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보건진료소

검색결과 106건 처리시간 0.033초

코로나-19 동안 보건진료소에서의 통합형 건강증진 프로그램의 우울, 사회적 지지, 삶의 질에 대한 효과 (Effects of an Integrated Health Improvement Program Based on Primary Health Care Posts on Depression, Social Support and Quality of Life during the COVID-19 Pandemic)

  • 이혜영;김윤경
    • 한국농촌간호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23-33
    • /
    • 2022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effects of an integrated health improvement program for the elderly based on primary health care post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Methods: A single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n=16) was employed to evaluate an integrated health improvement program that took place twice a week for 11 weeks. The program was conducted in a small group of no more than 10 people in compliance with the guidelines to prevent COVID-19 infection. The program consisted of various contents such as making letters using blocks, health education, and talking about one's memorie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Wilcoxon signed rank test. Results: Following the program, social support (Z=-3.50, p<.001) and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Z=-3.74, p<.001) were significantly improved among depression, social support and quality of life. Conclusion: The integrated health improvement program based on primary health care posts, considered in this study, was useful to improve the social support and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in the community, and needs to be applied to a larger number of elderly people throughout the community.

일개 도시·농촌 통합지역 주민의 보건기관 이용경험과 보건서비스 요구도 조사 (A Survey on Utilization of Health Center and Health Service Demand of Residents in a Urban and Rural Unified Community)

  • 임부돌;이주영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25권1호
    • /
    • pp.99-112
    • /
    • 2000
  • 본 조사는 행정구역 통합과 보건기관 시설 및 장비 개선이라는 변화를 겪고 있는 일개 통합 시 지역주민의 보건기관 이용경험과 보건서비스 요구도를 파악하여 지역사회에 적합한 보건사업계획에 필요한 자료를 얻고자 실시하였다. 조사 대상은 1995년 9월 현재 통합 구미시에 거주하는 86,305가구(284,775명) 중 읍 면 동 직원이 가정 방문하여 설문지로 방문 시 면접 가능했던 가구주 혹은 주부와 면담 조사했다. 분석 대상은 결측치가 있는 설문을 제외한 통합 전 도시 지역 67,607가구(220,187명) 중 3,337가구(4.9%)와 통합 전 농촌지역 18,698가구(64,588명) 중 690가구(3.7%)로 총 4,027가구(전체 가구의 4,6%)였다. 조사내용은 응답자의 건강관련 인구학적 특성과 응답자의 보건소 이용경험, 보건서비스에 대한 요구도, 보건지소 및 보건진료소의 필요성 등이다. 응답자의 성 연령 구성, 의료보장, 현주소지에 거주기간, 교육수준 등 건강관련 인구학적 특성에 대해 통합 전 도시와 농촌 지역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급성질환 및 만성질환 유부 빈도는 농촌에서 모두 높았으며 급 만성질환 시 보건기관 이용률도 농촌지역에서 높았다. 과거 한번 이상 보건소를 이용한 경험률은 도시지역주민 64.8%, 농촌지역주민 55.6%이고, 이용한 보건의료서비스는 도시지역은 예방접종, 농촌지역은 일반진료가 가장 많고, 보건소 사업 중 가장 강화되기 바라는 사업은 양쪽 지역 모두 전염병 예방사업이었다. 순회진료 및 가정간호서비스에 대한 찬성률은 90%이상이고 보건지소와 보건진료소에 기대하는 사업은 노인을 중심으로 건강상담이 가장 많았다. 농촌지역에서는 보건지소에 대하여 90.3%가 필요한 것으로, 보건진료소에 대하여 88.3%가 필요하다고 답하였고, 도시지역에서는 주민의 86.0%가 도시 보건지소 설치가 필요하다고 답하였다. 위의 결과에 따르면 지역주민들은 보건기관이 지속적으로 필요하다고 생각하나 그 주 기능은 기존의 전염병관리사업으로 인식하고 있다. 도시지역은 예방접종을, 농촌지역은 일반진료를 위해 보건기관을 가장 많이 이용하고 있으며 보건교육, 건강상담, 순회진료, 가정간호서비스 등을 많이 기대하고 있다. 따라서 지역주민의 보건기관 이용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도시지역과 농촌지역의 보건관련 인구학적 특성과 주민의 요구에 적합한 보건사업을 개발하여 추진하고 보건사업의 질적 향상을 꾀하여야겠다.

  • PDF

보건진료원 업무활동의 시대에 따른 비교 (Comparison in the Time of Community Health Practitioners's Operating Activity)

  • 염정호;권근상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29권1호
    • /
    • pp.91-100
    • /
    • 2004
  • 시대의 변천에 따라 보건진료원의 업무활동 내용의 변화를 전라북도내에 근무하는 보건진료원을 대상으로 비교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보건진료원의 수는 1989년 255명에서 2000년 224명으로 감소하였다. 2) 보건진료원의 일반적 특성은 1989년에 비하여 2000년에 연령, 기혼자, 근무경력이 증가하였다. 3) 보건진료원의 시간별 업무량은 1989년과 2000년 모두 진료업무가 가장 높았고, 1989년에 비해 2000년에는 모성보건, 영 유아보건, 가족계획, 진료업무, 결핵관리가 현저히 감소하였으며, 2000년에는 업무시간에 지역사회보건정보수집이 새롭게 추가된 것으로 조사되었다. 4) 1일 평균 진료환자 수 및 주민과의 친밀도는 1989년보다 2000년에 증가하였다. 근무에 대한 만족도는 1989년에 보통이다, 괜찮은 직업이라 생각한다, 보람을 느끼고 있다 라고 응답한 경우가 36.6%, 37.4%, 17.6% 이었던 반면에 2000년에는 11.6%, 22.6%, 56.8%로 보람을 느끼고 있다 고 응답한 경우가 증가하였다. 5) 지역사회의 실정을 감안할 때 가장 필요한 업무라고 응답 한 경우 진료업무가 57.7%이었으며, 보건교육이 31.4%, 지역사회보건정보수집이 10.9%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불필요한 업무로는 가족계획이 68.8%로 가장 높았고, 결핵관리 11.1 %, 영 유아보건 6.3%, 모성보건 5.6%순으로 조사되었다. 6) 보건진료소 이용도 감소 시 가장 바람직한 방안으로는 새로운 보건기능을 수행하는 기관으로 전환이 79.0% 이었으며, 기타(가정방문, 만성질환 및 노인환자 건강관리)가 12.3%로 조사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보건진료원은 본인의 직능에 대하여 지역사회주민의 접근성 및 친밀도가 높고 직업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업무는 시대의 변화에 따라 감소하는 추세이고, 지역주민의 보건진료소 이용 감소 시 보건진료원은 새로운 보건기능을 수행하는 기관으로 전환을 원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러므로 보건진료소의 현 실태를 정확히 인식하고, 보건진료원의 장점, 즉 지역사회에 대한 높은 접근성과 친밀도 및 전문성을 도대로 공공보건사업 기능이 강화된 새로운 역할을 모색함이 바람직하다고 판단된다.

  • PDF

보건진료소 중심의 주민 맞춤형 통합건강증진프로그램의 효과분석 (Analysis of the Effect of a Resident-tailored Integrated health Promotion Program based on the Primary Health Care Post)

  • 임정미;박현희;장숙랑
    • 한국농촌간호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75-92
    • /
    • 2015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n integrated health promotion program provided by one community health post by comparing this program with more traditional health promotion programs provided by other institutions. Methods: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110 selected local residents from I city. Of them, 55 residents participated in the integrated health promotion program in the community health post, and the other 55 participated in a program at another institution. SPSS 21.0 was used for descriptive analysis. Result: Scores for program effects, satisfaction level, quality of life related to health and depression were higher for the integrated health promotion program offered by the community health post compared to health promotion programs of the other institution. The differenc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e study indicate that the integrated health promotion program can be helpful for community health posts in being successful in future plans to meet the needs of residents. Use of this program will als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community health posts but sustained research efforts need to be channeled into these programs.

의료기관 정보보호 인식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연구 (Curriculum study of information security awareness for medical institution)

  • 김동원;한근희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19권4호
    • /
    • pp.151-163
    • /
    • 2019
  • 세계적으로 의료분야는 스마트기기의 확산과 통신 기술의 발달로 매우 빠르게 발전하게 됨에 따라 의료보안 문제가 전면으로 대두되고 있다. 또한 진료정보교류로 개인의 민감한 의료정보가 네트워크 상에서 상호 교환되기 때문에 발생 가능한 보안위험이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보건소, 보건지소, 보건진료소, 1차, 2차, 3차 병의원 등에서 운용하고 있는 의료기기와 의료시스템을 현장에서 검증한 결과를 토대로 NCS(National Competency Standards)와 국제표준, 의료기관 요구사항, 교육기관의 정보보호 학습모델을 참조하여 의료기관의 정보보호 인식교육을 위한 교육과정을 개발하였다. 이를 의료기관 종사자와 ICT 전문가 집단을 통한 타당성 검증을 진행하여 교육을 통한 의료기관의 정보보호 수준향상을 위한 방법을 연구 제안한다.

보건진료소의 고혈압예방 및 관리사업 평가도구 개발 (Development an Evaluation Tool for Evaluation of Hypertension Prevention and Management Program in Community Health Posts)

  • 조원정;권명순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97-208
    • /
    • 2004
  • Purpose: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effective evaluation tool for evaluation of hypertension prevention and management program(HPMP) in community health posts (CHPs). Method: Evaluation tool composed from the literature review, the field visiting, and the in-depth interviews with the community health practitioners. Result: The evaluation tool had four domains, each with different maximum points:, hypertension prevention (35), hypertension management (40), environment of the CHPs(10), and evaluation system of the HPMP(15). The first domain was hypertension prevention with sub-domains of health education, and early detection of patients with hypertension. The second domain was hypertension management with sub-domains of management of health records of patients, education and counseling, and treatment and follow-up of patients. The third domain was the environment of the CHPs with subdomains of accessibility of CHPs to residents, accessibility of general health data to the public, and availability of health information to the public by multimedia. The fourth domain was the evaluation system of the HPMP with the subdomains of planning of program, formative evaluation, process evaluation, and summative evaluation. Conclusion: The newly developed evaluation tool will contribute not only to plan and set goals for evaluation of HPMP in CHPs.

  • PDF

보건진료전담공무원의 업무분석과 직무만족도 (Working Patterns and Job Satisfaction in Primary Health Practitioners)

  • 김진학;송민선
    • 가정간호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69-78
    • /
    • 2017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frequency and duration of primary health practitioners' work, and their job satisfaction, and to confirm differences in work and job satisfaction by type of primary health care post. Methods: Work frequency, duration of work, and job satisfaction were estimated by 371 primary health practitioners. Chi-square test and t-test were used to identify the differences in working patterns and job satisfaction by type of primary health care post. Results: Primary health practitioners were found to spend more time working with the elderly population than with students, pregnant women, children,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multicultural families. Those in costal areas were more concerned with students than those working inland. In the latter group of practitioners, more time was spent working with patients with chronic diseases, pregnant women, women, children, multicultural families, and mental health clients. Also, the job satisfaction of inland primary health practitioner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costal practitioners.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primary health practitioners' work, focusing on changes in the medical service environment. Furthermore, it is necessary to provide job training according to type of primary health care post, as practitioners' approaches should differ between posts.

에꽈돌국 과야스주 빨말 본당 지역 주민의 장내 기생충 감염상태 (Status of intestinal parasite infections in inhabitants of Palmar, Guavas Province, Ecuador)

  • 조승열;김중호;박성학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8권2호
    • /
    • pp.109-114
    • /
    • 1990
  • 한국 가톨릭의사협회는 남미 에꽈돌국 과야스주의 해안 지방인 빨말 본당에서 운영하는 "빠띠마 성녀 기념 본당 진료소"의 의료사업을 지원하고 있다. 그 사업의 하나로 이 지역 메스띠조인의 보건 실태를 관찰하고 앞으로의 중점 보건 사업을 파악하기 의하여 1989년 8월 6일부터 8월 19일까지 주민 진료와 합께 대변검사를 실시하고 기생충 감염 실태를 조사하였다. 이 지역은 동부 태평양에 연한 해안 어촌 마을인 빨말(본당), 아양게, 함벨리(공소)와 해안에서 떨어져 있고 목축을 주업으로 하는 바빌 데세초, 리오세꼬, 밤빌꼬자오, 마난띠 알 데 꼴론체 및 세비자 등 공소마을로 구성되어 있고 주민은 모두 약 20,000명으로 추산된다. 대변검사는 직접 도말법(요드염색 후) 1매와 셀로판후층도말법 1매를 각각 검경하여 장내 원충 포낭 및 윤충 충란 배출을 검사하였다. 검사 대상자는 진료소를 찾은 주민이며 빨말 본당 지역의 주민 160명을 포함한 해안 마을 주민 226명과 내륙 공소 마을 주민 99명 등 모두 325명이었다. 대변검사 결과 충란 및 포낭 양성률이 66.1%이었고 윤충 충란 양성률은 38.2%, 원충 포낭 양성률은 56.1%이었다. 기생충별 양성률은 회충 18.1%, 편충 19.4%, 구충 0.6%, 왜소조충 3.7%, 유구 및 무구조충 1.8%, 이질아메바 19.4%, 대장아메바 28.6%, 소형아매바 5.5%, 요드아메바 1.5%, 람블편모충 11.1%, 킬로마스틱 스메니리 0.6%이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이 지역에서 가장 중요한 기생충 감염은 이질 아메바와 람블편모충이며 따라서 위생적인 식수를 마련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보건사업이라고 판단되었다. 목축을 주로 하는 내륙 마을중에는 조충증과 유구낭미충증이 유행하는 지역이 있었다.

  • PDF

지역별 보건진료 전담공무원의 코로나 19 대응 현황과 지식, 태도, 지지도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the Current State of Response to COVID-19, Knowledge, Attitudes, and Support of Local Public Health Care Practitioners)

  • 임은실;서인주;김순구
    • 한국농촌간호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57-65
    • /
    • 2020
  • Purpose: The study was done to compare the status of dispatch of public officials in charge of health care in response to COVID-19 according to location of primary health care posts and the practitioners' knowledge, attitude and support related to COVID-19. Methods: Among the 193 practitioners surveyed, 175 people in Chungcheong-do, Jeolla-do and Gyeongsang-do were selected for final analysis according to work status and differences in knowledge, attitude and support. Data were analyzed using χ2 and one-way ANOVA, followed by a Scheffé-test. Result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y region in the number of days and places for dispatch teams to respond to COVID-19.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support, the overall score was low, but Gyeongsang-do, which had the longest number of dispatch days due the occurrence of a large-scale confirmation of patients, showed higher support compared to other regions. Knowledge of COVID-19 was high, but there were no regional differences. Conclusion: Regarding performance of COVID-19 response tasks, the support level was low, indicating that psychological support and appropriate compensation from the local government are required.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prepare a system for the provision of alternative services to prevent a work gap in health clinics.

보건진료소 관할 도시근교 농촌지역 주민의 농부증과 삶의 질의 관계 (The Relation between Farmers' Syndrome and Quality of Life of Residents in Suburban Area)

  • 박인혜;주애란;김윤경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495-505
    • /
    • 2008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relation between farmers' syndrome and the quality of life of residents in suburban areas. Methods: A total of 994 subjects were selected through simple random sampling. Data were collected from June 25 to August 31, 2007. Data analysis included frequency, $X^2$-test, Fisher's exact test, t-test, ANOVA, Duncan test,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using SPSS Win 12.0. Results: 1. Analysis of farmers' syndrome showed tha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age, gender, education, living with, family conversation, health security, monthly income, occupation, general health status, systolic blood pressure, and sleeping time. 2. Analysis of the qualify of life showed tha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age, education, religion, family conversation, health security, monthly income, occupation, and sleeping time. 3. Farmers' syndrome was in a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ion with quality of life. Conclusions: Considering the results above, we need to develop nursing interventions for decreasing hypertension, high blood sugar, and farmers' syndrome of residents in suburban area.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