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보안구역

검색결과 66건 처리시간 0.02초

인공 잡음 및 송수신기 보호 구역을 활용한 보안 성능 향상 (Secrecy Enhancement via Artificial Noise with Protected Zones of Transmitter and Receiver)

  • 채승호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0권3호
    • /
    • pp.558-564
    • /
    • 2016
  • 네트워크 간섭은 수신기 및 도청기의 디코딩을 방해함에 따라, 보안 및 서비스 품질에 긍정 및 부정적 영향을 동시에 미친다. 인공 잡음의 전송은 이러한 네트워크 간섭의 상충되는 영향을 간접적으로 제어 가능하게 한다. 본 논문은 송수신기 보안 보호 구역 및 인공 잡음 전송을 활용한 보안 성능 향상 기법을 제안하고, 확률 기하 이론을 통해 성능 이득을 분석한다. 먼저, 송수신기 사이 거리, 송수신기 보호 구역 크기에 따른 서로 다른 4가지 시나리오에 대해, 임의의 인공 잡음 전송에 대한 연결 실패 확률과 보안 실패 확률을 분석한다. 다음으로, 보안 전송율을 분석하고, 이의 최대화를 위한 최적 인공 잡음 전송 전력비를 찾는다. 마지막으로, 시뮬레이션을 통해, 보호 구역 크기와 같은 다양한 시스템 파라미터들의 최적 인공 잡음 전송 전력비에 대한 영향을 살펴본다.

EDI 보안 관리 기능 영역 (Security Management Functional Areas for EDI)

  • 박태규;강창구;김대호
    • 한국정보보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보호학회 1996년도 종합학술발표회논문집
    • /
    • pp.390-399
    • /
    • 1996
  • 보안 관리(Security Management)는 매우 광범위한 주제이다. EDI 망에서의 보안 관리는 목적하는 보안 정책 즉, 원하는 보안 서비스, 적용할 보안 메카니즘, 보안 수행 절차, 기반을 이루는 보안 구조, 사용 오류, 침입 시도 등의 보안에 관한 모든 사항을 관리하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 보안 관리의 범위는 EDI 망에서의 보안 구역(Security Domain) 단위로 구분되며, 이 보안영역은 원하는 보안 정책을 적용하는 대상 구역이 된다. 본 논문에서는 ITU-T X.800(또는 ISO/IEC 7498-2)의 표준화에 기반을 둔 보안 영역 내에서 개발되고 있는 안전한 EDI 망에서의 보안 관리 기능 영역을 위한 정의, 범위, 요구 사항을 시스템 보안 관리, 보안 서비스 관리, 보안 메카니즘 관리, 관리 자체의 보안, 일반적 보안 관리 사항 등 5가지 범주로 나누어 다루며, 표준화 내용, 관리 도구 등을 다룬다.

  • PDF

보안시스템의 적정운영을 위한 합리적 조도개선 (Illumination improvement for Adaptable Operation of Security System)

  • 고영일;오성보;김일환;김세호;고봉운
    •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 2009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79-181
    • /
    • 2009
  • 보안구역의 외곽울타리지역의 경비체제를 인적경비에서 과학화경비로 전환함에 따라 CCTV 카메라 및 모니터 기능이 보다 향상되고 있는 반면에 이에 따른 조명설비의 중요성이 인식되었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보안구역 내 과학화된 보안시스템에 적합한 조명개선을 위하여 기존 시설된 고압나트륨과 시범 설치된 LED 광원 및 조명등주의 위치를 변경하면서 조도를 실측하였다. 또한 CCTV 감시 화면의 특성을 고려하여 정확한 물체를 확인 할 수 있는 명암을 유지하기 위한 조명 값을 구하기 위하여 시뮬레이션을 실시하여 조도 개선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빌딩 출입 보안 시스템의 정보폭주 방지방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 Preventive measure of traffic congestion in building security system)

  • 서창옥;김계국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9권1호
    • /
    • pp.71-77
    • /
    • 2004
  • 일반적으로 출입자 정보는 보안서버에서 관리되며, 출입자가 출입카드를 카드리더에 접촉시킬 때 보안서버는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한 후 출입허용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그런데 많은 출입자가 여러 출입문에서 동시 다발 적으로 카드리더에 출입카드를 근접시키면 정보폭주 가 야기된다. 따라서 서버의 과부화로 인해 출입 지연이 생긴다 본 논문에서는 정보폭주를 근본적으로 막을 수 있는 구역식별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 PDF

Segmentation 기반 전동킥보드 주차/비주차 구역 분류 기술의 개발 (Development of segmentation-based electric scooter parking/non-parking zone classification technology)

  • 조용현;최진영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23권5호
    • /
    • pp.125-133
    • /
    • 2023
  • 본 논문은 공유형 전동킥보드 시스템 운영 시, 관리 상 발생할 수 있는 주차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반납 인증사진으로 주차, 비주차 구역을 판단하는 AI모델을 제시한다. 본 연구에서는 주차/비주차 구역 배경 관련 객체를 판별하기 위해 ADE20K에 Pre_trained된 Segfomer_b0 모델과 점자블록, 전동킥보드에 Fine_tuning한 Segfomer_b0 모델을 통해 주차/비주차에 관련된 객체의 Segmentation map을 추출하고, Swin 모델을 통해 주차/비주차 구역을 이진 분류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최종적으로 총 1,689장을 직접 라벨링한 후 진행한 Fine_tuning SegFomer 모델은 mAP가 81.26% 수준으로 전동킥보드와 점자블록을 인식하였으며, 총 2,817장을 훈련한 Classification 모델은 92.11%의 정확도와 91.50%의 F1-Score로 주차구역과 비주차 구역을 분류하는 것이 가능하였다.

물리적 보안시스템 운용수준 분석 (Improvement of Physical security System Operation)

  • Chung, Taehwang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0권2호
    • /
    • pp.282-286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90개의 시설을 대상으로 물리적 보안시스템 구축 및 운용수준에 대해 조사하여 결과를 분석하고 향상방안을 제시하였다. CCTV에 대한 구축수준과 운영수준이 출입통제시스템이나 침입감지시스템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구축된 보안시스템에 대한 개선이나 유지 관리 수준이 낮게 나타나 구축 후 관리가 부족하게 나타났다. X-ray 검색기를 설치한 시설이 적게 나타났지만 이는 물품의 반입 반출을 검색에 대한 관심을 보여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물리적 보안시스템을 통합적으로 구축 운영 수준이 비교적 낮게 나왔는데, 물리적 보안시스템의 기능과 보안인력의 기능이 연계될 수 있도록 기술과 운영을 포함한 통합보안운영체계 구축을 확대하는 것이 필요하다. 출입통제시스템의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구역별 개인별로 세분화 된 형태로 출입통제시스템을 운용하고, 많은 인원의 출입을 동시에 통제할 수 있고 일정한 경계구역을 설정할 수 있는 스피드게이트와 RFID의 사용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

u-기반 시설물 관리 시스템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facility Management System based Ubiquitous)

  • 김현철;이영구;김정재;전문석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09년도 춘계학술발표논문집
    • /
    • pp.495-498
    • /
    • 2009
  • 유비쿼터스 시대에서 요구하는 가장 핵심적인 요소기술 즉 인프라이며 이를 이용한다면 다양한 시설물에서의 침입자에 대한 감시, RFID를 이용한 효율적인 인력배치에 응용이 가능하고 또한 온도, 조도, 연기 센서 등을 활용하면 실시간으로 화재 및 테러에 대해 조기에 인지하여 빠르게 대처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USN이 적용되는 대상은 침입탐지를 감시해야 하는 구역, 보안감시 대상이 되는 구역, 위험물 관리와 같은 구역으로 분류하여 구역의 특성마다 센서와 카메라, Tag와 센서(Hybrid Reader)기술 등을 하나의 센서노드로 융합하여 관리대상에 이상유무가 있을 경우 빠르게 대처하거나, Tag와 센서(Hybrid Reader)기술을 이용한 효율적인 인력배치 및 관리할 수 있도록 USN을 구성한다.

  • PDF

다중 VPN 환경에서의 분산 Perimeter defence 모델에 관한 연구 (Cascade Perimeter Defence Model in Multiple VPN Environment)

  • 임형진;김태경;정태명
    • 정보처리학회논문지C
    • /
    • 제11C권1호
    • /
    • pp.81-88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다중 VPN을 수용하는 대규모 네트워크에서 인터넷 액세스를 지원할 때, 보안 정책에 따라 신뢰구역(Trust zone)의 불확실한 경계설정으로 발생할 수 있는 보안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적응방안을 제시하였다. 관련연구로 기존 적용모델과 다중 VPN 네트워크에서의 보안 위협을 분석하고, 외부 네트워크로부터의 보호를 위해 신뢰구역 분리와 분산 정책 적용을 고려한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시뮬레이션을 통해 다중 VPN 수용과 인터넷 액세스에 의한 신뢰구간의 불확실한 경계는 신뢰되지 않은 경계로부터의 분산 계층적인 Perimeter defence 정책 적용을 통해서 개별 VPN간의 신뢰구간을 축소할 수 있었고, 하위 개별 사이트로부터의 적용보다 정책 적용횟수가 줄어 전송 지연에 영향을 줄일 수 있었다.

BLE Beacon을 이용한 실내 Networked Drone의 제어기술에 대한 연구 (A study for controlling indoor Networked Drone based on BLE Beacon)

  • 김수혁;정동언;김윤호;박예찬;추현승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6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837-838
    • /
    • 2016
  • 최근 IoT 기술의 발전과 함께 스마트홈 기술의 발달과 Drone을 사용하는 사용자가 꾸준히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스마트홈 시스템의 보안카메라는 정해진 구역을 모니터링 할 수 밖에 없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고자,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가 입력한 목적지로 실내에 미리 배치된 Drone이 이동하여 해당 목적지를 비춰줄 수 있도록 실내 보안카메라 기술을 Drone으로 대체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목적지를 인식하기 위해 실내에 위치한 Drone과 목적지의 위치값을 알아야 한다. 실내에선 GPS 좌표값을 알 수 없기 때문에 BLE Beacon이 발생시키는 신호를 이용하여 상호간의 통신을 통해 위치, 거리를 계산하도록 한다. 이러한 방식을 적용시킨다면 매번 모니터링이 필요한 구역에 새로 보안카메라를 설치하거나 배선공사하는 불편함 없이 하나의 Drone 하드웨어를 이용한 전방위 모니터링이 가능해 질 것으로 기대한다.

기업 비밀정보 유출 방지 및 보호 관점에서의 디지털 복합기 보안 기술 동향 분석

  • 이광우;김승주
    • 정보보호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47-55
    • /
    • 2010
  • 최근 주요 기업에서 기업 비밀정보가 유출되는 보안사고가 빈번히 발생함에 따라, 기업의 비밀정보 유출 방지 및 보호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기업 비밀정보의 유출은 해당 기업뿐만 아니라 국가적으로도 막대한 손실을 초래할 수 있다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각 기업에서는 보호구역의 설정, 출입허가 또는 출입시 휴대품 검사 등의 물리적인 유출 차단 방법을 구축하고 있으며, 기업 기밀문서에 대해서는 DRM(digital right management)을 활용한 문서유출 방지 및 네트워크 트래픽 차단 등 다양한 방법을 적용하고 있다. 하지만, 전자파일 형태로 존재하는 기밀문서는 인터넷 또는 네트워크에 연결된 PC 및 서버를 통해 전자우편(E-mail), 메신저, 게시판 등으로 쉽게 유출될 수 있어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최근 널리 보급되고 있는 디지털 복합기는 문서 저장을 위한 하드디스크(HDD) 및 네트워크 응용 서비스를 포함하고 있어 다양한 보안 취약점에 노출되어 있다. 따라서 기업 비밀정보 유출 방지와 보호를 위해서는 디지털 복합기에 대한 보안 기술 연구가 필수적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기업 비밀정보 유출 방지 및 보호 관점에서 디지털 복합기 개발 현황을 살펴보고, 보안상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연구되고 있는 디지털 복합기 보안기술에 대한 동향을 살펴보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