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보철시술

검색결과 65건 처리시간 0.032초

하악골에 발생한 골육종의 치험예 (Osteogenic Sarcoma of the Mandible)

  • 변상길;이희경;진병로;김태주;김영준;김종원;이정미;도기용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4권2호
    • /
    • pp.173-178
    • /
    • 1987
  • 저자 등은 1986년 8월에 하악 우측 대주치 부위의 치조융선에 종창과 동통을 주소로 내원한 23세의 남자 환자에서 임상소견 방사선사진소견 및 생검으로 골육종이라 진단하고 하악골의 부분 절제술을 시행하여 좋은 결과를 얻었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증례를 보고하는 바이며 앞으로 계속적인 관찰이 필요하며 재발 여부를 확인한 후에 골 이식술 및 보철시술이 필요하리라고 사료된다.

  • PDF

치과 임플랜트 시술시 골천공기구의 회전속도가 주위 골조직의 온도 및 골일체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ROTATIONAL SPEEDS OF THE TREPHINE MILL ON THE TEMPERATURE OF SURROUNDING BONE DURING DENIAL IMPLANTATION PROCEDURE AND OSSEOINTEGRATION OF IMPLANTS)

  • 이진걸;양재호;이선형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67-189
    • /
    • 1992
  • Frictional heat produced by cutting tools during dental implantation procedure may destroy the surrounding bone tissue and regenerative capacity and interfere ossointegration by formation of undifferentiated connective tissue. To study the effect of frictional heat according to various rotational speeds on the regenerative capacity of surrounding bone tissue, 13 ITI HS implants (8 mm) were inserted at 4 mongrel dogs. Temperatures were measured using thermocouple located 6 mm below from the marginal crest and 0.5 mm from the periphery of trephine mill during implant bed preparation. After 4 and 9 months, animals were sacrificed and specimens were examined using x-rays and light microscope. Results were as follows: 1. With drill speeds of 300, 800, 2,000, 3,500 rpm and saline irrigation, temperatures of surrounding bone were decreased from $-2.9^{\circ}\;to\;-1.7^{\circ}C$. Temperature rises of $2.0^{\circ}\;and\;2.1^{\circ}C$ were recorded with a drill speed of 5,000 rpm and irrigation. 2. With drill speeds of 800, 3,500, 5,000 rpm and no irrigation, temperatures of surrounding bone rose from $+1.5^{\circ}\;to\;+6.8^{\circ}C$, but maximum temperature was $40^{\circ}C$ at 5,000 rpm. 3. On radiographic examination, bone resorptions were observed at the upper half of implant of 5,000 rpm without irrigation and one case of 5,000 rpm with irrigation. 4. Osseointegration was unsuccessful in cases of 3,500, 5,000 rpm without irrigation due to fibrous connective tissue formation to the outer surface and hollow, but it was successful in a case of 800 rpm without irrigation. 5. Osseointegration was successful in cases of 300, 800, 2,000 and 3,500 rpm with irrigation. But fibrous connective tissue formation was observed at the hollow of implant inserted with 5,000 rpm with irrigation.

  • PDF

장애인 환자에서의 전악 수복 증례 (Full mouth rehabilitation for a disabled patient: a case report)

  • 김애라;방몽숙;박상원;임현필;윤귀덕;양홍서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1권3호
    • /
    • pp.208-213
    • /
    • 2013
  • 장애인치과는 비장애인과 별차이 없는 경증 장애인에서부터 질환의 진단이 쉽지 않고 전신관리의 필요에 따른 의학적인 전문성이 요구되거나 행동조절 및 치료의 어려움으로 특수기술과 장비를 필요로 하는 장애인까지 다양하다. 본 증례는 자폐성 장애를 갖은 25세 남자 환자로 구강위생관리가 잘 되지 않아 다수의 우식으로 전반적인 치료를 위해 내원하였다. 장애인 환자에 대한 정보 부족으로 인한 치료 계획 수립의 어려움 및 전신마취 하에서 시술의 어려움을 경험하며 장애인 치과치료시 충분한 상담과 기왕력 파악 후 적절한 치료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임플란트 보철 후의 식편압입을 최소화하기 위한 고려사항: 인접치와 대합치 (Considerations for minimizing food impaction after implant prosthesis: Adjacent and antagonistic teeth)

  • 조리라
    • 대한심미치과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47-55
    • /
    • 2022
  • 임플란트 수복 후 발생하는 인접면 공간개방으로 인한 식편압입은 임플란트를 시술한 환자에게 매우 흔히 발생하는 현상이다. 이는 임플란트와 치아의 움직임 기전이 달라 발생하며 시간이 경과하면 30-60% 정도 발생하는데, 기여요인으로는 악골(하악), 부위(구치부), 인접치(실활치) 및 대합치(자연치 또는 임플란트) 등이 있다. 이런 현상을 방지할 수는 없으나 최소화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가급적 이상적인 인접접촉을 가지도록 상부 1/3에 협설로 인접치와 대칭적인 인접면 형태를 만들어 주기 위해 오목한 형태나 하방이 풍융한 인접치 형태를 수정하고 수복할 때는 다른 조건을 수정하여 변연융선의 높이를 맞추어 주어야 한다. 불규칙한 교합평면은 예후를 나쁘게 하는 원인이므로 정출된 대합치를 수정하고 기능이상을 유발하는 원심협측 교두를 수정함으로써 이상적인 교합평면을 회복함으로써 식편압입 현상을 최소화시켜야 한다.

의료 3D 프린팅 기술의 전망 및 소아치과분야에서의 활용 (Prospect for 3D Printing Technology in Medical, Dental, and Pediatric Dental Field)

  • 이상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93-108
    • /
    • 2016
  • 3D 프린팅 기술이 가장 많이 활용될 수 있는 분야의 하나가 의학분야이다. 3D 프린팅 기술은 최근들어 더욱 상업화되고 프린팅에 사용되는 재료 또한 생체친화성, 생분해성 고분자를 이용 가능하게 됨에 따라 생체의료분야에서의 활용성이 점차적으로 높아지고 있는 경향이다. 생체의료분야에서는 수술 모형을 제작하고 절제범위와 시술 후의 형태를 시술 전에 미리 확인하여 시술시간을 단축하고 부작용을 최소화하고 있으며 인공 골과 장기를 생산함으로써 이식에 따른 부작용을 감소시키고 있다. 또한 보청기, 의족 등 맞춤형 의료 보조용품을 생산하고 있다. 치의학 분야에도 크라운, 덴쳐 등의 보철 수복물 제작, 교정 장치 및 모델 제작, 임플란트 식립이나 외과 수술을 위한 수술용 가이드 제작 등 치과 의료기술을 한 차원 더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그러나 아직은 프린팅 재료(소재), 조형기술, CAD 관련 소프트웨어 기술, 생체안정성과 유효성 검증, 호환성과 표준화 등 해결해야 할 과제가 산적해 있있어 앞으로 이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 개발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SLA 표면 처리와 미세나사선을 가진 내측 연결형의 국산 임플란트에 대한 후향적 연구 (Retrospective study of the $Implantium^{(R)}$ implant with a SLA surface and internal connection with microthreads)

  • 도레미;문홍석;심준성;이근우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136-147
    • /
    • 2009
  • 연구목적: 골유착이라는 개념이 도입된 후, 임플란트의 등장은 치과계에 많은 변화를 일으키게 되었다. 임플란트를 이용한 상실치아의 수복은 안정된 시술방법으로 시행되어져 왔으며 그 적용 범위가 확대되었고 사용 빈도도 급격히 증가해왔다. 이에 따라 국산 임플란트의 사용 빈도도 높아지고 그 종류 또한 증가하였으나 장기간의 임상적, 객관적인 자료를 가진 국산 임플란트의 수는 많지 않은 상태이다. 본 연구는 연세대학교 치과대학 병원에 내원한 환자 중 SLA 표면 처리 및 미세나사선을 가진 내측 연결형의 $Implantium^{(R)}$ 임플란트를 이용하여 치료받은 38명의 환자에게 식립된 106개의 임플란트를 대상으로 6개월에서 30개월까지의 임상적, 방사선학적 결과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재료 및 방법: 진료기록부를 통해 성별, 연령, 식립 위치, 식립 부위의 골 상태, 식립된 임플란트의 직경 및 길이, 2차수술및골이식여부, 대합치의 유형, 임상적 합병증의 유형 및 빈도 등을 조사하여 그에 따른 분포 및 생존율의 차이와 함께 이들 항목이 변연골 흡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방사선 사진분석으로 임플란트 식립시, 보철물 장착 후 첫 6개월 내지 1년간, 그 이후 연간 변연골 흡수량을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1. 총 38명에게 식립된 106개의 임플란트 중 1개가 실패하여 누적 생존율은 99.1%로 나타났다. 2. 보철물 장착 후 최소 6개월 이상 정기검진이 가능했던 96개의 임플란트에서 상악에서의 생존율이 97.0%, 하악에서의 생존율은 100%였고, 구치부에서의 생존율은 98.9%였으며 전치부에서의 생존율은 100%였다. 3. 보철물 장착 후 첫 1년간의 변연골 흡수량은 평균 0.17 mm 이었으며, 1년 이후의 연간 변연골 흡수량은 평균 0.04 mm로 통계학적으로 유의차 있게 적은 골소실량을 나타내었다(P<.05). 4. 보철물 장착 후 첫 1년간 연령에 따른 변연골 흡수량의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나(P>.05), 1년 이후의 정기 검진 기간에서 50세 이상의 환자에서 50세 미만의 환자보다 큰 연간 변연골 흡수량을 보였다(P<.05). 5. 성별 간, 악궁 간, 전치부와 구치부위 간, 2차 수술 및 골 이식 여부, 보철물의 유형, 대합치의 유형에 따른 변연골 흡수량의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P>.05). 결론: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변연골 흡수량에 영향을 주는 요소로 연령을 들 수 있었으며 성별, 악궁 간, 악궁 내 위치, 2차 수술 및 골 이식 여부, 보철물의 유형, 대합치의 유형에 따른 변연골 흡수량의 차이는 없었다. 본 연구에서 최대 30개월까지의 기간 동안 SLA 표면 처리 및 미세나사선을 가진 내측 연결형의 국산 임플란트의 임상적인 성공률은 만족스러운 결과를 보였으며 변연골 흡수량도 임플란트 성공 기준에 부합하였다.

휴먼브릿지 치아보철 시술결과에 대한 고객만족도 분석 (Study On Customer Satisfaction of Dental Prosthetic Tooth Surgery by Human Bridge)

  • 김경진;조덕영
    • 보건의료산업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11-22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pproving the usefulness on Customer Satisfaction of Human Bridge. To achieve this purpose, we conduct a survey of 385 Customer to have a new operation analysis that so-called Human Bridge. The results of this study as follow. First of all, It's appeared that dependence on mass communication has a high level Because that Some 66% of the people surveyed say that they have Human Bridge operation by mass communication. Secondly, In case of satisfaction level connected with operation, some 66% of the respondents say that it is inconvenient or not at all in the Human Bridge operation and some 81% of the respondents say that it is very healthy or the same in the gum condition. On the other hand, Some 64% of the people surveyed say that it is inconvenient or extra comfortable in the masticate their's food well. Thirdly, In case of the level of teeth shaking, Some 90% of the people surveyed say that it is no change or small to contrast beginning, and in aesthetic satisfaction after operation, a surprising 93% of the people surveyed say that it is satisfaction.

티타늄 임플란트와 수산화아파타이트 사이의 접착력 향상을 위한 Yttria-stabilized Zirconia Buffer Layer에 관한 연구

  • 박형석;강성근;이원준
    • 한국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진공학회 2009년도 제38회 동계학술대회 초록집
    • /
    • pp.386-386
    • /
    • 2010
  • 최근 널리 보급되고 있는 치과용 임플란트는 티타늄(Ti) 또는 티타늄 합금(Ti-6Al-4V) 보철과 크라운을 연결하여 사용하고 있다. 티타늄은 생체 친화성이 우수하나, 생체 활성도가 없어 치유기간이 긴 단점이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인체 경조직과 유사한 수산화아파타이트(hydroxyapatite, $Ca_{10}(PO_4)_6(OH)_2)$를 티타늄 임플란트 표면에 코팅하는 방법이 연구되고 있으나 수산화아파타이트 코팅은 티타늄과의 접착성이 나쁘기 때문에 시술 및 사용과정에서 코팅층이 임플란트로부터 박리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티타늄과 수산화아파타이트 사이에서 접착력을 향상시키는 buffer layer로서 지르코니아(8YSZ, 8mol% Yttria-stabilized zirconia)를 연구하였다. 지르코니아는 고온에서 안정하며, 티타늄 합금과 수산화아파타이트 사이의 반응을 방지하며, 박막밀도와 기계적 강도가 좋은 생체세라믹스이다. 지르코니아 박막을 펄스 레이저 증착법을 이용하여 증착 온도 $600^{\circ}C$, 레이저 fluence $2\;J/cm^2$에서 산소($O_2$) 분압을 바꿔 가며 증착하였다. 그 위에 수산화아파타이트 박막을 역시 펄스 레이저 증착법으로 증착하였다. Scratch test와 Pull-off test를 통해 접착력을 평가한 결과 지르코니아 buffer layer 삽입에 의해 티타늄 합금과 수산화아파타이트 사이의 접착력이 향상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산소분압이 박막의 특성 및 접착력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였다.

  • PDF

임상에서 사용하고 있는 임플란트 토크조절기의 정확도와 적용에 관한 사용실태 (A study on accuracy and application of the implant torque controller used in dental clinic)

  • 주용훈;이진한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49권3호
    • /
    • pp.197-205
    • /
    • 2011
  • 연구 목적: 임상에서 사용하고 있는 임플란트 토크조절기의 정확도를 평가하고, 사용방법에 있어서 적절하게 적용하고 있는지의 사용실태를 조사하였다. 연구 대상 및 방법: 대전, 충청지역의 개인 치과 의원을 방문하여 50명의 임상의와 진료실에서 사용하고 있는 50개의 임플란트 토크조절기를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실험에 참가한 임상의의 임플란트 시술에 대한 정보를 얻기 위해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설문조사 내용에는 임상경력과 임플란트 시술 경력, 임플란트 시술 도중 경험한 임플란트 나사의 파절과 풀림, 임플란트 토크조절기 사용법에 대한 교육 이수 여부, 토크조절기의 감염 관리 방법을 포함하였다. 또한 실험을 통하여 진료실에서 사용하고 있는 토크조절기의 정확도를 평가하였다. 임상의가 토크조절기를 사용하여 측정된 토크 값을 측정 한 후, 임플란트 토크조절기에 대한 교육 이수에 따른 측정된 토크 값의 평균을 독립 변수 T 검정법을 시행하여 95% 신뢰수준에서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결과: 임상의가 사용하는 토크조절기 자체의 정확도를 측정한 결과, 50개 토크조절기의 평균 오차율은 4.78%였다. 평가된 50개 토크 조절기 중 최대 오차율은 18.96%, 최소 오차율은 0.88% 였다. 임상의가 의도한 25 Ncm의 토크 값에 대해 실제 측정된 토크 값 평균은 $29.0{\pm}8.4$ Ncm 이었고, 30 Ncm의 토크 값에 대해 실제 측정된 토크 값 평균은 $34.3{\pm}9.1$ Ncm였다. 각각의 실험에서 임플란트 토크조절기에 대한 교육을 받은 실험 군과 받지 않은 실험 군 간에 평균 값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결론: 임상가는 자신이 의도한 토크 값과 실제 임플란트 나사에 가해지는 토크 값에 차이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자신이 사용하는 토크조절기의 정확한 사용방법을 숙지하여 일정하고 정확한 토크 값을 부여해야 한다. 또한 토크조절기가 일정하고 정확한 토크 값을 유지하도록 토크조절기를 유지, 관리하여야 나사의 파절이나 나사의 풀림의 문제를 최소화하는 임상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제작방법에 따른 임플란트 수술 가이드의 정확성비교: stereolithography와 positioning device로 제작한 수술 가이드 (Evaluation of the accuracy of two different surgical guides in dental implantology: stereolithography fabricated vs. positioning device fabricated surgical guides)

  • 권창렬;최병호;정승미;주상돈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0권4호
    • /
    • pp.271-278
    • /
    • 2012
  • 연구 목적: 최근 정확하면서도 외상이 적은 임플란트 식립을 위해 임플란트 수술용 가이드가 많이 쓰이고 있다. 그 중 대표적인 방식이 stereolithography 방식과 positioning device로 제작한 방식이다. 본 연구는 이 두 가지 방식의 정확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4 가지 형태의 치아상실 모델에서 실험 후 정확성에 관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재료 및 방법: 4가지 형태 치아 결손 모델 각각에 대하여 stereolithography 방법과 positioning device를 이용한 방법으로 수술 가이드를 제작하였다. 제작된 수술 가이드를 제작에 사용되었던 치아모델에 장착하여 수술 가이드의 내면과 모델의 치아표면 사이 공간크기를 측정하여 가이드의 적합도를 평가하였다. 또한 이 수술 가이드를 이용하여 총 40개 모델에서 임플란트 시술을 진행하고, 시술 후 모델을 다시 cone-beam computed tomography촬영 하여 수술 전후 영상을 중첩시켜 계획 상의 임플란트와 실제 시술한 임플란트의 위치를 비교하였다. 통계학적인 검증을 위하여 PASW Statistics$^{(R)}$ 18.0을 이용하여서 Mann-Whitney U 검정을 사용하였다. 결과: 수술 가이드 내면과 모델 사이 공간크기가 stereolithography는 $1.4{\pm}0.3mm$이고, positioning device는 $0.4{\pm}0.3mm$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Stereolithography는 오차가 근원심 측에서 $3.9{\pm}1.6^{\circ}$, 협설 측에서 $2.7{\pm}1.5^{\circ}$, 깊이에서 $1.9{\pm}0.9mm$였다. 반면 positioning device는 오차가 근원심 측에서 $0.7{\pm}0.3^{\circ}$였고, 협설측에서 $0.3{\pm}0.2^{\circ}$, 깊이에서 $0.4{\pm}0.2mm$였다. 두 수술 가이드 제작방법은 모든 방향에서의 오차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stereolithography방법보다 positioning device를 이용하여 수술 가이드를 제작할 때 C.T.와 임플란트 치료 계획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미리 계획한 임플란트 식립 위치와 방향으로 더 정확하게 식립 할 수 있음을 보여 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