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urvey on Utilization of Health Center and Health Service Demand of Residents in a Urban and Rural Unified Community

일개 도시·농촌 통합지역 주민의 보건기관 이용경험과 보건서비스 요구도 조사

  • Lim, Bu-Doll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School of Medicine, Catholic University of Taegu-Hyosung) ;
  • Lee, Ju-Young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School of Medicine, Catholic University of Taegu-Hyosung)
  • 임부돌 (대구효성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 이주영 (대구효성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Published : 2000.06.30

Abstract

This survey was conducted to assess the utilization of health center including health sub-center and community health post and the health service demand of residents in a urban and rural unified community. Officials in Up·Myun·Dong offices visited randomly sampled 4,027 households(4.6% of total households in unified City) which included 3,337 households in urban area(4.9% of total households) and 690 households in rural area(3.7% of total households) and interviewed with heads or housewives of the households in September, 1995.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health-relate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including age-sex distribution, educational level, period of residence in the community and medical insurance status of the interviewees between urban and rural areas. Of the respondents, 64.8% in urban area and 55.6% in rural replied that they had utilized the health center in the past. The most common purpose for visiting the health center was to get vaccination in urban area and to get outpatient care in rural area. The top priority health center activity that needs to be reinforced was communicable disease control and over 90% of the respondents preferred to have mobile clinic and home health care service in were also highly demanded. Eighty-six percent of the urban respondents replied that a health sub-center must be established in urban area. In the rural area, 90.3% of the respondents replied that they wanted to maintain the health sub-center and 88.3% wanted to maintain the community health post. Along with the improvement of facilities and equipments of the health center by Rural Health Service Improvement Project, new health service programs must be developed to meet the demand of the community.

본 조사는 행정구역 통합과 보건기관 시설 및 장비 개선이라는 변화를 겪고 있는 일개 통합 시 지역주민의 보건기관 이용경험과 보건서비스 요구도를 파악하여 지역사회에 적합한 보건사업계획에 필요한 자료를 얻고자 실시하였다. 조사 대상은 1995년 9월 현재 통합 구미시에 거주하는 86,305가구(284,775명) 중 읍 면 동 직원이 가정 방문하여 설문지로 방문 시 면접 가능했던 가구주 혹은 주부와 면담 조사했다. 분석 대상은 결측치가 있는 설문을 제외한 통합 전 도시 지역 67,607가구(220,187명) 중 3,337가구(4.9%)와 통합 전 농촌지역 18,698가구(64,588명) 중 690가구(3.7%)로 총 4,027가구(전체 가구의 4,6%)였다. 조사내용은 응답자의 건강관련 인구학적 특성과 응답자의 보건소 이용경험, 보건서비스에 대한 요구도, 보건지소 및 보건진료소의 필요성 등이다. 응답자의 성 연령 구성, 의료보장, 현주소지에 거주기간, 교육수준 등 건강관련 인구학적 특성에 대해 통합 전 도시와 농촌 지역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급성질환 및 만성질환 유부 빈도는 농촌에서 모두 높았으며 급 만성질환 시 보건기관 이용률도 농촌지역에서 높았다. 과거 한번 이상 보건소를 이용한 경험률은 도시지역주민 64.8%, 농촌지역주민 55.6%이고, 이용한 보건의료서비스는 도시지역은 예방접종, 농촌지역은 일반진료가 가장 많고, 보건소 사업 중 가장 강화되기 바라는 사업은 양쪽 지역 모두 전염병 예방사업이었다. 순회진료 및 가정간호서비스에 대한 찬성률은 90%이상이고 보건지소와 보건진료소에 기대하는 사업은 노인을 중심으로 건강상담이 가장 많았다. 농촌지역에서는 보건지소에 대하여 90.3%가 필요한 것으로, 보건진료소에 대하여 88.3%가 필요하다고 답하였고, 도시지역에서는 주민의 86.0%가 도시 보건지소 설치가 필요하다고 답하였다. 위의 결과에 따르면 지역주민들은 보건기관이 지속적으로 필요하다고 생각하나 그 주 기능은 기존의 전염병관리사업으로 인식하고 있다. 도시지역은 예방접종을, 농촌지역은 일반진료를 위해 보건기관을 가장 많이 이용하고 있으며 보건교육, 건강상담, 순회진료, 가정간호서비스 등을 많이 기대하고 있다. 따라서 지역주민의 보건기관 이용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도시지역과 농촌지역의 보건관련 인구학적 특성과 주민의 요구에 적합한 보건사업을 개발하여 추진하고 보건사업의 질적 향상을 꾀하여야겠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