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보강 섬유

검색결과 1,623건 처리시간 0.024초

방화석고보드를 부착한 고강도 콘크리트 기둥의 내화성능 (Fire Resistance Performance of High Strength Concrete Columns with Fireproof Gypsum Board)

  • 염광수;전현규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2권2호
    • /
    • pp.229-235
    • /
    • 2010
  • 기존 건축물의 내화성능 보강과 화재 후 손상을 입은 구조물의 보수에 사용하기 위해 방화석고보드의 두께, 방화석고보드 적용에 따른 면적증가를 최소화하기 위한 시공방법, 종류 그리고 피복두께를 변화시켜 고강도 콘크리트의 내화성능을 평가하였다. 동일하게 제작한 8기의 고강도 콘크리트 기둥에 ISO-834 화재곡선에 따라 180분 내화시험을 실시하여 종방향철근 온도와 콘크리트의 깊이별 온도분포, 방화석고보드의 형상유지성능, 그리고 폭렬발생여부 등의 내화성능을 평가하였다. 15 mm 2장의 방화석고보드를 붙인 실험체의 경우 시공방법에 상관없이 보드가 탈락하여 폭렬이 발생하였다. 하지만, 두께가 30 mm인 경우에는 방화석고보드의 형상유지력이 손실되지 않으면 폭렬방지 및 온도제어가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폭렬발생으로 콘크리트 피복두께에 따른 효과는 비교할 수 없었으며, 보드 시공법에 따른 내화성능의 차이는 미미하다고 판단되었다.

유리섬유 보강재로 제작한 레진의치의 온성 전·후에 따른 정확성 평가 (Accuracy evaluation of resin complete denture made with glass fiber mesh reinforcement before and after curing)

  • 김동연;정일도;박진영;강신영;김지환;김웅철
    • 대한치과기공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25-33
    • /
    • 2017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accuracy of glass fiber mesh complete denture of before and after curing. Methods: Edentulous model was selected as the master model. Ten study models were made by Type IV stone. Wax complete dentures were produced by the denture base and artificial teeth. CD and GD groups were measured six measurement distance before curing. The wax complete denture was investment after measurement is completed. Using a heat polymerization resin was injected resin. After injecting the resin it was curing. A complete denture was re-measured after curing. The measured data was verified by paired t-test. Results: Overall CD group was larger the value of the measured length. In the CD group, A-D point was larger. The smallest point was the B-D point. However,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nly C-D point(p>0.05). In the GD group, A-B point was larger. but B-D point was the smallest. A-D and B-C statistically poin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p<0.05). Conclusion: Glass fiber mesh resin complete denture can be clinically applied to the edentulous patient.

구조용집성재보와 콘크리트슬래브로 구성된 합성보의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y of composite beams consisting structural laminated timber beam with concrete slab)

  • 안현진;김순철;문연준;양일승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8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제20권1호
    • /
    • pp.233-236
    • /
    • 2008
  • 구조재로서 목재는 자연에서 쉽게 얻을 수 있는 재료로서 뛰어난 미관, 가공성 등으로 인해 전통가옥이나 사찰 등에 널리 사용되어져 왔지만, 콘크리트나 강재에 비해 연소와 부식의 우려 등 내구성에 문제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목재를 구조부재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타 재료와의 하이브리드화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구조용집성재보(100${\times}$200${\times}$3000(mm)), 콘크리트슬래브(800${\times}$100${\times}$3000(mm), fck=21MPa) 및 전단연결재(볼트, 래그스크류)로 구성된 합성보의 탄소성거동을 평가하기 위하여 구조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결과, 전단연결재의 종류와 간격에 무관하게 항복비(항복내력/최대내력)가 크고, 항복 후에는 바로 취성파괴로 연계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취성파괴를 방지할 수 있는 휨보강(철근, 섬유쉬트 등)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전단연결재 배치간격이 좁을수록 합성효과가 우수하여 사용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경제적 설계와 재료의 효율적 사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고무 공기 스프링용 CR/Nylon 6 코드 고무 슬리브에 대한 연구 (Research on CR/Nylon 6 Cord Rubber Sleeve of Rubber Air Spring)

  • 서재찬;김대진;박해윤;서관호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49권4호
    • /
    • pp.293-304
    • /
    • 2014
  • 고무 공기 스프링(rubber air spring)은 자동차, 철도차량 등 수송기기의 서스펜션 장치로 사용되고 있다. 고무 공기 스프링은 고무 에어백의 압축과 팽창을 통한 탄성효과로 스프링의 역할을 한다. 고무 공기 스프링의 주요 구성요소 중 하나가 고무 슬리브(rubber sleeve)이다. 고무 슬리브는 주요 구성성분인 클로로프렌 고무와 나일론 6 코드 간의 접착이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첨가제의 영향을 고려한 고무 슬리브의 최적 배합조성과 조건을 찾기 위해 다양한 물성시험을 하였다. 또한, 보강섬유의 최적 배향을 선정하기 위해 유한요소해석법을 이용한 수치해석을 수행하였다. 고무 공기 스프링을 제조하여 실제 차량에 장착하여 기초물성과 피로수명 및 기밀성을 시험하였다.

지하주차장 무근콘크리트 컬링제어를 위한 연구 (Study for Curling Control of Plain Concrete in Underground Parking Lot)

  • 서태석;최훈제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243-249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건축구조물의 지하주차장 무근콘크리트의 컬링제어를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국내의 경우, 지하주차장 무근콘크리트의 수축균열을 제어하기 위해 섬유보강제가 사용되고 있지만, 수축균열과 컬링변형 제어에는 큰 도움이 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므로, 수축균열과 컬링 변형을 최소화하는 방안으로 수축저감제 (Shrinkage Reducing Agent: 글리콜 기반의 수축저감제, 이하 SRA)를 사용하였다. 또한 정량적인 컬링제어를 위하여 무근콘크리트를 켄티레버 보로 가정하여 처짐이론을 적용한 간이예측기술을 제안하였으며, 실측값과 비교하여 컬링변형 예측의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SRA 1.0% 콘크리트가 SRA 0.0% 콘크리트보다 컬링 변형이 30% 정도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전반적으로 켄틸레버 보의 처짐이론으로 무근 콘크리트의 컬링변형을 예측하는 것이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초고성능 콘크리트와 고연성 무시멘트 복합재료의 압축 및 인장성능 (Compressive Strength and Tensile Behavior of Ultra-High Performance Concrete and High-Ductile Cementless Composite)

  • 최정일;박세언;이방연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21권3호
    • /
    • pp.69-75
    • /
    • 2017
  • 초고성능 콘크리트와 고연성 무시멘트 복합재료는 높은 압축강도 및 높은 연성 등 재료의 우수한 성능으로 인하여 유망한 건설재료로 분류되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초고성능 콘크리트와 고연성 무시멘트 복합재료의 압축강도와 인장거동에 대하여 실험적으로 조사하여 성능을 비교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밀도, 압축강도, 일축인장실험 등 일련의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결과 알칼리 활성 슬래그 기반 고연성 무시멘트 복합재료의 압축강도와 인장강도는 초고성능 콘크리트의 압축강도와 인장강도에 비하여 낮게 나타났지만, 인장하중 하에서 알칼리 활성 슬래그 기반 고연성 무시멘트 복합재료의 인장변형성능 및 인성은 초고성능 콘크리트의 인장변형성능 및 인성에 비하여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알칼리 활성 슬래그 기반 무시멘트 페이스트에 폴리에틸렌섬유를 보강하여 7.89 %에 달하는 높은 인장변형성능을 확보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석회석 미분말을 혼입한 초고성능 섬유보강 시멘트복합재의 특성 (Properties of Ultra High Performance Fiber Reinforced Cementitious Composites Mixed with Limestone Powder)

  • 한상묵;오향국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8권2호
    • /
    • pp.23-30
    • /
    • 2008
  • UHPCC는 고성능, 고강도와 우수한 역학적 특성을 지니고 있다. UHPCC는 동일한 하중 하에서 타 재료에 비해 단면을 축소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보통콘크리트에 비해 외국에서 수입하는 실리카흄이 많이 사용되는 배합이 되어 제작비용을 증가시키는 원인이 된다. 최밀 충전구성에 의한 UHPCC의 우수한 역학적 특성은 분체에 해당되는 아주 가는 입경의 골재를 치환함으로서 변화시킬 수 있다. 본 연구는 실리카흄과 실리카플로우를 석회석 미분말로 치환된 UHPCC의 특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본 실험 시편은 치환종류에 따라 크게 세 가지로 분류한다. 압축강도와 플로우를 비교 검토하였으며, SEM, XRD와 NMR 방법등을 사용하여 미세조직과 수화반응 현상을 분석하였다. 결론적으로 석회석 미분말로의 치환은 UHPCC 구조부재의 시공 단가를 감소시키며, 굳지 않은 UHPCC의 특성을 향상시키는 유용한 치환이 된다고 볼 수 있다.

압축강도와 팽창재 대체에 따른 폴리에틸렌 합성섬유로 보강된 변형 경화형 시멘트 복합체의 역학적 특성 (Influence of Cement Matrix's Compressive Strength and Replacement of Expansive Admixture on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Synthetic Polyethylene (PE) Fiber-Reinforced Strain-Hardening Cement-Based Composites (SHCCs))

  • 송영재;윤현도;민병성;육향 혜철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16권2호
    • /
    • pp.95-103
    • /
    • 2012
  • 변형경화형 시멘트 복합체(SHCC)는 직접인장 상황에서 FRCCs에 비해 우수한 변형경화 특성을 갖는 재료이다. 하지만 SHCC는 일반적인 콘크리트에 비해서 시멘트비율이 높은 부배합 이며, 이에 따라서 자기수축이 큰 특성을 갖는 재료이다. 따라서 시멘트 복합체 내에 팽창재를 대체함으로써 수축저감을 통한 성능향상을 기대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각 강도별 SHCC의 배합에 팽창재를 대체함에 따른 역학적특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시험결과 설계기준 압축강도 70MPa 배합이 압축, 인장, 휨, 시험에서 우수한 역학적 특성을 나타내었으며, 균열 특성에서는 팽창재를 대체한 SHCC가 균열분산 및 연성에서 우수한 특성을 나타내었다.

직접블렌딩 방법을 이용한 SBR-나일론 접착 연구 (Adhesion Study of SBR-Nylon by Direct Blending Technique)

  • 정경호;강도균;윤태호;강신영
    • 접착 및 계면
    • /
    • 제1권1호
    • /
    • pp.30-37
    • /
    • 2000
  • 고무-섬유로 이루어진 고무복합체 제조공정을 단순화하기 위한 직접블렌딩 기술을 본 연구에서 제시하였다. 직접블렌딩 방법은 레소시놀, 헥사메틸테트라민, NaOH로 이루어진 결합체를 고무혼합물 배합공정에 직접 혼합하여 보강섬율의 접착제 처리공정을 생략할 수 있는 방법이다. 이러한 직접블렌딩 메커니즘을 규명하기 위해 결합체를 직접 고무혼합물에 블렌딩한 경우와(Case I) 결합체를 수용액 상에서 반응시켜 경화물을 얻은 후 이를 분쇄하여 고무혼합물에 배합하는 경우를(Case II) 비교하였다. 모폴로지 분석결과에 의하면 Case II의 경우 결합체와 매트릭스 고무 사이에 뚜렷한 계면이 발생하였지만, Case I의 경우 적절한 가공조건 아래서 결합제와 매트릭스 고무 사이의 반응에 의해 새로운 상이 생성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SBR-나일론 고무복합체의 최적 성능을 위한 결합제의 최적 조성은 레소시놀과 헥사메틸렌테트라민의 mole비가 1.2:1인, 즉 레소시놀과 포름알데히드의 mole비가 1:5인 조성이었다.

  • PDF

하악 총의치 전용의 유리섬유 보강재 적용에 따른 적합도 비교 분석 (Evaluation of fitness according to application of glass fiber reinforcement for lower jaw complete denture)

  • 김동연;박진영;배소연;강후원;김지환;김웅철
    • 대한치과기공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201-207
    • /
    • 2018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fitness of lower jaw compete denture with glass fiber. Methods: Lower jaw edentulous model was selected as the master model. Ten study models were produced using Type IV stone(n=10). Lower jaw trial dentures were produced by the wax denture base and artificial teeth. Conventional complete denture (CD) group was fabricated by excluding glass fiber reinforcement (n=5). Glass fiber complete denture (GD) group was fabricated with glass fiber reinforcement (n=5). The lower jaw trial complete denture was invested using a plaster. PMMA resin was injected and curing was performed. The CD and GD groups measured the fit using silicone replica technology. The measured data was verified by t-test. Results: The anterior area of the CD group showed the smallest value.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nterior area of the CD group and the GD group (p<0.05), bu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osterior area (p>0.05). Conclusion : Complete denture with glass fiber showed low fitness and further study is needed to apply it clinical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