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복식문화연구

Search Result 2,527,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Indian Designs in American Women's Fashion from 1960 to 1975 (미국여성복식에 나타난 인도디자인에 관한 연구, -1960년부터 1976년까지 -)

  • 김혜경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 /
    • v.22 no.4
    • /
    • pp.543-553
    • /
    • 1998
  • 본 연구는 1960년부터 1975년까지 미국여성복식에 나타났던 인도디자인(Indian design)의 내용을 여러 사회계층으로 나누어 세부적으로 검토,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지금까지 하위문화 선도이론(subcultural leadership theory)외 하나의 예로서, 미국복식에 나타났던 인도디자인이 반문화적 현상(counterculral phenomenon)으로 청년복식에서 제일 먼저 채택되었으며 점차 사회전반의 복식에, 더 나아가 상류계층복식 (high fashion)으로 확산되었다는 이론을 사회과학 분야에서 주로 사용되어왔던 수량적 연구방법인 내용분석법(content analysis)을 이용하여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된 자료는 총 1043개, 22가지의 종류(subcategory)의 인도 디자인으로. 이러한 결과로 인도의 영향을 받은 디자인이 미국사회 전체의 여성복식에 폭 넓게 나타났으며, 그 절정 시기가 1967년에서 1971년 사이로 이시대의 사회문화의 특징이 복식의 형태에 잘 반영되고 있음이 밝혀졌다. 더불어, 각 인도디자인은 최초 출현시기, 절정시기, 지속기간, 디자인의 기원(origin)의 면에서 복잡하고 다양한 양상을 보이므로, 이 시대에 보여진 인도디자인을 채택하는 복식현상은 각 디자인 별로 (case-by-case), 여러 단기간으로 나누어서, 복합적인 패션전파이론(fashion diffusion theory)을 적용하여 설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보았다.

  • PDF

고구려 고분벽화에 표현된 점문양 복식의 염직 연구

  • 양경애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of Costume Conference
    • /
    • 2003.05a
    • /
    • pp.19-19
    • /
    • 2003
  • 服飾文化의 일부분으로 染色과 織造에 대한 연구의 중요성은 크지만 染織 실물이 없는 현 상황에서 고대 한국의 染織文化를 이해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지금까지 고구려 복식문화에 대한 연구는 주로 古墳壁畵에 표현된 극히 한정된 시각자료를 통해 형태적 측면에 관한 것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염색이나 직물에 관한 것은 그림 자료의 한계로 인해 충분한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더욱이 고대 복식에 대한 공백을 메워주는 중요한 자료로서의 역할을 해온 고분벽화 복식은 해석 여하에 따라 오히려 왜곡된 사실을 강화해 온 듯하다.

  • PDF

소자본 디자이너 브랜드의 내셔널 브랜드로의 성공 가능성에 대한 연구 -실제 사례를 중심으로-

  • 정수현;최종원
    • Proceedings of the Costume Culture Conference
    • /
    • 2003.12a
    • /
    • pp.45-60
    • /
    • 2003
  • 본 논문의 연구는 소규모의 디자이너 브랜드를 가지고 내셔널 브랜드로 만들기 위한 목적을 가지므로, 현재 우리나라에서 소규모 디자이너 브랜드를 운영하는 디자이너를 직접 만나서 인터뷰를 하는 것을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한다. 또한 우리나라에서 내셔널 브랜드로 도약을 하는 디자이너브랜드를 서적 및 인터넷과 인터뷰를 이용해서 분석하였고 특히 한국의 디자이너브랜드로서 가지는 한계를 극복하고 나아가 세계시장에서도 경쟁력을 인정받은 이유에 대해 집중 탐구하였다.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