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보 운영

Search Result 2,418,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An Empirical Comparison and Verification Study on the Seaport Clustering Measurement Using Meta-Frontier DEA and Integer Programming Models (메타프론티어 DEA모형과 정수계획모형을 이용한 항만클러스터링 측정에 대한 실증적 비교 및 검증연구)

  • Park, Ro-Kyung
    • Journal of Korea Port Economic Association
    • /
    • v.33 no.2
    • /
    • pp.53-82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how the clustering trend and compare empirical results, as well as to choose the clustering ports for 3 Korean ports (Busan, Incheon, and Gwangyang) by using meta-frontier DEA (Data Envelopment Analysis) and integer models on 38 Asian container ports over the period 2005-2014. The models consider 4 input variables (birth length, depth, total area, and number of cranes) and 1 output variable (container TEU). The main empirical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meta-frontier DEA for Chinese seaports identifies as most efficient ports (in decreasing order) Shanghai, Hongkong, Ningbo, Qingdao, and Guangzhou, while efficient Korean seaports are Busan, Incheon, and Gwangyang. Second, the clustering results of the integer model show that the Busan port should cluster with Dubai, Hongkong, Shanghai, Guangzhou, Ningbo, Qingdao, Singapore, and Kaosiung, while Incheon and Gwangyang should cluster with Shahid Rajaee, Haifa, Khor Fakkan, Tanjung Perak, Osaka, Keelong, and Bangkok ports. Third, clustering through the integer model sharply increases the group efficiency of Incheon (401.84%) and Gwangyang (354.25%), but not that of the Busan port. Fourth, the efficiency ranking comparison between the two models before and after the clustering using the Wilcoxon signed-rank test is matched with the average level of group efficiency (57.88 %) and the technology gap ratio (80.93%). The policy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hat Korean port policy planners should employ meta-frontier DEA, as well as integer models when clustering is needed among Asian container ports for enhancing the efficiency. In addition Korean seaport managers and port authorities should introduce port development and management plans accounting for the reference and clustered seaports after careful analysis.

A Meta-Analysis of Korean Literatures about Sick Role Behavior of Pulmonary Tuberculosis Patients applied Health Belief Model (건강신념모형을 적용한 폐결핵 환자의 환자역할행태 연구에 대한 메타분석)

  • Kim, Chun-Bae;Jo, Heui-Sug;Rhee, Jung-Ae
    • Journal of agricultural medicine and community health
    • /
    • v.28 no.1
    • /
    • pp.1-13
    • /
    • 2003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mmarize results from 11 domestic studies about sick role behavior applied health belief model and to assess the effectiveness of components on behavior change by using meta-analysis. Methods: We collected the existing literatures by using major web search of 'pulmonary tuberculosis patients', 'health belief model', and 'sick role behavior' as key words and by reviewing content of journals. Quantitative meta-analysis was performed by SAS program. Results: Among 66 articles, 11 studies were selected for quantitative meta-analysis. The knowledge level about pulmonary tuberculosis had more effect for only sick role behavior as general characterisitcs(d=0.7870). All the components of health belief model produced significant effects on sick role behavior with the magnitude of effect size from 0.31 to 0.73. The largest effects were benefits on actions of sick role behavior. Conclusions: Overall, these investigation provide very substantial empirical evidence supporting health belief model dimensions as important contributors to the explanation and prediction of sick role behavior among the type of health related behavior in pulmonary tuberculosis patients. Strategic intervention including health education, etc. based on health belief model showed clear advantage in improvement of behavioral change.

  • PDF

The Effect of Wedding Industry Employees Exchange Relationship on their Job Satisfaction and Voluntary Service Intentions (웨딩산업종사자의 교환관계가 직무만족과 자발적 서비스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Byun, Sang-Woo;Lee, Hyang-Sook
    • Management & Information Systems Review
    • /
    • v.32 no.5
    • /
    • pp.69-88
    • /
    • 2013
  •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effects that the exchange relationship among employees engaged in the wedding industry in Busan, Ulsan and Gyeongnam area exerted on job satisfaction and voluntary service intentions. For this purpose, a theoretical model was presented based on previous studies and the relationship among variables was analyzed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through a survey. There have recently been great difficulties in the whole wedding industry due to the global economic depression and the low birthrate. Moreover, it is hard to optimize the future business environment. In particular, the low birthrate has weakened the demand base of the wedding industry. As a result, it is expected that the competition among companies will be more fierce in the wedding industry. Employees' voluntary service intention become much more important to overcome difficulties in this industry. Employees' voluntary service intentions can be possible when their job satisfaction is achieved. Many studies report the result that this job satisfaction can naturally be achieved when the high quality exchange relationship among a leader, team members (co-workers) and customers is formed. It is viewed that employees' voluntary service intentions should be induced through job satisfaction to improve the profitability through the efficient operation and management of the system. A leader of the organization should make an effort to form the high-quality exchange relationship with members, support so that team members(coworkers) and other employees can get along together and the teamwork can be improved and induce them to improve a high level of service quality with friendly customer services. In spite of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discussed above, there are the following limitations in this study. There is a limit to a certain extent in generalizing study conclusions because the study was limited to the Busan, Ulsan and Gyeongnam area. If practical surveys which full- and part-time employees are included in the composition of samples are conducted for wedding suppliers in the country in the future, the quality of study will be able to improve.

  • PDF

An Extraction Way of Benchmarking Ports through Tier Analysis for Korean Seaports (Tier분석을 통한 벤치마킹항만 적출방법)

  • Park, Ro-Kyung
    • Journal of Korea Port Economic Association
    • /
    • v.25 no.1
    • /
    • pp.15-28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how the empirical extraction way of benchmarking ports for overcoming the shortcoming which the traditional DEA method has by using 20 Korean ports in 2003 for 2 inputs (birthing capacity, cargo handling capacity) and 2 outputs(Export and Import Quantity, Number of Ship Calls). Because DEA method has produced the limited set of efficient units which are reference to inefficient units respective of their differences in efficiency scores, it is necessary to adopt the more feasible benchmarking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ath analysis(tier or stratification). The core empirical result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Benchmarking ports against inefficient ports according to the tier analysis are that Masan Port(JanghangJejuSeogoipoYeosu), Jinhae Port(JanghangMogpoSeogoipoWando), Pohang&DonghaePort(JanghangSamcheonpoPyungtagSamcheog), and Sogcho Port(JanghangMogpoSeogoipoWando). The policy implication to the Korean seaports and planners is that Korean seaports should introduce the new methods like Tier analysis of this paper for evaluating the port performance and enhancing the efficiency in short term, mid term, and long term according to the tier 3 stage, the tier 2 stage, and the tier 1 stage with original DEA stage.

  • PDF

Toward a Sociological Understanding of Koreans in Small Business in the United States (미국에서 한인 자영업에 관한 연구)

  • 최병목
    •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 /
    • v.19 no.2
    • /
    • pp.139-173
    • /
    • 1996
  • This study is an attempt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korean immigrants concentration in small business enterprises in the middleman minority sector including the priphery and core sectors, with the private wage and self-employed worker examined in each sector, employing the 5 percent public use sample from the 1980 United States census. One out of five koreans aged 25∼64 years is engaged in self-employed small businesses, while the majority of koreans (4 out of 5) are in the private wage sector. In contrast to expectations, English language difficulties and inferior education are not the prime factors affecting self-employment small businesses. The korean self-employed small business owners both in the periphery sector and in the core sector showed the 'middle' strata of their position in the social structure in terms of their industry, occupation, earnings, etc.

  • PDF

e-Navigation 관련 산업현황에 관한 기초연구

  • Choe, Han-Gyu;Gang, Byeong-Jae
    • 선박안전기술공단연구보고서
    • /
    • s.4
    • /
    • pp.1-108
    • /
    • 2007
  • 2007. 7. 23 IMO의 NAV(항해안전전문위원회)53차 회의에서는 e-Navigation을 해상에서의 안전, 보안, 해양환경보호를 목적으로 전자적인 수단에 의해 선박과 육상에서 해양정보를 수집, 교환, 표시함으로써 항구와 항구간의 항해 및 관련된 서비스를 향상시키는 것으로 정의하고 있다.2005년 11월 영국의 교통부 장관 Stephen 박사는 Royal Institute ofNavigation에서의 연설에서 해상안전과 환경보호를 위하여 선박의 항해를 감시하는 관제소 및 항행하는 선박에 유용하고 정확한 정보가 더 많이 필요함을 역설하였다. 그리고 첨단 기술에 의해 자동화된 항공 항법분야를 예로들면서, 선박의 항법 분야도 항해와 관련된 모든 시설 및 작업을 전자적 수단으로 대체하는 개념인 e-Navigation으로 전환되어야 하며 영국은 이에 필요한 작업을 주도하겠다는 의견을 피력하였다. Stephen은 e-Navigation 도입으로 얻을 수 있는 이익으로 첫째, 항해 실수로 인한 사고 확률저감, 둘째,사고 발생 시 인명 구조 및 피해 확산을 위한 효율적 대응, 셋째, 전통적인항해시설 설치 불필요로 인한 비용 저감, 넷째 선박입출항 수속의 간편화 및항로의 효율적 운용으로 인한 상업적 이익 등을 들었다. 반면에e-Navigation 체계로 전환 시 예상되는 장애로는 첫째, 체계 구축을 위한 비용(특히 개발도상국가들의 경우 어려움 예상), 둘째, e-Navigation의 성과 달성을 위하여 세계 전 해역의 모든 선박이 e-Navigation 체계에 동참하도록유도하는 문제, 셋째, 전자해도 표시 및 선교 장비들에 대한 표준화 문제, 넷째, 육상에 설치할 e-Navigation 센터의 설계 및 구축 등을 꼽았다.IMO는 2005년 81차 MSC(해사안전위원회) 회의에서 영국이 일본, 마샬아일랜드, 네덜란드, 노르웨이, 싱가포르, 미국과 공동으로 제안한 ‘e-Navigation전략 개발’ 의제를 2006년 82차 MSC 회의에서 채택하고, NAV(항해 전문위원회)를 통하여 2008년까지 e-Navigation의 구체적 개념을 정립하고 향후 개발하여야 할 전략적 비전과 정책을 수립하기로 하였다. 이어서 영국을 의장으로 e-Navigation 전략개발 통신작업반이 구성되었는데, 지난 년간 19개국, 16개 전문기관이 참여하여 아래의 작업이 수행되었다. ○ e-Navigation 개념의 정의와 목적 ○ e-Navigation에 대한 핵심 이슈 및 우선 순위 식별 ○ e-Navigation 개발에 따른 이점과 단점의 식별 ○ IMO 및 회원국 등의 역할 식별 ○ 이행계획을 포함한 추가 개발을 위한 작업계획의 작성 IMO에서 수행되고 있는 e-Navigation 전략 개발 의제 일정은 2008년까지이다. 이 전략 개발에 있어서 중요한 요소는 e-Navigation이 포함할 서비스범위,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에 필요한 인프라 및 장비의 식별, 인프라 구축및 운용비용을 부담할 주체에 대한 논의, e-Navigation으로 인한 이익과 투자비용에 대한 비교 분석 등이다. 이 과정에서 정부, 선주, 항만운영자, 선원등의 입장 차이와 선진국과 개발도상국 간의 경제 수준 차이는 전략 개발에있어 큰 어려움을 줄 것이므로, 이들이 합의된 전략을 만들기 위해서는 예정된 기간보다 다소 늦어질 가능성도 있다.e-Navigation 전략 개발이 완료되면 1단계로는 해상교통 관제시스템, 선박선교 장비, 무선 통신장비 등에 대한 표준화 작업이 이루어질 것이다. 이 과정에서 각국 간에 자국 보유 기술을 표준화시키기 위한 경쟁이 치열할 것으로 예상된다. 2단계에서는 e-Navigation 체계 하에서의 다양하고 풍부한 서비스 제공을 위한 관련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의 개발이 이루어질 것으로전망되는데, 이는 지난 10년간 육상에서 인터넷망 설치 후 이루어진 관련 서비스 산업의 발전을 돌아보면 쉽게 짐작할 수 있을 것이다.e-Navigation 체계 하에서 선박의 항해는 현재와는 전혀 다른 패러다임으로 바뀔 것이다. 예를 들어 현재 입출항 시 요구되던 복잡한 절차는one-stop 쇼핑 형태로 단순화되고, 현재 선박 중심의 항해에서 육상e-Navigation 센터가 적극적으로 관여하는 항해 체계로 바뀔 것이며, 해상정보의 공유와 활용이 무선 인터넷을 통해 보다 광범위하게 이루어질 것이 다.e-Navigation의 잠재적 시장 규모는 선박에 새로이 탑재될 지능형 통합 항법시스템 구축과 육상 모니터링 및 지원 시스템 등 직접 시장이 약 50조원,전자해도, 통신장비, 관련 서비스 컨텐츠 등 간접 시장의 규모가 150조원으로 총 200조원으로 대략 추산하고 있다. 향후 이 거대한 시장을 차지하기 위한 전략 수립이 필요한 시점이다. 지금까지 항해 장비 관련 산업은 선진국의일부 업체들에 의해 독점되어 왔다. 우리나라는 조선과 해운에서 모두 선진국임에도 불구하고 이 분야에서는 대부분 수입에 의존해 왔다. e-Navigation체계 하에서는 전체 시장이 커지고 장비의 사양이 표준화됨에 따라 어느 소수 업체가 현재처럼 독점하기는 더 이상 어려울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e-Navigation은 우리나라도 항해 장비 분야 시장을 차지할 수 있는 좋은 기회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조선 1위의 장점을 적극 활용한다면 다른 나라보다우위의 경쟁력을 확보할 수도 있다. 또한, 서비스 분야의 시장은 IT 기술과밀접한 관계가 있으므로 IT 강국인 우리나라가 충분한 경쟁력을 갖고 있다고 할 수 있다.그러나, EU를 비롯한 선진국에서는 이미 e-Navigation 에 대비한 연구를10여년 전부터 수행해 왔다. 앞에서 언급한 EU의 MarNIS 사업은 현재 거의마무리 단계로 당장 실용화 할 수 있는 수준에 있는 것으로 보인다. 늦었지만 우리도 이를 따라잡기 위한 연구를 서둘러야 할 것이다. 국내에서도e-Navigation의 중요성을 깊이 인식하고, 2006년에는 관련 산학연 전문가들로 작업반을 구성하여 워크숍 등을 개최한 바 있다. 또한 해양수산부에서도e-Navigation 핵심기술 개발을 위한 연구사업을 기획 추진하고 있다.그러나 현재 항해통신장비들의 기술기준은 ITU의 전파규칙(RR)과 IMO결의 및 SOLAS 협약을 따르고 있는데 이들 규약이나 결의에 대한 국제적인 추이와 비교할 때 국내의 기술은 표준화되지 못한 부분이 많은 실정이다.본 연구에서는 e-Navigation sytem중 표준화가 필요한 요소와 전자해도,AIS 등 e-Navigation(통합전자항법시스템)관련 국내산업현황 실태조사를 통해 국내 e-Navigation기술개발 동향에 대해 조사하고자 한다.

  • PDF

수학적 창의성과 개방형 문제(open ended problem)

  • Gwon, O-Nam;Jo, Yeong-Mi;Park, Jeong-Suk;Park, Ji-Hyeon;Kim, Yeong-Sil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6
    • /
    • pp.217-218
    • /
    • 2003
  • 제7차 교육과정의 기본방향인 '21세기의 세계화 정보화 시대를 주도할 자율적이고 창의적인 한국인 육성'에서 볼 수 있듯이, 새로운 교육과정에서는 학생들의 창의력을 신장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교과별 교육과정이나 재량활동 운영 등을 제시한 바 있다. 수학교육에서도 이러한 시대적 흐름에 발맞추어 수학적 창의력의 신장이 강조되고 있는 상황이다. 그동안 이론적인 측면과 실제적인 측면에서 수학적 창의성에 대한 성과가 축적되었다. 이론적인 측면에서 볼 때, Haylock(1987)등에 의해 창의력과 수학적 창의력의 구분되었으며, 특히 '수학적' 창의력에 대한 다양한 정의가 제안되었다. 실제적인 측면에서도 수학적 창의력을 측정하려는 평가 도구들이 그 동안 여러 가지로 개발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수학적 창의력에 관한 전반적인 연구는 종국적으로 교실 수학수업에 반영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그리 만족스럽지 못한 상황이다. 특히, 교실에서 수학수업을 실제로 담당하는 교사들이 수학적 창의력을 위한 수업을 하고자 하더라도 당장 가까이에서 구할 수 있는 교수 학습 자료가 여전히 부족한 상황이다. 물론 그 동안 교실 수학수업에서 사용할 수 있는 창의력 개발 프로그램이 전무한 것은 아니다. 그런데 그들 대부분은 게임이나 퍼즐을 이용한 것으로 그 수준이 단순 흥미유발에 그치고 있거나 소수의 영재아를 위한 소재를 중심으로, 특히 수학적 사고 과정을 따르기보다는, 시행착오를 거쳐 원하는 결과를 얻을 가능성이 많으며, 수학과의 연계성이 불분명한 채로 단순놀이에 그치는 경우가 적지 않아, 수업과 연관되어 창의력의 신장이라는 측면에서 볼 때, 적용하기 어려운 사례가 많다. 이러한 상황을 개선하는 데 기여하고자, 현재 교과교육공동연구 지원사업의 하나로 한국 학술 진흥재단의 지원을 받아, '개방형 문제(open-ended problems)'를 중심 소재로 한 '수학적 창의성'을 신장하기 위한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중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개방형 문제라 함은 명백한 정의가 어렵지만 Pehkeon(1995)는 개방형문제의 정의를 명백히 하기위한 시도로서 그 반대로 닫힌 문제에 대한 정의로부터 시작하여, 어떤 문제가 닫혀있다고 하는 것은 그 문제의 출발 상황과 목표 상황이 닫혀 있는 것, 즉 명백히 설명되어있을 때라면 개방형 문제는 이와 반대의 개념임을 시사하였다. Silver(1995)는 개방형 문제를 문제 자체가 다른 해석이 가능하거나 서로 다를 인정할만한 답을 가질 수 있는 문제 또는 풀이과정이 다양한 문제, 자연스럽게 다른 문제들을 제안하거나 일반화를 제시할 수 있는 문제라고 정의하였다. 따라서 개방형 문제란 출발상황이나 목표 상황의 일부가 닫혀있지 않을 때를 말하고 문제의 조건을 만족하는 해답이 여러 가지로 존재하는 문제를 뜻한다. 수학적 창의력을 개발하는 데, 다른 문제 유형보다도, 개방형 문제가 유리하다는 점은 이미 여러 학자들에 의해 주장되어왔다. 미국 국립영재교육센터(NRCG/T)는 기존의 사지선다형이나 단답형 문제와 질문들은 학생들의 사고 능력에 관한 정보를 거의 알려주지 못하기 때문에 한 가지 이상의 답을 요구하는 ‘open-ended' 또는 ’open-response' 문제와 질문을 가지고 수학 분야에서의 창의적 사고 능력과 표현능력을 측정해야 한다고 하였고, 개방형 문제가 일반적으로 정답이 하나인 문제보다 고차원적인 사고를 요구하게 하는 문제 형태라고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근거를 바탕으로 개방형 문제의 유형을 다양한 답이 존재하는 문제, 다양한 해결 전략이 가능한 문제, 답이 없는 문제, 문제 만들기, 일반화가 가능한 문제 등으로 보고, 수학적 창의성 중 특히 확산적 사고에 초점을 맞추어 개방형 문제가 확산적 사고의 요소인 유창성, 독창성, 유연성 등에 각각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20주의 프로그램을 개발, 진행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개방형 문제를 활용한 수학적 창의력 신장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현장 학교에 실험 적용하여 그 효과를 분석하고자 하는 본 연구는 창의력 신장에 비중을 두는 수학과 교수-학습 과정에 실제적인 교수 학습 자료를 제공하는 것뿐만 아니라 교사들에게는 수학교실에서 사용 가능한 실제적인 활용방안을, 학생들에게는 주어진 문제를 여러 가지 각도에서 생각하면서 다양한 사고를 경험하는 기회를 가질 수 있어, 수학을 보는 학생들의 태도에도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올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 PDF

Teaching Behavior, Confidence and Satisfaction among Teachers who Solo-Teach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in High School (고등학교 "기술.가정" 교과 교사의 교수행동, 교수자신감, 교수만족도)

  • Park Hyun-Jin;Shin Hye-Won
    •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 /
    • v.18 no.2 s.40
    • /
    • pp.111-123
    • /
    • 2006
  • This study was conducted on teachers who currently are teaching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in high school, and teaching it alone, as opposed to team teaching. The study examined the teachers' fields of major study relative to their teaching behaviors and levels of confidence and satisfaction while teaching this course. The study also compared teaching behaviors, confidence and satisfaction among teachers who either have or have not participated in training sessions specifically-targeting teachers who are lack of relevant knowledge and skills in a major field. Questionnaires were mailed to high school teachers who were solo-teaching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at high schools in Gyeonggi Do. Data from 83 respondent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it was determined that teachers tend to be more active when teaching subjects in which they have majored than subjects in which they have not. Teachers who have majored in home economics were most active when teaching home economics, followed by technology major teachers teaching technology, home economics major teachers teaching technology and technology major teachers teaching home economics, the last group exhibiting the least willingness to teach. Similarly, all teachers exhibited less confidence in areas not relevant to their majors, and confidence especially was lower while teaching practical skills versus theories. Teachers also were found to be less satisfied with teaching subjects outside of their majors. Second, analyzing technology majors currently teaching home economics and comparing those who have and have not participated in training sessions for home economics teaching, we found that 1) technology majors with such training feel that the training experience helped them in preparing various teaching media and in their evaluation of students' understanding of basic concepts and practices; 2) these training programs increased teachers' confidence teaching theories, but not practical skills; and 3) after they had participated in training programs, teachers' satisfaction increased in terms of producing teaching agendas and selecting textbooks and teaching media for their classes. However, training programs were found to have no effect on home economics majors who had participated in technology training programs, in terms of teaching behaviors, confidence or satisfaction teaching technology.

  • PDF

A study on the Curriculum Perspectives of Secondary School Home Economics Teachers and the Home Economics Teacher Efficacy (기술.가정(실과) 교사의 교육과정 관점과 교사 효능감에 관한 연구 - 가정 분야를 중심으로 -)

  • Choi, You-Jung;Chae, Jung-Hyun;Park, Mi-Jeong
    •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 /
    • v.21 no.1
    • /
    • pp.89-106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erspectives on curriculum of secondary school home economics(HE) teachers, the HE teacher efficacy level, 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ir perspectives on HE curriculum and the HE teacher efficacy. A questionnaire survey was carried out to the 500 HE teachers from middle and high schools across the nation, 215 questionnaires were used in the final analysis.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most of HE teachers had the biggest interest in interpretative perspective and some teachers had a interest in critical perspective. On the other hand, a few teachers only had a interest in technical curriculum perspective. Second, HE teachers who worked in the big cities tended to be more interested in interpretative perspective than those who worked in small cities. HE teachers from 25 to 40 years olds tended to be more interested in critical perspective than those who were more than 50 years old. Also, HE teachers with less than 15 years of experience tended to be more interested in critical perspective than those who had worked for more than 15 years. Third, the average of the HE teacher efficacy level was 3.69. The efficacy level of studying support was the highest. Then came class support, environment support, instruction strategy, and demands alternation in order. Fourth, there was moderate correlation between the interpretative perspective on curriculum of middle and high school HE teachers and teacher efficacy level in comparison with other curriculum perspectives.

  • PDF

Laying the Siting of High-Level Radioactive Waste in Public Opinion (고준위 방폐장 입지 선정의 공론화 기초 연구)

  • Lee, Soo-Jang
    • Journal of Environmental Policy
    • /
    • v.7 no.4
    • /
    • pp.105-134
    • /
    • 2008
  • Local opposition and protest constitute single greatest hurdle to the siting of locally unwanted land uses(LULUs), especially siting of high-level radioactive disposal not only throughout Korea but also throughout the industrialized world. It can be attributed mainly to the NIMBYism, equity problem, and lack of participation. These problems are arisen from rational planning process which emphasizes instrumental rationality. But planning is a value-laden political activity, in which substantive rationality is central. To achieve this goals, we need a sound planning process for siting LULUs, which should improve the ability of citizens to influence the decisions that affects them. By a sound planning process, we mean one that is open to citizen input and contains accurate and complete information. In other word, the public is also part of the goal setting process and, as the information and analyses developed by the planners are evaluated by the public, strategies for solutions can be developed through consensus-building. This method is called as a co-operative siting process, and must be structured in order to arrive at publicly acceptable decisions. The followings are decided by consensus-building method. 1. Negotiation will be held? 2. What is the benefits and risks of negotiation? 3. What are solutions when collisions between national interests and local ones come into? 4. What are the agendas? 5. What is the community' role in site selection? 6. Are there incentives to negotiation. 7. Who are the parties to the negotiation? 8. Who will represent the community? 9. What groundwork of negotiation is set up? 10. How do we assure that the community access to information and expert? 11. What happens if negotiation is failed? 12. Is it necessary to trust each other in negotiations? 13. Is a mediator needed in negotiation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