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보이드

검색결과 178건 처리시간 0.034초

음향방출법에 의한 몰드형 전력변압기의 절연열화 진단 (Diagnosis of Insulation Deterioration in Cast-Resin Power Transformer using Acoustic Emission Techniques)

  • 이상우;김인식;이동인;이광식
    •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 /
    • 제14권6호
    • /
    • pp.35-42
    • /
    • 2000
  • 본 연구에서는 몰드형 전력변압기의 절연열화 상태를 진단하기 위해 에폭시 수지의 보이드방전에 의한 절연열 화의 상태를 트리의 길이에 따라 열화 초기, 중기 및 말기로 구분하고 이때 방출된 음향선호흘 분석하였다. 또한 보이드방전에 의한 음향선호를 측정할 때 몰드변압기의 철심에서 발생되는 자기적 음향 노이즈가 중첩됨으로 이를 구분하기 위해 용량 500[kVA]인 실용 몰드변압기를 배전 계통 22.9[kV]의 선로에 접촉하였을 때, 자화전류 및 부하전류에 의해 각 상에서 발생되는 음향 노이즈 신호의 주파수 스펙트럼올 분석하였다. 실행 결과, 에폭시수지의 보이드방전애 의해 발생된 음향방출신호의 주파수 스펙트럼은 열화상태에 따라 약 50-230[kHz] 범위에서 측정되었으나, 배잔계동에 접속된 실용 몰드변압기의 자화전류 및 부하전류에 의해 발생된 자기회로의 음향 노이즈에 대한 주파수 스펙드럼은 약 4O-120[kHz] 대역인 것으로 나타났다.

  • PDF

XLPE 케이블에서 보이드 결함의 부분방전 특성과 위치추정 (Partial Discharge Characteristics and Localization of Void Defects in XLPE Cable)

  • 박서준;황성철;왕국명;길경석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20권2호
    • /
    • pp.203-209
    • /
    • 2017
  • 전력공급의 안정성 및 신뢰도 향상을 위해 각종 전력설비의 예방진단에 관한 연구개발이 활발하다. 가스절연개폐장치와 변압기와 같은 단위 기기의 절연진단기술은 빠르게 발전하고 있으나, 전력케이블에 있어서는 단순히 결함의 유무와 부분방전을 측정할 뿐, 세부적 특성에 대해서는 거의 연구되고 있지 않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XLPE 케이블에서 보이드의 크기와 위치에 따른 부분방전 특성과 결함의 위치추정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보이드의 크기 및 위치에 따른 4종의 결함계를 모의하였으며, 부분방전펄스는 주파수 대역 150kHz~30MHz의 고주파변류기로 검출하였다. 실험결과, 도체에 인접한 결함일수록 방전전하량이 크고, 정극성에 비해 부극성의 방전펄스 수가 약 20% 많게 나타났다. 또한 TDR 방법으로 결함위치를 산출하였으며, 50m 케이블에서 1m 이내로 결함의 위치를 추정할 수 있었다.

OLAP 데이터 큐브에서의 추론통제 프로세스 설계 (Design of an Inference Control Process in OLAP Data Cubes)

  • 이덕성;최인수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4권5호
    • /
    • pp.183-193
    • /
    • 2009
  • OLAP 데이터 큐브와 SDB(통계 데이터베이스) 모두 다차원 데이터 무리를 대상으로 하고, 이 데이터 무리의 모든 차원 별로 통계적인 요약처리를 한다는 데에는 공통점이 있으나 그 형성과정은 아주 다르다. SDB는 여러 베이스 데이터를 이용하여 자신이 쓸 베이스 데이터를 만들고 있으나 OLAP 데이터 큐브에서는 베이스 데이터 자체가 직접적으로 사용된다. 다시 말하면 SDB의 베이스 데이터는 머크로 데이터인데 반해 OLAP 데이터 큐브에서의 핵심 큐보이드 데이터는 마이크로 데이터라는 뜻이다. OLAP 데이터 큐브에 측정값을 입주시키는 데에 베이스 테이블을 사용한다. 구체적으로 핵심 큐보이드의 각 셀에 마이크로 데이터를 입주시키는 데에 베이스 테이블의 각 레코드를 사용한다. 그런데 OLAP 데이터 큐브에서는 마이크로 데이터가 사용되는 경우가 태반이기 때문에 베이스 테이블에서의 어떤 레코드는 존재하지 않게 되는 상황이 생길 수도 있게 된다. 그리고 이렇게 되면 핵심 큐보이드의 어떤 셀은 공백으로 남게 되는 것이다. Wang 등은 OLAP 데이터 큐브로부터 기밀 누설을 막을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였는데, 이 방법은 집계함수의 종류에 관계없이 적용시킬 수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큐보이드의 어떤 셀 하나라도 공백으로 되어있는 경우는 집계함수의 종류에 관계없이 적용시킬 수 있다는 Wang의 주장이 틀리게 된다는 것을 본 연구에서는 밝히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Wang의 오류를 없앤 OLAP 데이터 큐브에서의 새로운 추론통제 프로세스를 설계하는 데에 목적을 두고 있다.

임피던스법을 이용한 보이드 슬라브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The Study of Improvement of the Void Slab Applying the Impedance Method)

  • 오재응;김영식
    • 소음진동
    • /
    • 제11권2호
    • /
    • pp.276-284
    • /
    • 2001
  • In apartment buildings, floor-impact sound has been regarded as the major source that causes complaints from residents. It is mainly due to the use of light-weight structures and the lack of researches in terms of floor-impact sound.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vibration response and sound radiation of 12type void slabs in the improvements void slab by impedance method and finding the fittest improvements void slab on the 12type void slab.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below: (1) In the $\frac{1}{3}$ octave band level of sound radiation, $\frac{1}{3}$ octave band levels, measured from four-divided improvement void slab(No.8) and eight-divided improvement void slab(No.12), are 10~25 dB lower than that of standard void slab(No.1) in the 1250 Hz. Especially, eight-divided improvement void slab(No.12) is the best void slab in terms of radiation efficiency of sound level. (2) In the correlation relation of acceleration and sound radiation, standard void slab(No.1), four-divided improvement void slab(No.8), SK standard four-hole void slab(No.10), and eight-divided improvement void slab(No.12) are positive correlation relation.

  • PDF

Vacuum Assisted Resin Transfer Molding 공정에서의 Microvoids 형성과 이동에 관한 연구 (Experimental Study of the Microvoids formation and Transport in the Vacuum Assisted Resin Transfer Molding Process)

  • Se Won Eun;Woo Il Lee
    • Composites Research
    • /
    • 제16권6호
    • /
    • pp.10-15
    • /
    • 2003
  • RTM 공정에 의하여 생성된 제품은 microvoids의 함유량에 의하여 기계적인 물성치에 큰 영향을 받는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microvoid의 형성과 이동을 실험적으로 관찰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Vacuum assisted RTM공정에서 유동선단에서의 microvoid의 형성과 이동을 DV camera로써 관찰을 한 후, 그것에서 void의 함유량을 구하고, 실험에서 얻어진 결과로 microvoid model에 필요만 factor들을 얻어낼 수 있었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결과를 다시 실험적인 결과와 비교함으로써 서로 일치하는 결과를 얻어낼 수 있었다. 이번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를 수학적인 모델에 대입함으로써 VARTM 공정 중 microvoid의 함유량을 예측할 수 있다.

음향탐지를 이용한 트리잉의 열화진단을 위한 정량적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Quantitative Analysis for Treeing Deterioration Diagnosis Using Acoustic Detection)

  • 이덕진;신성권;김재환
    •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68-74
    • /
    • 1999
  • 본 연구는 고분자재료에서 음향센서를 이용한 부분방전의 음향적 탐지를 행했다. 저밀도 폴리에틸렌에 대한 트리잉파괴 실험에서 음향센서로 얻어진 음향방출 특성의 시간순서대로 측정하여 통계처리를 행했다. 또한 5가지 특성량을 도입하고 $\psi$-AEA-n(위상-음향진폭-펄스수) 패턴을 분석한 결과, 보이드 시료의 AE평균개시진폭 $(\overline{AEA_{inc}})$과 AE 평균최대진폭$(\overline{AEA_{max}})$은 열화중기, AE펄스수, AE평균최대위상각$(\overline{\theta{max}})$은 열화말기를 진단하기 위해서 유용한 음향방출량임을 알 수 있다. 이들 음향방출량은 보이드 시료의 열화진단을 구별하는데 유용한 음향방출량임을 실험결과로부터 얻었다.

  • PDF

사질토 지반을 통과하는 쉴드 TBM에서 뒤채움 그라우팅이 지반 거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수치해석적 연구 (Numerical investigation on the effect of backfill grouting on ground behavior during shield TBM tunneling in sandy ground)

  • 오주영;박현구;장석부;최항석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논문집
    • /
    • 제20권2호
    • /
    • pp.375-392
    • /
    • 2018
  • 쉴드 TBM 공법은 터널의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는 공법으로 도심지 얕은 터널 공사에 적합한 공법이다. 하지만 이러한 쉴드 TBM 공법의 장점에도 불구하고 침하가 발생하며, 토피가 낮은 지반에서 쉴드 TBM 굴진 중 침하에 대한 대책은 여전히 주요 쟁점사항 중 하나로 남아있다. 쉴드 TBM 공법에서 테일 보이드는 불가피하게 발생하는 공간으로 테일 보이드의 변형은 침하의 주요 원인이 된다. 이러한 테일 보이드의 변형은 뒤채움 그라우팅을 통해 제어되며, 이를 통해 침하를 억제하거나 회복시킬 수 있다고 여겨지고 있다. 하지만 실제 뒤채움 그라우팅을 통한 침하 회복은 기대하기 어려우며 특히 사질토에서 두드러진다. 이는 뒤채움 그라우팅과 사질토 지반 사이의 상호작용에 기인한 것으로 유추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3차원 수치해석을 통해 사질토 지반에서 뒤채움 그라우팅이 지반거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해석결과, 뒤채움 그라우팅은 침하증가율을 감소시켜 쉴드 TBM 굴진으로 인하 침하를 감소시키나, 그라우팅 이전에 발생한 침하를 회복시키지는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뒤채움 그라우팅으로 인해 감소된 체적손실의 지표침하 감소 효과를 지반 내 체적변형이 상쇄하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H*-tree/H*-cubing: 데이터 스트림의 OLAP를 위한 향상된 데이터 큐브 구조 및 큐빙 기법 (H*-tree/H*-cubing-cubing: Improved Data Cube Structure and Cubing Method for OLAP on Data Stream)

  • 심상예;이연;이동욱;김경배;배해영
    •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 /
    • 제16D권4호
    • /
    • pp.475-486
    • /
    • 2009
  • 데이터 큐브는 다차원 데이터 분석 및 멀티레벨 데이터 분석에 많이 사용되고 있는 중요한 데이터 구조이다. 최근 데이터 스트림의 온라인 분석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면서 스트림 큐브, Flow 큐브, S-큐브 등의 다양한 데이터 큐브 구조와 기법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기존 기법들은 데이터 큐브 생성 시 고비용이 요구되는 단점을 가지고 있어 효과적인 데이터 구조, 질의 방법 및 알고리즘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스트림 큐브 기법에서는 H-큐빙 기법을 사용하여 큐보이드를 선택하고, 계산된 셀들을 인기 패스에 있는 큐보이드들로 구성된 H-트리에 저장한다. 그러나 스트림 큐브 기법에서는 H-트리에 데이터를 비순차적으로 삽입하기 때문에 H-큐빙 기법을 사용하여 질의를 처리할 때 제한성을 갖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데이터의 트리 구조의 각 층에 대한 인덱스를 구축하여 스트림 데이터에 대한 빠른 삽입 연산을 지원하는 $H^*$-tree 구조와, popular-path에 존재하지 않는 큐보이드를 빨리 계산하여 스트림 데이터에 대한 빠른 애드 혹 질의 응답을 지원하는 $H^*$-cubing 기법을 제안한다. 성능평가를 통하여 제안한 $H^*$-tree 기법은 보다 적은 큐브 구축 시간을 지원하며, $H^*$-cubing 기법이 stream cube 기법보다 빠른 애드 혹질의 응답 시간을 소요하며, 보다 적은메모리를 사용함을 보여준다.

보이드 모의결함을 이용한 부분방전과 절연파괴와의 상관관계에 대한 고찰 (Considerations on correlation between partial discharge and breakdown using void-simulated defect)

  • 이태성;장수길;김정태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11년도 제42회 하계학술대회
    • /
    • pp.21-22
    • /
    • 2011
  • In this paper, considerations on correlation between partial discharge and breakdown using void-simulated defect, investigating the characteristics of void discharges. For the purpose, the relationship between PDIV(Partial Discharge Inception Voltage) and BDV(BreakDown Voltage) was analyzed. As a result, it is noticed that the higher PDIV, the higer BDV.

  • PDF

보이드 재료에 대한 새로운 항복함수의 제안 (A New Yield Function for Voided Materials)

  • 김성태
    • 한국소성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성가공학회 2000년도 춘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13-16
    • /
    • 2000
  • In this paper the authors proposed a new anisotropic yield criterion for porous ductile materials. By using the proposed yield criterion and its flow rules a damage evolution of anisotropic sheet under biaxial tensile loading is investigated. A comparison of yield locus and damage evolution between the proposed yield criterion and experiments are carried out. the results are in good agreemen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