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보정식

Search Result 1,002, Processing Time 0.04 seconds

Development of correction method for distorted images of LSPIV considering water level change (수위 변화를 고려한 표면영상유속계의 영상왜곡 보정 기법 개발)

  • Kim, Heejoung;Kim, Seojun;Yoon, Byungman;Lee, Jun Hy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137-137
    • /
    • 2018
  • 표면영상유속계는 매우 간편하고 신속하게 하천의 유속장을 측정하는 기법이지만 하천의 넓은 구역을 카메라로 촬영하기 때문에 영상왜곡이 필연적으로 발생한다. 이러한 왜곡을 보정하기위해 많이 사용되고 있는 2차원 투영좌표변환법을 이용하여 유속을 분석하였다. 하지만 2차원 투영좌표변환법의 경우 표정점이 수표면의 높이와 같은 위치에 존재하지 않으면 유속 분석 결과에 큰 오차를 유발시킨다. 홍수 시 하천의 수위가 급변할 경우 표정점을 수위 변화에 맞추어 이동시키면서 영상을 촬영한다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위해 하천의 수위 변화에 대응하는 영상왜곡 보정 기법 개발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2차원 투영좌표변환법을 개선하기 위해 제방근처의 표정점 4개와 카메라의 좌표와 카메라와 수표면까지의 연직거리를 이용한 영상왜곡 보정식을 개발하였다. 그리고 표정점과 수표면의 높이를 다양하게 변화시키면서 개발한 보정식을 적용하였다. 표정점이 수위에 맞게 설정된 경우를 기준으로 수위보다 높게 설정된 표정점에 대하여 보정식을 적용한 경우의 유속은 표정점이 수위보다 높게 설정된 경우의 유속과 비교한 결과 오차가 크게 개선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하천에 CCTV를 고정적으로 설치하여 유량을 산정할 경우 본 연구에서 제시한 표정점 보정식을 활용한다면 수위가 급변하는 상황에서도 정확한 표면유속을 산정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PDF

Study on new type vehicle fuel economy correction formula review according to the applicable (신형식 자동차 적용에 따른 연비 보정식 검토에 관한 연구)

  • Lim, Jaehyuk;Kim, Sungwoo;Lee, Minho;Kim, Kiho
    • Journal of Energy Engineering
    • /
    • v.25 no.4
    • /
    • pp.198-206
    • /
    • 2016
  • Fuel economy label will be used as a national indicator in energy management, leading to the development of car technology manufacturer and plays a role in providing consumer vehicle purchase information. But the government's fuel economy label is continued consumer complaint is different and diminishing fuel economy were introduced by the government to measure the exact fuel economy label than resetting the 5-cycle test method in the US for the domestic vehicle standards. Originally two test mode in order to reduce the impact of the sharp increase in the resources required but methods of calculating a measured result value by driving all of the five test mode a variety of environmental conditions and the running pattern is reflected to the fuel economy label (city( FTP-75 mode), highway(HWFET mode)) and using 5-cycle correction formula for calculating a fuel consumption value and the equivalent value to calculate the result of the 5-cycle test. The compensation was calculated expression 30s, 5-Cycle Test Method of vehicles in 2011 was considered necessary to review the existing 5-cycle correction formula for the New Type car due to the recent rapid development of automotive technology. In this study, recent technology is targeting 14 units New Type car applied over the same test method and the existing check test mode specific fuel economy properties a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rrected expression differences that have already been developed with the existing test vehicle resulting large did not show the difference was found to correction formula also not getting the existing fuel correction expression significant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the current automobile technology as a maximum error of less than 1.5%.

Improvement of KOMPSAT-5 Sea Surface Wind with Correction Equation Retrieval and Application of Backscattering Coefficient (KOMPSAT-5 후방산란계수의 보정식 산출 및 적용을 통한 해상풍 산출 결과 개선)

  • Jang, Jae-Cheol;Park, Kyung-Ae;Yang, Dochul;Lee, Sun-Gu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 /
    • v.35 no.6_4
    • /
    • pp.1373-1389
    • /
    • 2019
  • KOMPSAT-5 is the first satellite in Korea equipped with X-band Synthetic Aperture Radar (SAR) instrument and has been operated since August 2013. KOMPSAT-5 is used to monitor the global environment according to its observation purpose and the availability of KOMPSAT-5 is also highlighted as the need of high resolution wind data for investigating the coastal region. However, the previous study for the validation of wind derived from KOMPSAT-5 showed that the accuracy is lower than that of other SAR satellites. Therefore, in this study, we developed the correction equation of normalized radar cross section (NRCS or backscattering coefficient) for improvement of wind from the KOMPSAT-5 and validated the effect of the equation using the in-situ measurement of ocean buoys. Theoretical estimated NRCS and observed NRCS from KOMPSAT-5 showed linear relationship with incidence angle. Before applying the correction equation, the accuracy of the estimated wind speed showed the relatively high root-mean-square errors (RMSE) of 2.89 m s-1 and bias of -0.55 m s-1. Such high errors were significantly reduced to the RMSE of 1.60 m s-1 and bias of -0.38 m s-1 after applying the correction equation. The improvement effect of the correction equation showed dependency relying on the range of incidence angle.

Analysis of Geometric Calibration Accuracy using the Results from IR Channel Nominal Radiometric Calibration (적외채널 기본 복사보정 결과를 이용한 기하보정 처리의 정확도 분석)

  • Seo, Seok-Bae;Kwon, Eun-Joo;Jin, Kyoung-Wook
    • Aerospac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v.12 no.2
    • /
    • pp.147-155
    • /
    • 2013
  • The nominal radiometric calibration equation and additional five algorithms are applied in the infrared channel radiometric calibration for the COMS (Communication, Ocean, Meteorological Satellite) MI (Meteorological Imager). The processing end time of the radiometric calibration is directly related with the start time of geometric calibration processing since the geometric calibration processing is followed by that of the radiometric calibration. This paper describes comparison and analysis results for geometric calibration processing using two types of the radiometric calibration results, outputs from only the nominal radiometric calibration equation and outputs from the complete one (the nominal radiometric calibration equation with additional five algorithms), to propose a method with the earlier start time of the geometric calibration processing.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both of radiometric calibration results, from the nominal radiometric calibration equation with a fast processing speed and from the complete one with accurate radiometric values, can be used in the geometric calibration as the appropriate inputs because those processing results satisfied the requirements of geometric calibration processing accuracy. Thus the radiometric calibration results from the nominal radiometric calibration equation can be used to improve geometric calibration processing time.

Color balancing of the half-mirror-based stereo image by using SURF algorithm (SURF 알고리즘을 이용한 직교식 스테레오 카메라 영상의 칼라 불균형 보정 방법)

  • Li, Ruei-Hung;Shin, Hyoungchul;Sohn, Kwang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1.11a
    • /
    • pp.133-136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SURF 알고리즘을 이용한 직교식 스테레오 카메라 영상의 칼라 불균형 보정 방법 제안한다. 제안 방법에서는 SURF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스테레오 좌, 우 영상의 대응점을 찾은 후, 찾은 대응점들의 칼라 보정 벡터를 영상 획득 모델을 기반으로 계산한다. 영상 전체에서 다양한 칼라 대응점 정보를 추출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분할영상을 이용하여 칼라 대응점 정보를 추출한다. 추출된 대응점 정보는 초기 칼라 보정 벡터로 변환할 수 있으며 좌, 우 영상의 모든 픽셀에 대하여 색정보가 가장 유사한 대응점의 보정 벡터를 사용하여 칼라 불균형을 보정한다. 초기 보정 벡터를 이용한 칼라 불균형 보정 후 존재하는 노이즈을 제거하기 위하여 유사한 색공간에 위치한 칼라 보정 벡터에 가우시안 필터를 적용한다. 실험 결과로 원본 영상과 보정된 영상의 칼라 히스토그램을 비교하였으며, 분할 영역의 수에 따른 보정 결과도 비교 제시하였다. 실험 결과는 제안한 방법이 직교식 스테레오 카메라 영상에 효과적인 칼라 불균형 보정 방법임을 보여준다.

  • PDF

Automatic Registration of Quickbird Image and Digital Map (수치지도와 Quickbird 영상의 자동 기하보정)

  • Han, Dong-Yeob;Kim, Hye-Jin;Kim, Yong-Il
    • Proceedings of the KSRS Conference
    • /
    • 2007.03a
    • /
    • pp.109-112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대축척 수치지도와 Quickbird 위성영상의 자동 보정을 영상공간에서 수행한다. 알고리즘은 보정변환식의 초기 계수값 결정과 정확한 변환계수 결정과정으로 나뉜다. 초기 계수값 결정은 보정변환식의 상수항을 결정하는 것으로 수치지형도의 지면개체와 영상에서 추출된 에지의 논리곱 연산을 적용하여 최적값을 추정하는 방식을 용한다. 보정 다항식의 정확한 변환계수를 결정하기 위하여 수치지형도의 지면 선형개체 점데이터와 영상의 에지개체 점데이터간 ICP 조정을 수행하였다. 제안된 방법의 정확도를 평가한 결과, 영상공간에서 1.72화소의 RMSE를 나타내었다.

  • PDF

Half Pixel Correction for MPEG-2/H.264 Transcoding (MPEG-2/H.264 변환을 위한 1/2 화소 보정)

  • 권순영;이주경;정기동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4.10c
    • /
    • pp.481-483
    • /
    • 2004
  • 다양한 동영상 압축표준에서 압축효율을 높이기 위해 1/2 화소를 이용한다. 1/2 화소는 프레임 간 참조시 압축 효율을 높이기 위한 프레임 내 화소를 연산하여 생성되는 가상의 값이며 이 연산식은 표준에 따라 다르다. MPEG-2에서 H.264로의 포맷 변환시 이 1/2 화소값의 차이로 인해 MPEG-2의 모션벡터와 움직임 보상된 값을 그대로 사용할 수 없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MPEG-2의 모션벡터를 그대로 사용하고 DCT(Discrete Cosine Transform) 도메인에서 두 표준의 화소값의 차이를 보정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기법은 픽셀 도메인의 창조 블록을 이용하여 보정 할 위치를 찾고 두 표준의 1/2 화소 계산식의 차이를 이용하여 보정 할 값을 구하게 된다. 구해진 보정 값을 DCT하여 DCT 도메인의 현재 블록에 더하여 보정하게 된다. 이 기법은 모든 블록의 값을 완벽하게 보정할 수는 없지만 두 표준 간 차이값이 큰 1/2 화소를 보정할 수 있으며 IDCT라 DCT로 인한 화질 열화도 감소된다 또한, DCT 상태에서 보정을 수행하므로 픽셀 도메인에서 보다 약 7%의 계산복잡도도 낮출 수 있다.

  • PDF

Comments on Gravity Reduction and Gravity Anomaly (중력 보정과 중력 이상에 대한 이해)

  • Park, Yeong-Sue;Lim, Mu-Taek;Rim, Hyoung-Rae
    • Geophysics and Geophysical Exploration
    • /
    • v.9 no.2
    • /
    • pp.171-175
    • /
    • 2006
  • Gravity reduction and Bouguer anomaly are frequently misunderstood by many geoscientists as follows; the observed gravity is reduced to a common datum plane, so that gravity effects by all materials above the datum is removed, therefore, Bouguer anomaly is located on the datum plane. In reality, Bouguer anomaly does not lie on a common datum plane, but is difference between observed gravity and reference gravity at the actual point of measurement. Commonly used gravity reduction formulas are approximate formulas. Here, we introduce complete formulas, and suggest to use them for more accurate results. We also suggest to use not the geoid but the reference ellipsoid as the vertical datum.

An Estimation of Velocity Correction Factor for Estimate of Representative Velocity According to Channel Curvature (대표유속산정을 위한 수로곡률에 대한 유속보정계수 산정)

  • Kim, Sooyoung;Kim, Hyung-Jun;Yoon, Kwang 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429-429
    • /
    • 2016
  • 하천에 포함되는 각종 시설물을 설계하는데 있어 기준이 되는 하천설계기준에는 대부분 하천의 대표유속을 통해 시설물의 규모와 형태를 결정하는 공식이 제시되어 있다. 이러한 대표유속의 경우 대부분 평균유속을 사용하고 있으며 하천의 형태와 시설 등에 의한 영향으로 국부적으로 유속이 증가하는 경우 유속보정계수를 이용하여 평균유속을 보정하여 사용한다. 이러한 유속보정계수는 만곡, 세굴, 저수로 간섭, 근고공 및 수제공 등에 적용되며 본 연구에서는 하천의 곡률에 의한 유속보정계수를 수치모의를 통해 검증하고자 한다. 하도 중심의 곡률반경의 변화에 따른 평균 유속과 국부유속의 차이를 계산하고 기 제시된 보정계수 산정식과 비교하여 산정식의 활용성에 대한 검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유속보정계수의 중요성과 활용성을 제고하고 하천시설물의 설계 시에 평균유속이 아닌 보정된 대표유속을 활용한다면 하천시설물에 대한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 PDF

Correction for Membrane Penetration Effect during Isotropic Unloading and Undrained Cyclic Shear Process (등방제하과정과 반복전단과정에서의 멤브레인 관입량 및 보정식에 대한 실험적 고찰)

  • Kwon, Youngcheul;Bae, Wooseok;Oh, Sewook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26 no.3C
    • /
    • pp.201-207
    • /
    • 2006
  • Soil tests are generally conducted using a membrane to measure a pore water pressure. However, it has also been recognized that the membrane penetrates into the specimen by the change of the confining pressure, and it results in the erroneous measurement in the pore water pressure and the volumetric strain.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iveness of the correction equation of the membrane penetration on the basis of the experimental data acquired during the isotropic unloading and the cyclic shear process using the hollow cylindrical shear test equipment.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embrane penetration by the correction equation could be overestimated when the mean effective stress was lower than 20kPa in this study. The limitations originated from the sudden increase near the zero effective stress, and in order to prevent the overestimation in low effective stress condition, the use of the constant a was proposed in this study. Furthermore, the correction equation for the membrane penetration had to be applied carefully when the initial relative density was high and the density changes were occurred by the relocation of the soil particle by the liquefa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