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보이드

검색결과 178건 처리시간 0.029초

미소중력하의 기액이상류의 유동양식 (Flow Patterns of Gas-Liquid Two-phase Flow under Microgravity)

  • 최부홍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27권3호
    • /
    • pp.460-465
    • /
    • 2003
  • Microgravity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liquid and gas superficial velocities on flow behaviors. Flow behaviors observed under microgravity conditions can be classified into five flow patterns: bubble. Taylor bubble, slug, semi-annular and annular flows. Transition boundary between four flow patterns could be determined by drift-flux model. It was also found that the effect of gravity and pipe inclination on flow pattern transition was not significant in the inertia dominant region.

반도체 웨이퍼 패키지 공정 범핑에 사용되는 주석 도금의 두께 균일성 (Uniformity of bump height in pure Sn plating used on the semiconducter wafer bumping.)

  • 김동현;이성준
    • 한국표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표면공학회 2016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13-113
    • /
    • 2016
  • 반도체 웨이퍼 패키지 공정에는 솔더 범프용으로 주석-은 합금 도금액이 사용되어 왔다. 최근, 주석-은 도금 피막중의 은 함량의 불균일성, 불용성 양극의 사용에 의한 전압 상승. 은의 도금 치구에의 석출, 리플로 후의 보이드의 형성 등의 문제로 인하여 주석 단독 금속 도금에 의한 범프 형성이 실용화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범프용 주석 도금액에서의 전류밀도, 금속이온의 농도, 유리산의 농도 및 첨가제의 농도가 범프 두께 균일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 PDF

렘 콜하스의 건축에서 나타나는 밀집과 보이드를 적용한 디자인 방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sign Methods Utilizing 'Congestion' and 'Void' from Rem Koolhaas's Architecture)

  • 박소라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3권6호
    • /
    • pp.51-59
    • /
    • 2014
  • Rem Koolhaas has pursued new architectural approaches breaking with conventional ones. Around the 1990s when large-scale projects occurred with the union of Europe ahead, Koolhaas recognized the limits to the existing methods for responding to such changes. Accordingly, he came to use design methods based on 'congestion' and 'void' as strategical alternatives, which became the moment for him to leap forward from the previous working sphere based in Europe to becoming an architect who would be commissioned a number of large-scale global projects. Therefore, this study intends to investigate his design methods which utilized congestion and void, and to derive spatial characteristics from the projects based on such methods. First of all, the study looked into the historical background, definition and process of congestion and the void as design methods, and analyzed his projects to which such methods were applied by classifying them into the following categories: 1) the void that removes a space of singularity; 2) the void that penetrates space while making a flow; and 3) the void that is formed by vertical extrusion. Then, the characteristics of architectural spaces made in this way were identified as 1)the single-body appearance made by congestion and the following types of space made by the void: 2) the non-uniformly shaped space that looks like floating; 3) the flexible space with various flows and directions; and 4) the space with virtual possibilities that embrace contingent events. This understanding of Rem Koolhaas's design methods which were attempted in various ways at his critical turning point will be the foundation to understand the overall world of his works.

맵리듀스를 이용한 정렬 기반의 데이터 큐브 분산 병렬 계산 알고리즘 (Sort-Based Distributed Parallel Data Cube Computation Algorithm using MapReduce)

  • 이수안;김진호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49권9호
    • /
    • pp.196-204
    • /
    • 2012
  • 최근 많은 응용 분야에서 대규모 데이터에 대해 온라인 다차원 분석(OLAP)을 사용하고 있다. 다차원 데이터 큐브는 OLAP 분석에서 핵심 도구로 여긴다. 본 논문에서는 맵리듀스 분산 병렬 처리를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데이터 큐브를 계산하는 방법을 연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맵리듀스 프레임워크에서 데이터 큐브 계산 방법으로 잘 알려진 PipeSort 알고리즘을 구현하는 효율적인 방법에 대해서 살펴본다. PipeSort는 데이터 큐브의 한 큐보이드에서 동일한 정렬 순서를 갖는 여러 큐보이드를 한 파이프라인으로 한꺼번에 계산하는 효율적인 방식이다. 이 논문에서는 맵리듀스 프레임워크에서 PipeSort의 파이프라인을 구현한 네 가지 방법을 20대의 서버에서 수행하였다. 실험 결과를 보면, 고차원 데이터에 대해서는 PipeMap-NoReduce 알고리즘이 우수한 성능을 보였으며, 저차원 데이터에 대해서는 Post-Pipe 알고리즘이 더 우수함을 보였다.

2상 횡유동을 받는 튜브군의 유체탄성 불안정성 (Fluid-Elastic Instability of Tube Bundles in Two-Phase Cross-Flow)

  • 김범식;장효환
    • 대한기계학회논문집
    • /
    • 제15권6호
    • /
    • pp.1948-1966
    • /
    • 1991
  • 본 연구에서는 2상 횡유동을 받는 튜브군의 진동 메카니즘을 규명하기 위한 실험계획의 일환으로 실시된 실험으로부터 튜브군의 유체탄성 불안정성 상수에 관해 고찰하였다. 실험은 먼저 p/d=1.47 및 1.32 튜브군에 대해 수행되었는데, 이들 튜브 군의 결과는 참고문헌에 발표하였다. 본 논문은 후속 실험으로 수행된 p/d=1.22인 튜브군을 사용하여 유체탄성 불안정성 상수를 고찰한 참고문헌의 후속논문이다. 실 험은 액체상태로 부터 99% 보이드율(void fraction)까지 변화된 2상 유동에서 튜브가 유체탄성 불안정성 상태에 도달할 때까지 점진적으로 증가하였다.실험결과는 p/d= 1.32 alc 1.47 튜브군의 유체탄성 불안정성 결과들과 종합. 비교되었다.

수직 상향유동 배관에서 비뉴톤유체에 의한 2상류의 유동특성 (The Characteristics of Two Phase Flow by Non-Newtonian Fluid for Vertical Up-ward in a Tube)

  • 차경옥;김재근;최경석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2권4호
    • /
    • pp.53-59
    • /
    • 1998
  • 기-액 2상유동장에서 유동양식은 압력강하, 보이드율분포, 유동장의 기하학적 형상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한편 원유수송, 비등이 발생하는 유동, 펌프에서 발생하는 케비테션 현상, 그리고 화학 반응로와 같은 상변화 장치 등의 2상유동에서 고분자물질에 의한 저항감소 현상의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2상유동장에서 고분자물질에 의한 저항감소에 관한 연구는 매우 미비하다. 그래서 본 연구는 2상유동장에 합성고분자물질(A611p)에 의한 저항감 소율을 실험을 통하여 계측 및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고분자물질의 농도를 증가시킬수록 국부보이드율의 최고치가 관의 중심에서 관의 벽쪽으로 이동하며 2상유동의 유동양식이 변화됨을 규명하였다. 그래서 저항감소율과 유동양식과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예측할 수 있었다.

  • PDF

DT-GPSR: 지연감내형 GPSR 라우팅 프로토콜 (DT-GPSR: Delay Tolerant-Greedy Perimeter Stateless Routing Protocol)

  • 남재충;조유제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41권2호
    • /
    • pp.189-197
    • /
    • 2016
  • 실제 이동 통신 환경은 불균일한 단말 분포와 이동성으로 인하여 링크 단절이 일어나는 경우가 빈번하다. 이러한 네트워크 환경에서 경로 수립 기반의 MANET 라우팅 프로토콜은 잦은 전송 실패를 야기하여 메시지 전달률을 감소시키고, 경로 재수립을 위한 제어 메시지를 많이 발생시켜 네트워크 효율성을 크게 저하시킨다. 반면 GPSR과 같은 위치 정보 기반 MANET 라우팅 프로토콜은 종단 간 경로 수립 절차 없이 hop-by-hop 라우팅을 수행하여 제어 메시지 발생을 최소화하지만, 중계 노드의 결손으로 인해 보이드(void)가 발생 할 경우 데이터 전달 실패 등 다양한 문제를 유발한다. 본 논문에서는 보이드로 인해 발생되는 라우팅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GPSR 프로토콜에 확률 기반 Delay Tolerant Networking 기술이 결합된 DT-GPSR 프로토콜을 제안한다. NS-2 시뮬레이션을 통해 기존 GPSR 프로토콜 및 PRoPHET 프로토콜과의 성능을 비교하였으며, 제안 방안이 다양한 망의 변화에 대응하여 우수한 성능을 보임을 확인하였다.

NCF Trap이 Cu/Ni/Sn-Ag 미세범프의 Electromigration 특성에 미치는 영향 분석 (Effect of NCF Trap on Electromigration Characteristics of Cu/Ni/Sn-Ag Microbumps)

  • 류효동;이병록;김준범;박영배
    • 마이크로전자및패키징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83-88
    • /
    • 2018
  • Cu/Ni/Sn-Ag 미세범프 접합 공정후 Ni/Sn-Ag접합계면에 잔류한 비전도성 필름(non-conductive film, NCF) trap 형성이 전기적 신뢰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온도 $150^{\circ}C$, 전류밀도 $1.5{\times}10^5A/cm^2$ 조건에서 electromigration (EM) 신뢰성 실험을 진행하였다. EM 신뢰성 실험 결과, NCF trap이 거의 없는 Cu/Ni/Sn-Ag 미세범프가 NCF trap이 형성된 미세범프 보다 약 8배 긴 EM 수명을 보여주고 있다. 저항 변화 및 손상계면에 대한 미세구조 분석결과, Ni/Sn-Ag접합계면에 공정 이슈에 의해 형성된 NCF trap이 Ni-Sn 금속간화합물/Sn-Ag솔더계면에 보이드를 유발하여 EM 원자 확산을 방해하기 때문에 빠른 보이드 성장에 의한 전기적 손상이 일찍 발생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집단 로봇 제어를 위한 수정된 플로킹 알고리즘의 시뮬레이션 검증 (Verification of Modified Flocking Algorithm for Group Robot Control)

  • 이은복;신석훈;유용준;지승도;김재익
    • 한국시뮬레이션학회논문지
    • /
    • 제18권4호
    • /
    • pp.49-58
    • /
    • 2009
  • 로봇의 지능화에서 기존의 하향식 접근 방식은 단일 개체 지능화에 중점을 두어 왔으나 이러한 접근은 첫째, 센싱, 연산, 통신에 소모되는 비용과 시간이 크다는 것 그리고 둘째, 예측 불가능한 환경변화에 민감하게 대응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는 상향식 접근 방식의 집단적 지능화를 위한 알고리즘과 이를 적용한 에이전트 모델을 제안하고 시뮬레이션을 통해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수정된 플로킹 알고리즘은 그래픽이나 게임에서 집단이동을 보이는 생명체를 모델링 하는데 주로 사용되어온 플로킹(Flocking, Craig Reynolds)의 개념을 단순화시킴으로써 기존 플로킹의 연산과정을 단순화하여 보다 많은 수의 집단 로봇에 적용하기 용이 하도록 수정한 알고리즘이다. 시뮬레이션을 통해 수정된 플로킹 알고리즘의 집단화 적용 가능성을 검증하였고, 이를 위한 보이드 에이전트를 모델링 하였다. 또한 실질적 검증을 위하여 실제 집단로봇에 대한 사례 연구를 진행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