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보행자 및 차량 인식

Search Result 37,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Design of High-performance Pedestrian and Vehicle Detection Circuit using Haar-like Features (Haar-like 특징을 이용한 고성능 보행자 및 차량 인식 회로 설계)

  • Kim, Soo-Jin;Park, Sang-Kyun;Lee, Seon-Young;Cho, Kyeong-Soon
    • The KIPS Transactions:PartA
    • /
    • v.19A no.4
    • /
    • pp.175-180
    • /
    • 2012
  • This paper describes the design of high-performance pedestrian and vehicle detection circuit using the Haar-like features. The proposed circuit uses a sliding window for every image frame in order to extract Haar-like features and to detect pedestrians and vehicles. A total of 200 Haar-like features per sliding window is extracted from Haar-like feature extraction circuit and the extracted features are provided to AdaBoost classifier circuit. In order to increase the processing speed, the proposed circuit adopts the parallel architecture and it can process two sliding windows at the same time. We described the proposed high-performance pedestrian and vehicle detection circuit using Verilog HDL and synthesized the gate-level circuit using the 130nm standard cell library. The synthesized circuit consists of 1,388,260 gates and its maximum operating frequency is 203MHz. Since the proposed circuit processes about 47.8 $640{\times}480$ image frames per second, it can be used to provide the real-time detection of pedestrians and vehicles.

A Study on Real-time Pedestrian Recognition and Tracking in Car Video (차량에 장착되어 있는 영상의 주변의 보행자를 인식 및 추적을 위한 연구)

  • Park, Daehyuck;Lee, Jung-hun;Yun, Tae-sup;Seo, Jeong Goo;Kim, Jihyung;Lee, Hye;Xu, Bin;Jin, Seogsig;Lim, Young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5.07a
    • /
    • pp.258-261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주행 중에 보행자의 인식 및 추적을 위해서 차량에서 촬영된 영상정보를 이용하여 주변의 보행자를 찾고, 사고 위험성이 있는 보행자를 인식하기 위해서 보행자 파악 및 보행자와의 거리를 측정하기 위한 연구를 하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는 차량에 정착된 카메라를 통한 보행자 인식 기술에 대해 연구 하였다. 제안한 방법은 보행자 인식 단계에서 Cascasde HOG, Haar-like 알고리즘을 적용하였고, 추적 단계에서 칼만 필터와 클러스터링 기법을 결합하여 실시간으로 보행자를 인식 및 추적하였다.

  • PDF

An Analysis of Pedestrian Behavior at Crosswalks of Signalized Intersections (신호교차로 횡단보도 위치에 따른 보행자의 행태분석)

  • 신미영
    • Proceedings of the KOR-KST Conference
    • /
    • 1998.10b
    • /
    • pp.311-311
    • /
    • 1998
  • 일반적으로 교차로에서의 보행자 사고는 대부분이 횡단보도에서나 횡단보도 주변에서 발생하는 것이 많다. 이것은 운전자의 안전의식부족뿐만 아니라 보행자들이 교통법규를 지키지 않기 때문이다. 교통사고는 운전자나 보행자를 막론하고 안전의식 수준 및 안전시설의 질적 수준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특히 횡단보도 위치와 관련한 정지선에 대한 기준이 없어서 횡단보도 전후에 정지선이 2개가 설치된 곳이 많아 차량간의 사고를 유발하고, 보행자는 보행동선을 단축하기 위해 횡단보도 주변횡단이라는 위험한 행태를 유발하지만 이에 대한 연구나 대안제시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본 연구는 요인분석법이란 다변량 통계기법을 통해서 사고기록과 형태자료를 분석하였다. 사고기록은 정지선이 2개에서 1개로 변경된 25개 교차로에 대한 보행자와 차량의 유형별, 위치별, 피해정도별 사고기록을 조사 분석하고 행태분석은 현재 정지선이 2개인 곳과 기하구조가 유사한 정지선 1개인 곳을 하나의 쌍으로 해서 모두 8쌍(16개의 교차로 횡단보도)를 조사 분석하였으며, 마지막으로 설문조사를 통해서 보행자의 교통법규 준수와 인식정도에 대한 조사를 통해 보행자들의 인식과 행태조사를 통한 교통법규 준수 정도를 알아보았다. 사고자료의 분석을 통해서 첫째, 정지선이 2개인 교차로는 교차로내 차량사고, 접근부의 후면 추돌사고, 횡단보도에서 보행자사고가, 둘째, 정지선이 1개인 교차로는 유출부 차량사고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행태자료의 분석을 통해서는 첫째, 정지선이 2개인 곳은 횡단보도를 이탈 또는 진입하면서 횡단하는 보행자, 점멸신호에 횡단 시작하는 보행자의 행태와 보행자 신호에 횡단보도를 통과하는 차량, 둘째, 정지선이 1개일 때는 횡단보도를 침범해서 정지하는 차량, 도로에 내려서서 기다리는 보행자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설문조사와 행태조사를 종합하면, 보행자들의 인식으로는 약 71%의 응답자와 점멸신호의 의미를 알고, 전체 응답자의 약 58%가 점멸신호에 건너지 않고 기다린다는 응답(교통법규준수)을 했으며, 실제 행태에서는 약 12.4%가 위반하는 것(87.6% 법규준수)으로 나타났다. 보행자들이 응답한 것보다 실제 행태에서는 더 많은 보행자가 교통법규를 준수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횡단보도를 이용하는데 있어서 횡단보도를 침범하는 차량과 신호시간이 적다는 의견이 많았다.

  • PDF

A study on the pedestrian accessibility for the general hospital buildings (종합병원건물의 보행공간 접근성에 관한 연구)

  • 서경부
    • Proceedings of the KOR-KST Conference
    • /
    • 1998.10a
    • /
    • pp.42-51
    • /
    • 1998
  • 안전한고 쾌적한 보행환경을 조성하여 보행 교통을 활성화시킨다면, 자동차의 사용이 줄게 되고 자동차의 유해한 배출가스로 인한 공기 오염 및 소음 등을 낮출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심부의 미관 증대, 역사적 구역의 보존, 물리적인 도시 이미지 향상 등의 효과로 도심기능의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보행통행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안전하고 효율성 있는 보행동선을 조성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상당수의 종합병원과 같은 공공성을 띤 건물들은 대부분의 보행자가 보행동선을 이용하여 건물에 접근하는데도 불구하고 차량을 중심으로 동선이 운영되고 있는 실정이다. 차량위주의 동선 체계는 보행 통행자로 하여금 차량통행으로의 전환을 유도할 가능성이 있어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분석대상으로 차량과 보행자에게 동등하게 접근의 용이성을 제공해야 하는 광주시의 4대 종합병원을 대상으로 보행자 집단에게 가해지는 저항이 구체적으로 얼마나 심각하며, 그 원인은 어떠한 물리적 조건에 의하여 발생하는지 알아 보았다. 보행저항을 파악하기 위한 지표로는 차량과 보행자의 충돌점의 수, 최단거리 선호도, 보행로 미확보율 등을 설정하여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의 결과 나타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도 함께 모색하였다.

  • PDF

Tracking and Recognition of vehicle and pedestrian for intelligent multi-visual surveillance systems (지능형 다중 화상감시시스템을 위한 움직이는 물체 추적 및 보행자/차량 인식 방법)

  • Lee, Saac;Cho, Jae-Soo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19 no.2
    • /
    • pp.435-442
    • /
    • 2015
  • In this paper, we propose a tracking and recognition of pedestrian/vehicle for intelligent multi-visual surveillance system. The intelligent multi-visual surveillance system consists of several fixed cameras and one calibrated PTZ camera, which automatically tracks and recognizes the detected moving objects. The fixed wide-angle cameras are used to monitor large open areas, but the moving objects on the images are too small to view in detail. But, the PTZ camera is capable of increasing the monitoring area and enhancing the image quality by tracking and zooming in on a target. The proposed system is able to determine whether the detected moving objects are pedestrian/vehicle or not using the SVM. In order to reduce the tracking error, an improved camera calibration algorithm between the fixed cameras and the PTZ camera is proposed. Various experimental results show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system.

Dash Box AI-based Pedestrian danger Notification System (블랙박스형 AI 기반의 보행자 위험 알림 시스템)

  • Hyun-Woo Kim;Ji-Seob Kim;Seong-Mo Yang;Kyu-Chan Kim;Chul-Woo Park;Joon-Ho Par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01a
    • /
    • pp.239-240
    • /
    • 2023
  • 교통사고는 차량 운전자의 부주의 및 보행자의 안전 불감증 등 여러 가지 이유로 다양한 형태의 교차로에서 사고가 발생한다. 이것을 개선하고자 본 논문에서는 보행자 위험 알림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이 시스템은 YOLO v4 tiny 알고리즘 사용해 약 8,000장의 보행자와 차량의 사진을 학습시켜 객체 인식의 정확도를 높이고 웹캠과 스피커를 사용하여 보행자에게 위험을 알릴 뿐만 아니라, 사고 발생 등의 경우에 대해서 블랙박스 역할을 할 수 있도록 구현하였다.

  • PDF

A Study of Intelligent Traffic System for pedestrian safety (보행자 안전을 위한 지능적 교통 시스템 연구)

  • Lee, Do-Hee;Woo, Seung-Ho;son, bon-ki;Lee, Jae-h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5.10a
    • /
    • pp.1740-1741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최근에 잦아지는 교통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현재 교통시스템의 문제점을 인식하여 개선하고, 기존 교통 시스템을 지능화시킴으로써 보행자 안전을 제공하고자 기술적인 면을 추가하여 지능적 교통안전 시스템을 설계한다. 기존의 신호등과 횡단보도 대신 보행자와 운전자를 통제하는 바리케이트를 설치하였으며, 바리케이트 앞면에는 LED의 점등 카운터를 통해 교통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또한 진입 차량 속도를 측정하여 측정 속도 이상 초과 시 차량을 통제하는 속도 감응형 개폐시스템을 도입하였다. 본 논문은 지능적 교통 시스템을 도입하여 보행자 및 운전자가 무의식 속에 유발시키는 사고를 방지하고자 보완하였다.

Design of Realtime Image Object Recognition and Risk Prediction System in Railway Environment (철도환경에서의 실시간 이미지 객체인식 및 위험 예측 시스템 설계)

  • Zhang Yong Heng;HyeonJin Oh;SeungShin Lee;Ryumduck Oh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07a
    • /
    • pp.237-240
    • /
    • 2023
  • 본 논문은 철도 건널목(교차로)에서 발생하는 차량, 보행자 및 야생 동물 사고 등의 상황에서 발생하는 위험 요소를 설정하고 철도 건널목(교차로)의 운행상황을 확인할 수 있도록 모형 철도 주변에 유형별 센서들을 설치하고 데이터를 인지하여 시스템에 저장하고, 유효한 데이터 분석을 통해 Orange3 머신러닝 기법을 적용한다. 철도 건널목에 관련된 이미지 중 위험인자로서 차량, 보행자 및 야생동물등의 객체를 감지하고 데이터를 수집하여 활용한다. 또한 이러한 데이터들은 이용자 상황에 맞는 철도 데이터 운영 시스템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위험 예측 시스템을 제안한다.

  • PDF

A Study on Integrated Traffic Management System Through Face Recognition (얼굴인식을 통한 통합 교통관리 시스템에 관한 연구)

  • Hong, Sung-Uk;Yoo, Tae-Gyu;Jeong, Jin-heon;Yu, Dong-So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7.11a
    • /
    • pp.1112-1113
    • /
    • 2017
  • 얼굴인식을 통한 통합 교통관리 시스템은 현재 횡단보도 신호등에 대한 단점을 보완하여 보행자와 차량 양측의 대기시간을 최소화 함을 목적으로 한다. 주된 기술은 영상처리이며 얼굴인식을 위해 사용된다. 또한 중앙서버를 구축하여 각 교차로나 신호등간의 정보를 취합 할 수 있으며 이를 활용하여 차량통행 및 보행자의 통행이 원활하게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