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복어

검색결과 71건 처리시간 0.025초

복어 분말 첨가가 두부의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 (Quality characteristics of tofu prepared with Lagocephalus lunaris powder)

  • 유지영;조희숙;박복희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495-501
    • /
    • 2013
  • 복어 분말을 첨가하여 기능성이 우수한 두부를 제조하고 품질특성 변화를 측정하였다. 두부의 수율은 복어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대조군보다 더 높았으며, 탁도 또한 복어 분말 첨가군의 두부에서 높게 나타났다. 두부의 pH는 복어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색도의 경우 복어 분말 첨가량이 증가될수록 명도(L값)는 감소하였으며, 적색도(a값)와 황색도(b값)는 증가하였다. 조직감은 복어 분말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견고성과 씹힘성, 깨짐성은 점차 증가하였으며, 탄력성과 응집성은 감소하였다. 관능검사 결과 외관의 색과 구수한 맛은 복어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되었으나 매끄러운 정도는 감소하였다. 견고성은 0.7% 복어 분말 첨가 두부가 가장 높아 기계적 조직감의 결과와 일치하였다. 구수한 냄새와 고소한 맛은 0.5% 복어 분말 첨가 두부가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적인 기호도는 복어 분말 0.5% 첨가두부가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가장 좋은 기호도를 보인 복어 분말 0.5% 첨가가 복어 분말 첨가두부 제조시 가장 적절한 수준이며, 복어 분말 첨가두부의 제조는 복어이용의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향후 복어를 이용한 다양한 제품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복섬(Takifugu niphobles)의 독성

  • 류창호;김동근;김종현;장준호;이종수
    • 한국어업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3년도 춘계 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91-92
    • /
    • 2003
  • 복어는 tetrodotoxin이라는 맹독을 함유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매운탕등 여러 가지로 요리하여 많은 사람들이 즐겨 먹는 음식의 하나이다. 복어 요리시에는 독을 함유한 내장이나 간장을 제외하고 세척하여 독을 제거하지만 조리과정에서 독이 완전히 제거되지 않거나 독성이 강한 복어의 경우는 독소가 남아 있어 식중독의 원인이 된다. 최근 부산에서는 2건의 복어요리에 의한 중독으로 수명의 중독환자가 발생하는 사고가 발생하였는바 다행히 사망하지는 않았으나, 복어요리는 항상 식중독의 위험성이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중략)

  • PDF

시판 복어류의 독성과 초산용액 처리에 의한 근육의 제독

  • 김지회;박정흠;이태식;이희정;윤호동
    • 한국어업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1년도 춘계 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108-109
    • /
    • 2001
  • 수산물 중 어류에서 식품 위생상 문제가 되는 자연독에는 복어독과 ciguatera 독이있다. 복어의 독성에 관해서는 일본을 중심으로 많이 연구되어 왔으며, 그 중 Tani (1945)가 보고한 일본 연안산 복어류의 독성에 관한 연구 결과는 지금도 많은 식품위생 관련서적에서 인용되어 독성 판단의 기준이 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 조사된 복어류의 독성은 Tani(1945)의 보고와 일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중략)

  • PDF

국내 온라인 유통 복어 제품의 종판별 및 표시사항 모니터링 연구 (Species Identification and Monitoring of Labeling Compliance for Commercial Pufferfish Products Sold in Korean On-line Markets)

  • 이지영;김건희;강태선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8권6호
    • /
    • pp.464-475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마켓에서 판매되는 50개 복어제품의 종판별 및 표시사항 일치여부 모니터링을 수행했다. 복어의 종판별을 위해 cytochrome c oxidase subunit I 및 cytochrome b 유전자의 염기서열을 분석하여 NCBI GenBank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어있는 생물종의 염기서열과 비교 후 계통 분석을 수행했다. 참복, 흰점참복, 까치복, 복섬, 검복, 국매리복, 흑밀복 총 7종이 동정되었으며, 35개 제품(70%)에서 표시사항과의 불일치를 나타냈다. 12개의 제품(24%)에서는 식품공전에서 제시한 식용 가능한 복어 21종의 국명 대신 일반명(복어)을 사용하였다. 가공 정도별 불일치율은 다중가공 제품(n=9, 81.8%)이 단순가공 제품(n=26, 66.7%)보다 높은 비율을 보였으며, 원산지별 불일치율의 경우 중국산 제품(n=8, 80%)이 국산 제품(n=26, 66.7%)보다 높은 비율을 보였다. 시장명, 방언 등의 이름이 혼용되어 다수의 복어종을 밀복, 졸복으로 표시하였다. 이러한 분류체계의 어려움으로 인해 흰점참복, 국매리복과 같은 식용불가 복어가 식용 가능한 복어인 졸복으로 혼용되어 판매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식용 가능한 복어를 정확히 분류할 수 있는 방법의 개발이 필요하며, 수입 및 국내 유통 복어 제품의 주기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제독처리한 복어 간유의 생리활성 (Bioactive Functions of Detoxified Puffer Liver Oil)

  • 최종원;김나영;김동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7호
    • /
    • pp.1126-1131
    • /
    • 2003
  • 인류는 질병에 대한 예방 및 치료에 주로 합성 의약품을 사용하여 왔으나 근래에 이르러 여러 가지 합성 의약품의 부작용 또는 독성이 밝혀짐에 따라 세계적으로 천연자원으로부터의 의약품 개발이 활발히 추진되고 있다. 한편, 우리나라를 위시한 동양에서는 오랜 시일을 통하여 많은 식물을 치료제로 사용하여 왔으나 약화학적 및 약리학적 검토 자료는 지금에 와서 많이 도출되고 있으며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해양생물로부터 생리활성을 검색할 목적으로 검은 밀복으로부터 제독처리하여 추출, 정제한 검은 밀복 간유를 대상으로 항피로효과, 간기능에 미치는 영향 및 poloxamer-407로 유도되는 고지혈증에 대한 효과를 검색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식품위생학적 안전성 여부를 조사하기 위하여 검은밀복 간유의 정제품을 mouse assay로 그 잔류 독성을 조사한 결과 모두 무독하였다. 둘째, 생쥐를 유영하게 하여 사망하는 시간을 측정하여 본 결과 정상 생쥐에서는 사망시간보다 복어간유를 용량별로 2주일간 경구투여하였을때 사망 시간은 용량 의존적으로 증가되었다. 셋째, 간장해의 유발 약물로 사염화탄소 및 D-galactosamine(GaIN)을 사용하여 복어로부터 추출한 복어간유를 투여한 결과 사염화탄소 및 GaIN을 투여하였을 때 혈중 AST, ALT 및 SDH의 활성이 정상군에 비하여 현저히 증가되던 것이 복어간유의 전처리로 현저히 억제되었다. 넷째, 혈청 중 중성지방 및 total cholesterol의 함량은 정상군에 비하여 poloxamer-407의 투여로 증가되던 것이 복어간유를 용량별로 투여함으로써 현저히 감소되었다. 한편 poloxamer-407로 유도된 고지혈증의 실험동물의 bleeding time이 복어간유의 투여로 연장되었으며 plasma clotting time도 증가되었다.

어류를 이용한 식해의 제조 방법에 따른 미생물의 특성변화 (Effect of Preparation method and Fermentation Conditions on Microbiological Characteristics of Sikhae)

  • 김영숙;오승희;김순동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5권6호
    • /
    • pp.909-914
    • /
    • 2008
  • 복어식해(GLS), 가자미식해(FLS), 우럭식해(GAS) 및 골뱅이식해(WHS)의 발효 및 저장 중 미생물수의 변화와 관능적 품질을 평가하였다. 발효는 $10^{\circ}C$에서 4일간 행하였으며 저장은 $4^{\circ}C$에서 20일간 행하였다. 발효 저장 중 일반세균은 4일 동안 $10^{\circ}C$에서 저온 숙성시킨 후, $4^{\circ}C$로 이동시켜서 변온저장 하면서 미생물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일반세균수 조사에서 20일째 복어식해와 참가자미식해는 $10^2$이었으며, 우럭식해는 $10^5$, 골뱅이식해는 $10^4$까지 증식하였다. 유산균수는복어식해와 참가자미식해는 숙성기간 10일째 $10^8$으로 증식하였으며, 우럭식해는 15일째, 골뱅이식해는 20일째 각각 $10^8$으로 증식하였다. 미생물 증식은 참가자미식해>복어식해>우럭식해>골뱅이식해 순이었다. 효모조사에서는 복어식해와 참가자미식해는 발효저장 20일째 $10^4{\sim}10^5\;PFU/g$ 까지 증가하였으며, 우럭식해과 골뱅이식해는 0일째는 $10^2$ 이었으나 20일째는 각각 $10^5{\sim}10^4\;PFU/g$까지 증가하였다. 효모에서도 참가자미식해>복어식해>우럭식해>골뱅이식해 순으로 조사되어 균증식이 참가자미식해와 복어식해에서 높았다. 젖산균 조사에서 숙성기간 동안 젖산균수는 0일째 $10^3$으로 증식하였으나, lactobacillus는 발효저장 중 20일째 복어식해, 참가자미식해, 우럭식해, 골뱅이식해가 동일하게 $10^8$으로 증식하였으며, leuconostoc은 복어식해와 참가자미식해는 숙성 10일째 $10^8$ log cycle이상으로 증식되었고, 우럭식해는 15일째 $10^8$, 골뱅이식해는 $10^7$ log cycle로 측정되었다. 조사한 pH 는 복어식해, 참가자미식해는 4.42와 pH 4.56, 우럭식해와 골뱅이식해는 4.31과 pH 4.26으로 측정되었다. 조사한 4종류의 해산물 식해 산도는 1.55-1.85% 로 측정되었다. 관능평가 실험에서 복어식해와 참가자미식해는 종합평가에서 4.17-4.25, 우럭식해와 골뱅이식해는 3.59-3.79로 평가되었으며, 선호도는 참가자미식해>복어식해>우럭식해>골뱅이식해 순이었다.

대한민국에서 복어독에 의한 식중독 발생 특성 (Characteristics of Puffer Fish Poisoning Outbreaks in Korea (1991-2002))

  • 김지회;궁경례;목종수;민진기;이태식;박정흠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133-138
    • /
    • 2003
  • 우리나라에서 1991년부터 2002년 사이의 복어독 중독 발생상황에 대하여 신문에 보도된 내용을 검색하여 정리하고 특성을 분석하였다. 조사기간 중 우리나라에서는 총 32건의 복어독 중독사고가 발생하여, 111명이 중독되었고 그 중 30명이 사망하여 27.0%의 치사율을 나타내었으며, 연도에 따라 중독건수, 환자수 및 사망자수의 변동이 심하였다. 사망자는 29세 이상의 남성이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식중독 발생건별 환자수를 보면 4인 이하의 소규모 중독사건이 전체 발생건수의 75.0%인 24건을 차지하였고, 식중독 통계 집계기준인 5인 이상의 집단 식중독은 8건에 지나지 않았다. 우리나라에서 복어독 중독 발생건수의 59.4%(19/32)가 11월부터 익년 1월 사이에 발생하였고, 이 시기의 환자수 및 사망자수 또한 각각 65.8%(73/111), 66.7%(20/30)로 나타나 복어중독은 겨울철에 집중되었다. 지역적으로는 발생 건수의 75.0%(24/32)가 부산, 경남, 전남, 제주 등 남해안 지역에서 집중적으로 발생하였다. 섭취장소별로는 총 32건 중 18건(56.3%)이 선박에서 발생하였고, 가정에서 8건(25.0%)이 발생하였으며, 음식점에서 발생한 것은 5건(15.6%)이었다. 복어독 중독의 가장 중요한 원인 음식물은 국(탕 포함)으로 발생건수의 68.8%(22/32), 환자수의 64.0%(71/111), 사망자의 66.7%(20/30)를 차지하였고, 그 외 찜, 회, 내장탕, 알 등도 원인이 된 경우가 있었다.

복어 종류별에 따른 자숙액중의 정미성분의 차이

  • 주정미;서덕훈;김태진;조영제
    • 한국어업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1년도 추계 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161-162
    • /
    • 2001
  • 복어는 저칼로리, 고단백질 식품으로 각종 무기질 및 비타민이 함유되어 있으며 알콜의 해독작용이 있는 사실이 증명되어 관심을 모으고 있다. 또한 복국은 시원하고 대단히 담백하여 일반인들에게 인기가 있어서 복국집이 많이 늘어나고 있다. 복국의 맛의 주체는 감칠맛 성분인 이노신산(IMP), 그리고 단맛을 내는 글리신과 알라닌등의 작용에 의한 것이다. (중략)

  • PDF

부산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복어류의 독성 (Toxicity of Several Puffers Collected at a Fish Market of Pusan, Korea)

  • 정동윤;김동수;이명자;김상록;변대석;김현대;박영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682-689
    • /
    • 1994
  • 국내에서 시판되고 있는 독성이 알려져 있지 않은 복어류에 대한 검토 및 현재까지 식용 또는 비식용으로 분류되어 있는 일부 복어류의 독성에 대한 재검토와 유독 복어류의 출현을 감시할 수 있는 정기적이며 지속적인 연구 자료를 축적할 목적으로 부산 시중에서 구입한 9종류의 복어류 96개체를 시료로 하여 그 종류별, 조직 부위별 독성을 재검토하였다. 검밀복 4개체 및 별복 1개체의 껍질은 독성치가 10MU/g 이상으로 검출되었으나, 검밀복과 별복의 나머지 개체 및 자주복, 검자주복, 검복, 횐 밀복의 경우는 식용으로 하는 껍질 및 근육이 무독하였다. 까치복의 경우는 27개체 중 9개체의 껍질(최고독력, 40MU/g)과 1개체의 근육(10MU/g)에서 약독의 독성치가 검출되었으나, 그 이외의 개체 및 근육은 무독하였다. 간장, 내장 및 난소 등에서는 최고 독력이 각각 550MU/g. 382MU/g 및 528MU/g으로 독성이 강하여 조리 취급시 주의가 요망된다. 국매리복의 경우는 근육에서 약독 내지 강독(최고독력, 219MU/g), 껍질에서 약독 내지 맹독(최고독력, 1,115MU/g)의 독성치가 검출되었다. 특히, 간장, 내장 및 난소에서는 최고독력이 각각, 3,820MU/g. 1,191MU/g 및 5,620MU/g의 맹독의 독성치가 검출되어 식용 어종으로 분류하는 것은 문제점이 있어 충분한 재검토가 요망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