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보행환경 평가

검색결과 155건 처리시간 0.022초

도시 스트리트뷰 영상을 이용한 딥러닝 기반 보행환경 평가 요소 분석 (Analysis of Deep Learning-Based Pedestrian Environment Assessment Factors Using Urban Street View Images)

  • 황지연;최철웅;남광우;이창우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28권6호
    • /
    • pp.45-52
    • /
    • 2023
  • 최근 일상생활 속 보행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보행권 보장 및 보행환경 조성을 위한 사업이 지역 곳곳에서 추진되고 있다. 선행 연구에서는 전주시 도로 이미지를 사용하여 보행환경 평가를 진행하고, 이미지 비교 쌍 데이터 세트를 구축하였다. 하지만 숫자로 표현된 데이터 세트는 보행환경 평가자들의 판단 기준을 일반화하거나 보행자가 선호하는 보행환경을 시각적으로 파악하기에 어려움이 존재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웹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하여 데이터 시각화를 통해 보행환경 평가의 결과를 해석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의미론적 분할 결과를 활용하여 보행환경 평가자에게 영향을 미치는 보행환경 구성 요소를 분석한 결과, 보행자는 주로 'earth'와 'grass'가 많은 환경을 선호하지 않았고, 'signboard'와 'sidewalk'를 가진 환경을 선호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제안된 연구는 향후 보행환경 평가의 참여자가 임의로 선택한 결과를 파악하고 분석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며, 데이터에 대한 정제과정을 전처리로 수행함으로써 좀 더 향상된 정확도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한다.

토지이용을 고려한 보행환경 평가지표 개발 및 적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ssessment Indicator of Walking Environment Considering Land Use Characteristics)

  • 김숙희;이규진;최기주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4권3호
    • /
    • pp.931-938
    • /
    • 2014
  • 본 연구는 효율적인 보행로 관리에 기여하기 위한 목적으로, 토지이용 특성이 반영된 보행로 유형에 따라 보행자가 인식하는 보행환경 만족도의 평가척도는 다를 것이라는 인식을 전제로, 보행로에 대한 보행환경 평가방법을 제시하였다. 연구결과, 신도시, 구도심, 상업지, 지하철역, 하천 공원에 대한 보행로별 보행환경 평가지표와 각 평가지표의 상대적 중요도는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본 연구에서 구축한 보행환경 평가모형을 수원시 일부 보행로에 적용한 결과, 본 모형은 현상을 비교적 현실적으로 묘사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지자체의 보행환경 개선 우선순위 결정 등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보행환경수준의 평가방법 개발 (Development of Methods to Evaluate Pedestrian Environments)

  • 지우석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7-14
    • /
    • 2009
  • 근래에 보행환경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지만 보행환경의 수준에 대한 평가를 위한 기법이 통일되지 않아 도시간 비교 또는 도시 내 시계열적 비교를 할 수 있는 방법이 제한되어 있다. 또한 보행환경에 대한 각종 조사는 시행되고 있지만 조사기법이 다양하여 자료의 축적이 되고 있지 못하기 때문에 보행환경에 대한 평가기법과 조사방법을 통일하여 보행환경계획의 체계를 갖출 필요성이 높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이 연구에서는 보행환경수준을 평가할 수 있는 지표를 개발하였으며 더불어 이동편의지수 산정방안을 제시하였다. 개발된 지표와 이동편이지수는 사례지역 조사를 통하여 산정방안과 활용방안을 검증하였다. 이들 지표와 이동편의 지수는 상호 연계되어 도시 내 보행환경수준의 평가를 통하여 보행환경개선 우선가로를 선정하는데 유효한 방법이 된다. 또한 전국 도시간 비교와 도시별 시계열 비교가 가능한 수치를 제공함으로써 보행환경관련 도시 및 교통 계획의 목표치의 설정을 위한 주요 지표 역할을 할 수 있다.

GIS기법을 이용한 근린주구 보행환경평가 -창원시를 사례지역으로- (An Evaluation of the Neighborhood Walking Environment Using GIS Method -Focusing on the Case Study of Changwon City-)

  • 박경훈;이우성;변지혜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78-90
    • /
    • 2010
  • 본 연구는 창원시를 대상으로 일상생활 속에서 걷기와 자전거 타기를 활성화하기 위한 보행환경 평가지표와 Mobile GIS를 활용한 현장에서의 보행환경 DB 구축방법론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외 문헌연구를 통하여 총 20개의 보행환경 평가항목을 선정한 후 항목별 평가점수 부여방식을 정립하였고, Mobile GIS 기법을 활용하여 각 조사항목의 DB를 효과적으로 구축하였다. 그 결과를 활용하여 종합적인 보행환경 평가를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전반적으로 창원광장을 중심으로 분포하고 있는 구역의 종합점수가 42점 이상으로 다른 구역에 비해 양호한 보행환경을 가지는 것으로 평가되었으나, 단독 및 연립주택 중심의 주거지역에서는 보행환경이 상대적으로 매우 불량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보행환경의 개선이 필요한 지역과 주요 목적지인 공원, 쇼핑시설, 학교 등에 접근할 수 있는 구간을 전략적으로 설정하는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보행환경개선 지역 또는 구간이 결정되면, 현장조사 결과 및 지역주민의 보행환경 인식조사결과와 비교 분석하여 집중적으로 개선해야 할 보행환경 요소를 추출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며, 일상생활 속에서 시민들의 신체 활동을 증진시키기 위한 보행환경계획 및 설계, 그리고 유지 관리를 수행하는데 있어 유용한 의사결정지원수단으로 활용 가능할 것이다.

안전한 보행환경 사업 대상지 선정지표 개선방안 연구 (A Study on Improvement of Site Selecting Indicators for Safe Pedestrian Environment)

  • 이종남;허준;조원철;이태식
    • 한국방재안전학회논문집
    • /
    • 제6권1호
    • /
    • pp.79-86
    • /
    • 2013
  • 본 논문은 안전한 보행환경 사업 대상지 선정지표 개선 방안을 위한 연구 과제로서, 그동안 차량 중심으로 도로 정책이 추진됨에 따라 최근 매년 2천명 이상의 보행자 사망사고가 발생하는 등 인간중심의 보행환경이 매우 열악한 실정으로 보행권이 심각하게 침해되어 왔다. 보행권은 공공의 안전보장, 질서 유지 및 복리 증진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국민이 쾌적한 보행환경에서 안전하고 편리하게 보행할 권리로서, 국가는 안전하고 편리하며, 쾌적한 환경을 마련해 주어야 할 의무가 있다. 최근 보행자 안전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고 있으며, 안전하고 쾌적하며 건강한 보행환경 공간 조성을 위한 국가차원의 지원도 이루어지고 있다. 보행환경 불량 대상지에 대한 개선사업은 많은 비용이 수반됨에 따라 한정된 재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하여 최대한의 효과를 얻고 그 사업추진의 타당성에 대한 엄격한 사후평가가 이루어져야 한다. 그러나 현재 보행안전 및 편의증진에 관한 법률에 의거 보행환경 개선지구 지정의 법적근거는 마련되었으나, 안전한 보행환경 조성이라는 목적에 맞는 사업 대상지 선정지표는 마련되어 있지 못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그동안 연구되어온 안전한 보행환경 사업 대상지 선정 평가지표의 문제점을 검토하여 개선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안전한 보행환경 조성이라는 사업목적에 맞게 사업대상지 선정 시에는 주민설문조사와 역사성을 평가지표에서 제외하고, 보행자 안전성과 보행환경 평가 이외에 보행공간 안전시설과 강풍 등 자연재난 및 잠재적 인적위험에 대한 재난 안전성 평가를 신설할 것을 제안하였다.

계층분석법을 이용한 웹 기반 GIS 보행환경측정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Web Based Walking Environmental Measurement System Using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Approach)

  • 주용진;이수일;김태호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3-11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보행 공간 특성에 따른 보행 환경 구성요소를 정량적 지표로 단순화 시킨 보행 지수를 개발하여, 도시 전체 가로는 물론 도시 내 근린 주거 단위의 전반적인 친 보행 환경 정도(쾌적성, 미관)와 보행자의 이동 편의성을 측정하고 이의 결과 시각화 할 수 있는 웹 기반 GIS 시스템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우선, 국내외 선행연구에서 GIS로 정량화 할 수 있는 지표를 반영하여 보행환경 평가가 가능한 지표를 개발하고 적용하였다. 또한, 평가지표 개발을 위해서는 계층분석법(AHP:Analytic Hierarchy Process)을 활용하였으며 GIS 웹 서비스 연동을 통해 연구 지역에 대한 보행환경 평가 결과를 가시화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시한 측정 모형은 실제 물리적인 보행 공간을 기반으로 가상의 시스템에 적용되어 보행 이동 패턴의 가시화, 보행 환경의 쾌적성과 편의성 평가, 예측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Grey System Theory를 이용한 차량 및 보행환경 통합평가 (Evaluation of Vehicle and Pedestrian Environments using Grey System Theory)

  • 이진각;손영태;한상진;박진영;이상화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141-156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차량 및 보행환경의 평가에 있어서 종합적이고 통합적인 접근방식에 한계가 있다고 진단하고, 이를 고려하는 평가 방법 개발에 중점을 두었다. 여기에서의 통합적인 평가라 함은 차량환경과 보행환경에서 쓰이고 있는 수단별 평가 지표에 대한 통합과 더불어, 공간적 개념에서 선/축의 평가방식을 포함한 면적인 차원의 평가라 할 수 있겠다. 본 연구에서는 통합 평가를 위한 이론적 배경으로 Grey System Theory(GST)를 적용하였으며, 대상지역은 보행우선구역 시범사업지로 하여 차량 및 보행환경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였다. GST에 의한 종합평가 및 분석결과, 같은 서비스수준 또는 상대적으로 차량 및 보행환경의 운영지표상(도로용량편람)에서는 보다 양호한 상태라 할지라도 관측된 데이터가 Grey Category 범위에 따라 통합 평가시에는 평가지표 간 가중치 등이 고려되어 산정되었기에 Category 상에서의 종합점수는 달라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점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볼 때, 도로운영상의 지표들이 상대적으로 좋다고 하더라도 안전상의 지표들이 나쁠 경우에는 그에 따라Grey Category상의 점수들도 변화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본 평가방법을 통해 향후 도시가로 형태별로 현재 상태를 진단할 뿐 아니라 노선별(축별), 면적인 개념에서의 평가와 더불어 평가지표간 통합평가가 이루어 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그린스코어 : 지속가능 친보행 환경을 위한 측정 모형 개발 (Green Score : Developing a Measurement Model for Sustainable Pedestrian-Friendly Environment)

  • 주용진;이수일;하은지;전철민
    • 한국GIS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GIS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47-148
    • /
    • 2010
  • 최근 타 교통수단으로 인해 발생하는 교통사고나 환경오염 등의 문제들을 보완하는 녹색 교통수단의 하나로써 보행교통에 대한 관심과 연구가 활발하게 증가되고 있다. 하지만 차량교통에 관한 연구에 비해 보행 교통에 관한 연구는 미미하며, 특히 우리나라 여건에 맞는 보행 환경의 서비스 수준과 보행 안전도 등에 대한 객관적 평가 모형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도시 내 보행 환경 요소를 정량적으로 계산하고 측정할 수 있는 평가 지표인 그린 스코어(Green Score)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시한 그린 스코어 측정 모형은 실제 물리적인 보행공간을 기반으로 가상의 시스템에 적용되어 보행 이동 패턴의 가시화, 보행 환경의 쾌적성과 편의성 평가 예측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보행환경 인식이 보행환경 만족도 및 건강증진 기대효과에 미치는 영향 - 건강 목적의 공원 이용자를 대상으로 - (The Influence of Pedestrian Environment Perception on Pedestrian Environment Satisfaction and Expected Health Promotion Effects - Focused on Park User for Health Promotion -)

  • 이경미;이우성;정성관;장철규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4권6호
    • /
    • pp.137-147
    • /
    • 2016
  • 본 연구는 대구광역시 수성구의 근린공원을 대상으로 건강 유지 및 증진 목적 공원 이용자들의 보행환경 인식이 보행환경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건강증진 기대효과와의 관계성을 분석하였다. 먼저, 보행환경 인식을 평가한 결과, '완만한 경사'가 가장 높은 평가를 받아 공원까지 접근로의 경사가 완만하여 보행하는데 큰 불편함이 없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혐오요소가 많음', '장애물이 많음', '이륜차의 위험성' 등 보행안전과 관련된 항목들의 평가가 낮게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보행환경 인식 요소들이 보행환경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단계적 회귀분석을 수행한 결과, '공기의 쾌적성', '주변경관의 아름다움', '보도의 연속성', '다양한 볼거리', '나무그늘 제공', '혐오요소가 많음' 등 6개 인식 요소들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수목식재로 쾌적한 대기환경 및 녹음을 제공하고, 가로환경 정비를 통해 혐오요소를 제거해야 한다. 또한 아름다운 경관 조성과 다양한 볼거리 요소를 도입하고, 보도의 연결성을 높이는 등의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마지막으로 거주지에서 공원까지의 보행환경 만족도와 건강증진 기대효과의 관계성을 분석한 결과, 보행환경에 만족할수록 공원 이용이 늘어나고, 더 나아가 신체적, 정신적 건강증진 기대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인간의 감성을 고려한 보도경관 설계모형에 관한 연구 (Design of Sidewalk Landscape Considering Human Sensibility)

  • 이병주;박상명;남궁문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119-127
    • /
    • 2006
  • 최근 도시의 급속한 발전과 시민들의 교통문화 의식이 향상되어 물리적인 요인뿐만 아니라 정서적인 측면을 동시에 고려한 보다 나은 보행환경을 요구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최소의 물리적인 설계 기준만을 충족시킨 기존의 보행공간이 보행 기피의 한 원인이 되고 있으므로 보행환경의 개선이 필요한 실정이다. 보행환경 개선을 위해서는 우리나라 보행자들이 편안하고 쾌적하게 느끼는 보행환경이 무엇인지를 파악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SD 척도의 조사기법을 이용하여 인간의 정서적인 측면을 고려할 수 있는 감성공학을 적용한 보행환경 실험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SD 척도에 의한 감성형용사의 감성인지를 분석하는데 유용한 LISREL 모형을 이용하여 보도경관의 인지평가 모형과 보도 설계요소의 감성인지 모형을 구축하였다 그 결과 보도 설계시 감성공학을 도입함으로써 쾌적하고 편안한 보도환경 구현이 가능하며 가로수 등의 식재를 통한 녹색환경을 조화롭게 구성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