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보안 공격

Search Result 2,953, Processing Time 0.047 seconds

Active Security Management on Active Networks (능동 네트워크 기반의 능동 보안 관리 시스템)

  • 이영석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29 no.4C
    • /
    • pp.559-569
    • /
    • 2004
  • It has become more difficult to correspond an cyber attack quickly as a pattern of attack becomes various and complex. And, current security mechanisms just have passive defense functionalities. In this paper, we propose new network security architecture to respond various cyber attacks rapidly and to chase and isolate the attackers through cooperation between security zones. The proposed architecture make possible to deal effectively with cyber attacks such as IP spoofing or DDoS(Distributed Denial of Service) using active packet technology including a mobile sensor on active network. Active Security Management System based on proposed security architecture consists of active security node and active security server in a security zone, and is designed to have more active correspondent than that of existing mechanisms. We implemented these mechanisms in Linux routers and experimented on a testbed to verify realization possibility of Active Security Management System. The experimentation results are analyzed.

무기체계 사이버 보안 정책 동향

  • Lee, Jeong Kyu
    • Review of KIISC
    • /
    • v.28 no.6
    • /
    • pp.83-87
    • /
    • 2018
  • 무기체계를 대상으로 한 다양한 형태의 사이버 위협에 직면하고 있다. 실제 상대국을 대상으로 한 공격행위도 언론을 통해 발표되고 있다. 무기체계를 대상으로 한 사이버 공격은 실물 공격보다도 더 큰 위력을 발휘하기 때문에 이를 대비하기 위한 보안 검증 강화는 그 무엇보다도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본 고에서는 이러한 사이버 위협, 미국과 우리의 보안정책을 알아보고 문제점을 진단하여 현실적 개선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ISP Network's Vulnerabilities and Security Issues (ISP 망의 취약성 및 보안 이슈)

  • 이승민;남택용;손승원
    • Proceedings of the IEEK Conference
    • /
    • 2003.07a
    • /
    • pp.497-500
    • /
    • 2003
  • 최근의 인터넷을 통한 사이버 공격 유형은 시스템 위주의 공격에서 네트워크 공격으로 변화하고 있다. 이에 따라 망을 소유하고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ISP 관점의 보안이 중요한 변수로 등장하기 시작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1.25 인터넷 대란과 같은 국가차원의 사태 재발 방지를 위하여 현재 인터넷망의 취약성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보안 해결책으로서 보안 시스템의 성능, 기능 관점의 보안 이슈와 서비스 관점에서 보안 요구 사항을 살펴보았다. 또한 이를 종합하여 네트워크 영역 관점에서 앞으로 중점적으로 다뤄야 할 보안 연구 분야를 제시하였다.

  • PDF

DDoS Attack Response Framework using Mobile Code (DDoS 공격 대응 프레임워크 설계 및 구현)

  • Lee, Young-seok
    • The Journal of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Electronics,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 /
    • v.3 no.3
    • /
    • pp.31-38
    • /
    • 2010
  • It has become more difficult to correspond an cyber attack quickly as patterns of attack become various and complex. However, current security mechanisms just have passive defense functionalities. In this paper, we propose new network security architecture to respond various cyber attacks rapidly and to chase and isolate the attackers through cooperation between security zones. The proposed architecture makes it possible to deal effectively with cyber attacks such as IP spoofing or DDoS(Distributed Denial of Service), by using active packet technology including a mobile code on active network. Also, it is designed to have more active correspondent than that of existing mechanisms. We implemented these mechanisms in Linux routers and experimented on a testbed to verify realization possibility of attacker response framework using mobile code. The experimentation results are analyzed.

  • PDF

A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Loadable Kernel Module for Enhanced Security on Linux System (리눅스 시스템의 보안 강화를 위한 LKM(Loadable Kernel Module) 설계 및 구현)

  • Kim, Ik-Su;Kim, Myu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2.11b
    • /
    • pp.933-936
    • /
    • 2002
  • 공격자는 시스템에 침입하기 위해 취약점을 수집하며 여러 공격방법을 통해 루트권한을 획득하게 된다. 루트권한을 획득한 공격자는 공격 시스템에 루트킷을 설치하여 침입에 대한 흔적을 숨기고 차후 침입을 위한 백도어를 남기게 되는데 최근 등장한 커널 기반의 루트킷은 시스템에 대한 침입 탐지를 어렵게 하고 있다. 이러한 공격에 대응하기 위해 침입탐지 및 차단을 위한 보안 시스템들이 많이 개발되어 왔지만 공격자들은 보안 시스템들을 우회하여 시스템에 침입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루트권한을 획득한 공격자의 불법행위를 막기 위해 시스템 보안 강화 LKM을 설계, 구현하며 중요 파일의 변조와 루트킷의 실치를 막고 공격자의 불법행위를 관리자에게 실시간으로 알릴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 PDF

A Study on Tools for Agent System Development (사회공학적 이메일 공격 대비 모의훈련 시스템 설계)

  • Lim, Il-kwon;Kim, Young-Hyuk;Lee, Jae-Pil;Lee, Jae-Gwang;Nam-Gung, Hyun;Lee, Jae-Kw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4.04a
    • /
    • pp.471-474
    • /
    • 2014
  • 사회공학적 공격이란 인간의 심리를 이용하여 보안 위협 상황을 갖게 하는 공격을 말한다. 그렇기 때문에 사회공학적 공격을 막기 위한 보안 솔루션은 그 한계가 있기 마련이다. 그리하여 본 논문에서는 사회공학적 공격에 대비하는 보안훈련시스템을 제안한다. 스팸 및 피싱 이메일을 수집하여, 시그니처 기반 필터링을 이용하여, 최신의 사회공학적 공격 이메일을 분석한 후, 가상으로 사회공학적 이메일 공격을 실시하여 훈련대상자들이 최신의 사회공학적 공격에 대비하는 능력을 갖추게 하는 보안 훈련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Detection of DDoS Attacks through Network Traffic Analysis and Machine Learning (네트워크 트래픽 분석과 기계학습에 의한 DDoS 공격의 탐지)

  • Lee, Cheol-Ho;Kim, Eun-Young;Oh, Hyung-Geun;Lee, Jin-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4.05a
    • /
    • pp.1007-1010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분산 서비스거부 공격(DDoS)이 발생할 때 네트워크 트래픽의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서 트래픽 비율분석법(TRA: Traffic Rate Analysis)을 제안하고 트래픽 비율분석법을 통해서 분석된 다양한 유형의 DDoS 공격의 특성을 기계학습(Machine Learning)을 이용해서 DDoS 공격의 탐지규칙을 생성하고 그 성능을 측정하였다. 트래픽 비율분석법은 감시대상 네트워크 트래픽에서 특정한 유형의 트래픽의 발생비율을 나타내며 TCP flag rate 와 Protocol rate 로 구분된다. 트래픽 비율분석법을 적용한 결과 각각의 DDoS 공격 유형에 따라서 매우 독특한 특성을 가짐을 발견하였다. 그리고, 분석된 데이터를 대상으로 세 개의 기계학습 방법(C4.5, CN2, Na?ve Bayesian Classifier)을 이용해서 DDoS 공격의 탐지규칙을 생성하여 DDoS 공격의 탐지에 적용했다. 실험결과, 본 논문에서 제안된 트래픽 비율분석법과 기계학습을 통한 DDoS 공격의 탐지방법은 매우 높은 수준의 성능을 나타냈다.

  • PDF

A Risk Assessment Scheme of Social Engineering Attacks for Enterprise Organizations (사회공학 공격에 대한 기업조직의 위험 수준 평가 방안)

  • Park, Younghoo;Shin, Dongcheon
    • Convergence Security Journal
    • /
    • v.19 no.1
    • /
    • pp.103-110
    • /
    • 2019
  • Recently security related attacks occur in very diverse ways, aiming at people who operate the system rather than the system itself by exploiting vulnerabilities of the system. However, to the our best knowledge, there has been very few works to analyze and strategically to deal with the risks of social engineering attacks targeting people. In this paper, in order to access risks of social engineering attacks we analyze those attacks in terms of attack routes, attack means, attack steps, attack tools, attack goals. Then, with the purpose of accessing the organizational risks we consider the characteristics and environments of the organizations because the impacts of attacks on the organizations obviously depend on the characteristics and environments of the organizations. In addition, we analyze general attack risk assessment methods such as CVSS, CWSS, and OWASP Risk Rating Methodolog. Finally, we propose the risk access scheme of social engineering attacks for the organizations. The proposed scheme allows each organization to take its own proper actions to address social engineering attacks according to the changes of its environments.

빅데이터를 활용한 보안로그시스템

  • Jeon, Gyeong-Sik;Lee, Hyeon-Gyeong;Jeon, Sam-Hyeon;Kim, Jong-Bae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5.05a
    • /
    • pp.710-711
    • /
    • 2015
  • 최근 사이버 공격이사회, 국가적 위협으로 대두되고 있다. 최근 신종 악성코드에 의한 A.P.T 공격이 사회적으로 큰 혼란을 야기하고 있다. 이에 따라 기업 내에서 방화벽, IPS, VPN 등의 네트워크 보안 시스템의 통합 관리를 목적으로 하는 통합관제시스템(ESM)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그러나 기존의 ESM의 방식은 외부에서 내부로 유입되는 트래픽만을 모니터링하는 네트워크 기반 공격 탐지기법을 사용하기 때문에, 외부 사이버 공격만을 차단할 수 있다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주요 IT 기반시설의 네트워크, 시스템, 응용 서비스 등으로부터 발생하는 데이터 및 보안 이벤트 간의 연관성을 분석하여 보안 지능을 향상시키는 빅데이터를 활용한 보안로그시스템을 제안한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빅데이터를 활용한 보안로그시스템을 통해 분산 기반의 저장/처리 기술 적용하고자 한다.본 기술을 적용한 지능형 정보 분석 플랫폼 구성을 통해, 가용성과 확장성을 확보하여 통합적 보안 관제가 가능하도록 한다. 뿐만 아니라 기업 내로의 악성코드 유입, 감염(전파) 그리고 실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하여 고객 서비스 만족도가 향상되는 파급효과가 기대된다.

  • PDF

제로 트러스트 아키텍처

  • Choon Sik Park
    • Review of KIISC
    • /
    • v.33 no.4
    • /
    • pp.131-141
    • /
    • 2023
  • 최근 코로나로 인하여 원격 근무의 증대와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DX)으로 인한 클라우드 사용의 증가, 그리고 사이버 보안에 있어서의 끊임없는 새로운 공격의 등장과 공격 면(Attack Surface)의 확대가 증가 일로에 있다. 특히 기존 네트워크 중심의 보안 방식인 경계 보안(Perimeter Security) 방식은 새로운 네트워크 환경, 새로운 형태의 근무 형태로 인한 컴퓨팅 환경의 변화, 새로운 형태의 사이버 공격 등의 다양한 공격에 대한 방어 한계 등으로 인하여 새로운 전기를 맞이하고 있다. 즉, 기존 경계 보안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한 차세대 보안 개념의 하나인 제로 트러스트 보안 방식이 최근 많은 관심을 끌고 있다. 본 고에서는 제로 트러스트 보안에 대하여, 미국 국립표준기술연구소(NIST)가 발표한 제로 트러스트 아키텍처SP 800-207을 중심으로 제로 트러스트 보안 개념, 등장 배경, 제로 트러스트 기본 구성, 제로 트러스트 도입과 성숙도 모델, 제로 트러스트 아키텍처 접근 방식 등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