주 모형실험에 의한 선박의 복원성능과 조종성능 관계 연구)

  • Choe, Bo-Ra;IM, Nam-Kyun
    • Journal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 /
    • v.40 no.6
    • /
    • pp.353-360
    • /
    • 2016
  • The 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 (IMO) has issued international standards for ship maneuverability and stability. These have been established to improve marine safety and influence the direction of research. The previous literature has been researched, but there are few stud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hip maneuverability and stability. This study carried out a fundamental experiment to quantitatively evaluate that relationship. Radius of turn and maximum heel angle depending on changing were analyzed through a turning test using a free running model ship. The test results show the change tendency of decreasing turn radius and increasng maximum heel angle according to a GM decrease. A rough estimate equation is proposed to predict the change tendency on radius of turn and angle of maximum heel as GM decreases. Many ships can suddenly experience reduced GM due to unexpected reasons during sailing. The results in this study can be used as fundamental data to estimate a ship's tactical turn diameter and variable heel angle for steering as GM decreases.

THE CONSTRAINED ITERATIVE IMAGE RESTORATION USING NEW REGULARIZATION OPERATORS (새로운 조절연산자를 이용한 제한반복적 영상복원)

  • 이상화;이충웅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1996.06a
    • /
    • pp.237-240
    • /
    • 1996
  • 본 논문에서는 방향성을 갖는 새로운 공간적응 조절연산자와 비선형필터를 이용한 제한 반복적 영상복원 알고리듬을 제안하고 제안한 알고리듬의 수렴성에 대하여 분석을 하고 있다. 일반적인 제한반복적 영상복원 기법에서는 열화된 영상을 복원하는 과정에서 에지 및 경계부분의 재번짐이 지나친 잡음성분의 증폭에 의한 고리현상 등이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다음과 같은 기법을 도입하고 있다. 첫째는, 방향성을 갖는 새로운 공간적응 조절연산자를 적용하여 에지 등의 재번짐을 막고 고주파수 영역의 복원성능을 개선하고 있다. 둘째로, 적응적인 비선형필터를 사용하여 잡음성분과 같은 고주파수 영역의 지나친 증폭에 따른 문제를 해결하고 있다. 그리고, 제안한 논문의 안정성과 수렴성을 보장하기 위한 조건을 분석하고 있다. 열화된 영상에 대하여 실험한 결과, 기존의 다른 결과보다 우수한 성능이 있었고, 특히, 에지의 복원성능 및 고리현상의 제거에 두드러진 특징을 나타내었다.

  • PDF

Study on the Stability Criteria for Fishing Vessels (배의길이 24미터이상 40미터미만 어선의 복원성기준 연구)

  • Gwon, Su-Yeon;Choe, Han-Gyu
    • Journal of Korea Ship Safrty Technology Authority
    • /
    • no.7 s.25
    • /
    • pp.21-38
    • /
    • 2008
  • 본 연구는 배의길이 24미터이상 40미터미만 어선에 대한 국내 복원성기준과 IMO의 IS Code 기준 및 외국의 기준을 조사하고 비교하여 IS Code 기준의 국내 수용 가능성을 검토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하여 국내실정에 적합한 복원성기준을 마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국내외 어선의 L, B, D 분포, 상관관계 및 선형특성 등의 기초 자료를 조사하고, 우리나라, 미국, 영국 등 선진외국 및 IS Code의 어선복원성기준 비교 검토하여 IS Code의 복원성기준의 각 항목(요건)에 따른 차이점과 수용 시 문제점을 도출하였으며, 국내 어선의 업종별 실선자료 수집 및 적하상태의 복원성능 계산, 국내·외 기준을 적용한 업종별 실선의 복원성능 평가를 실시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국내실정을 고려한 배의길이 24미터이상 40미터미만 어선 복원성기준(안)을 제안하였다.

  • PDF

Chaotic Speech Secure Communication Using Feedback Masking Techniques (피드백 마스킹 기법을 사용한 카오스 음성비화통신)

  • 이익수;여지환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Conference
    • /
    • 2002.12a
    • /
    • pp.353-356
    • /
    • 2002
  • 본 논문은 카오스 신호를 이용하여 안전한 음성신호의 전송을 위한 아날로그 비화통신 시스템의 성능분석에 관한 연구이다. 기존의 카오스 동기화 및 카오스 변조통신 알고리즘을 개선하여 실제 통신환경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조건들을 적용하여 음성신호의 복원능력을 모의실험으로 분석하였다. 일반적인 PC 제어기법과 제안한 피드백 마스킹 기법을 사용하여 송신단에서 음성신호를 카오스 신호로 마스킹하여 변조하고, 통신채널에 잡음신호를 추가하여 전송하였다. 수신단에서는 카오스 응답시스템을 이용하여 음성신호를 복조하고, 복원성능을 계산하기 위하여 아날로그 복원 에러신호의 평균전력을 제안하여 계산하였다. 실험결과 마스킹 정도, 파라미터들의 민감성, 채널잡음 등에 대하여 PC 제어기법보다 피드백 제어기법의 복원성능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로렌쯔 카오스 시스템을 비화통신시스템에 사용할 경우 파라미터들의 조합으로 암호키를 구성해야 하므로 키값들의 선정에 기준이 되는 파라미터 변화율에 대응하는 복원에러율의 관계를 실험 값으로 구하였다.

Clustering Performance Analysis of Autoencoder with Skip Connection (스킵연결이 적용된 오토인코더 모델의 클러스터링 성능 분석)

  • Jo, In-su;Kang, Yunhee;Choi, Dong-bin;Park, Young B.
    • KIPS Transactions on Software and Data Engineering
    • /
    • v.9 no.12
    • /
    • pp.403-410
    • /
    • 2020
  • In addition to the research on noise removal and super-resolution using the data restoration (Output result) function of Autoencoder, research on the performance improvement of clustering using the dimension reduction function of autoencoder are actively being conducted. The clustering function and data restoration function using Autoencoder have common points that both improve performance through the same learning. Based on these characteristics, this study conducted an experiment to see if the autoencoder model designed to have excellent data recovery performance is superior in clustering performance. Skip connection technique was used to design autoencoder with excellent data recovery performance. The output result performance and clustering performance of both autoencoder model with Skip connection and model without Skip connection were shown as graph and visual extract. The output result performance was increased, but the clustering performance was decreased. This result indicates that the neural network models such as autoencoders are not sure that each layer has learn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data well if the output result is good. Lastly, the performance degradation of clustering was compensated by using both latent code and skip connection. This study is a prior study to solve the Hanja Unicode problem by cluster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