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병징

검색결과 443건 처리시간 0.024초

콩나물 부패를 일으키는 Fusarium spp.의 동정과 병태조직학적 관찰 (Histopathological Observation and Identification of Fusarium spp. Causing Soybean Sporut Rot)

  • 오병준;박원목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471-475
    • /
    • 1996
  • 콩나물의 생육부진과 부패는 콩나물 재배에 중요한 제한요인이다. 콩나물 부패 병원 진균으로 Fusarium moniliforme, F. oxysporum과 F. solani를 분리 동정하였다. 이들은 종자 발아 후 3∼5일이 지난후 콩나물의 중간 이하에 연한 갈색의 외부 병징을 만들며 발아 후 6∼7일 경에 병징이 더욱 진전하여 진한 갈색의 외부 병징을 나타냄으로써 콩나물에 대한 병원성이 인정되었다. Hand-section과 microtome-section에 의한 병태 조직학적 관찰에서 F. oxysporum 접종 후 4일이 경과하여 초기 병징을 보인 조직에서 균사가 피층, 세포간극, 목부, 사부, 수에 분포하고 있음이 관찰되었다.

  • PDF

팥에 발생하는 바이러스 분리 동정 (Identification of Virus from Azuki Bean Plant)

  • 허남기;강문석;하건수;김혜자;최장경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160-165
    • /
    • 1997
  • 팥 바이러스병에 대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병징의 유형과 생육 단계별 감량정도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 병징 유형별 바이러스를 분리 동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팥에 발생되는 바이러스병의 병징은 크게 mosaic, yellow mosaic 및 severe mosaic의 3가지 군으로 분류되었으며 병징별 분포는 mosaic>severe mosaic>yellow mosaic 순이었다. 2. 성숙기까지 매개충 차단 재배시의 이병률은 1.5%(방임구 20.7%)로서 생육 후기에 감량될수록 이병률이 낮았으며 10a당 수량도 171kg으로서 방임구에 비하여 45% 증수되었다. 3. 지표식물 검정 결과 mosaic 유형은 CMV, yellow mosaic 유형은 AMV, severe mosaic 유형은 AzMV의 기주범위와 유사하였다. 4. 항혈청에 의한 각 병징별 반응결과 yellow mosaic 유형의 시요는 AMV 항 혈청과 mosaic 유형의 시요는 CMV의 항혈청과 침강선이 형성되어 각각 AMV 및 CMV의 한 계통으로 판정되었다. 5. 병징 유형별 전자현미경 관찰결과 yellow mosaic유형은 18~58$\times$18nm의 타원형 입자가 다수 관찰되었고 mosaic 증상의 시요에서는 직경 30nm의 구형 입자, severe mosaic병징의 시요에서는 730$\times$12nm의 사상형 입자와 봉입자가 관찰되었다.

  • PDF

감자바이러스 Y 계통분류를 위한 판별 식물 (Classification of Potato Virus Y Strains based on Reactions of Differential Plants)

  • 박은경;최장경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203-208
    • /
    • 1984
  • 잎담배 4품종 (NC2326, NC95, NC744, Havana)과 2종의 식물 (Nicotiana repanda Wild., Physalis floridana Rydb.)을 이용하여 감자 또는 잎담배에서 분리된 10가지의 감자바이러스 Y (PVY) 계통 판별을 시도하였다. 10가지의 PVY 계통들을 이 식물들에 접종했을 때 괴저, 엽맥녹대 또는 mottling, 무병징등을 나타내면서 서로 다른 기주반응을 보여 쉽게 구분할 수 있었다. 조사된 계통들 중에 PVY-VN, PVY-N, PVY-NSNR, PVY-Chile 및 PVY-Argentina 등은 잎담배 품종 NC2326에서 괴저병징을 나타냈으며 이외 계통들은 엽맥녹대 또는 mottling 병징을 나타냈다. NC95에서는 PVY-MSMR에 의해 괴저병징을 이 외 계통들에 의해서는 엽맥녹대 또는 mottling 병징을 나타냈다. Havana에서는 PVY-NSNR, PVY-MSNR, PVY-VB 등에 의해 nettling 병징을, PVY-Chile 및 PVY-Argentina에 의해 괴저병징을 나타냈으나 이 외의 계통들에 의해서는 병징이 나타나지 않았다. NC744에서는 PVY-MSNR, PVY-MSMR에 의해 mottling 병징을, PVY-Chi 및 PVY-Argentina에 의해 괴저병징을 나타냈으며 이 외의 계통들에 의해서는 병징을 나타내지 않았다. N. repanda에서는 PVY-Argentina에 의해 괴저 반응을, PVY-VN 및 PVY-C에 의해서는 병징을 나타내지 않았으며 이 외의 계통들에 의해서는 mottling 병징을 나타냈다.

  • PDF

Pseudocercospora cymbidiicola에 의한 심비디움 검은잎마름병 (Sooty Leaf Blight of Cymbidium spp. Caused by Pseudocercospora cymbidiicola)

  • 한경숙;박종한;이중섭;정승룡
    • 식물병연구
    • /
    • 제13권2호
    • /
    • pp.126-129
    • /
    • 2007
  • [ $2005{\sim}2006$ ]년 경기도 안성시와 화성시의 심비디움 재배 농가로부터 잎 뒷면에 검은색 구름덩이 모양의 병반을 형성하고, 잎의 앞면에는 원형 내지 타원형의 황색병반을 나타내는 병징이 관찰되었다. 병징이 진전되어 병반이 합쳐지면서 잎 전체가 황색의 원형 병반을 이루고, 잎 뒷면에서도 검은색 구름덩이가 합쳐져 그을음모양(sooty spot)을 나타낸다. 병징이 오래되면 잎 조직은 기능이 저하되어 결국은 암갈색 내지 검은색으로 변하며 잎이 마르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심비디움에 발생한 검은잎마름병의 병징을 관찰하고, 병반에서 분리한 병원균의 균학적 특징을 조사한 결과 Pseudocercospora cymbidiicola로 동정되었으며 병원성 검정 결과 자연상태와 동일한 병징을 확인할 수 있었으므로 이 병을 Pseudocercospora cymbidiicola에 의한 심비디움검은잎마름병으로 명명할 것을 제안한다.

2006년과 2007년 상주와 구례에서 발생한 오이 바이러스병의 병징 특성 (Symptoms of Cucumber Virus Diseases Occurred in Sangju and Gurye in 2006 and 2007)

  • 조점덕;이중환;고숙주;최홍수;이수헌;최국선;김정수
    • 식물병연구
    • /
    • 제17권2호
    • /
    • pp.196-204
    • /
    • 2011
  • 오이 주요재배지인 상주와 구례에서 오이에 발생하는 바이러스병을 2006년과 2007년에 조사하였다. 경상북도 상주 지역 오이의 병징 발생률은 농가 포장에 따라서 14%에서 90%이었으며 평균 발생률은 46%이었다. 전라남도 구례 지역의 경우 농가 포장에 따라서 9%에서 100%이었으며 평균 발병률은 48%이었다. 주요 발생 바이러스는 CGMMV, ZYMV, PRSV와 WMV2의 4종류였다. 이러한 바이러스는 단독감염과 복합감염 형태로 발생하였다. 2006년과 2007년의 평균 감염률을 보면 단독감염의 경우 ZYMV가 23.5%로 가장 많이 발생하고 있었으며, PRSV가 13.0%, CGMMV가 9.0%, WMV2가 2.0% 순서이었다. 복합감염의 경우에는 2종 바이러스 복합감염이 31.5%, 3종 복합감염이 7.5%, 4종 복합감염이 2.0% 발생하였다. 오이에 발생하고 있는 바이러스 감염형태는 단독감염과 2종 복합감염이 각각 47.7%와 31.5%로 총 88.7%로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오이에 발생한 바이러스의 복합감염으로 많이 발생되는 바이러스로는 ZYMV, CGMMV, PRSV, BBWV2의 순서이었다. 단독감염된 오이의 병징은 다다기 계통이나 취청 계통 오이 모두 비슷한 병징이 나타났으나, CGMMV의 경우 퇴록 반점, 엽맥 퇴록, 엽맥 쭈그러짐 등 매우 다양한 병징이 나타났다. ZYMV는 엽맥 퇴록 병징을 위주로 심한 모자이크 및 기형 병징이 나타났다. 그 이외의 PRSV, WMV-2의 병징은 CGMMV와 ZYMV에 의한 병징에 속하는 비교적 약한 병징이었다.

Satellite RNA 보유 Cucumber mosaic virus(CMV)의 고추 CMV병에 대한 교차방어 효과 (Cross-Protection Effectiveness of Cucumber mosaic virus (CMV) Isolates Associated with Satellite RNA for Prevention of CMV Disease in Pepper Plants)

  • 최장경;성미영;정혜진;홍진성;이상용
    • 식물병연구
    • /
    • 제7권3호
    • /
    • pp.155-163
    • /
    • 2001
  • 기주반응 실험을 통하여 무병징 또는 엷은 병징을 발현하는 satRNA 보유 Paf-CMV 및 Rs2-CMV를 고추 CMV병의 방제를 위한 약독바이러스로 공시하여 교차방어효과를 검정하였다. 공시한 satRNA-CMV는 모두 agar gel diffusion test에서 강독계로 공시한 Mf-CMV의 항원과 융합하는 침강선을 나타내 subgroup I의 혈청 형으로 판단되었다. 이들 약독계 satRNA-CMV의 물리적성질은 내희석성이 $10^{-4}$으로, 강독계 Mf-CMV나 satRNA를 보유하고 있는 Ap-CMV보다 낮게 나타났으나, 내열성 및 내보존성 은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공시한 satRNA의 염기서열을 결정한 결과, Rs2-satRNA는 335염기, Ap-satRNA 347염기, Paf-satNA 386염기로 구성되어 있었다. 이들 염기서열을 이미 보고된 Y-CMV의 satRNA와 비교한 결과, 양 말단 영역 특히 5'말단으로부터 80염기 및 3'말단으로부터 174염기는 안정된 conserved sequence를 나타냈다. 그러나 중간영역의 염기서열에서는 .많은 변이를 나타냈고, 특히 병징과 관련된 domain으로 보고된 영역에서 Paf-satRNA의 염기서열은 다른 계통의 satRNA에 비하여 많은 차이를 보였다. 각 satRNA의 cDNA로부터 전사시킨 transcript RNA를 Mf-CMV의 게놈RNA와 혼합하여 고추에 접종한 결과, 본래의 각 satRNA-CMV를 접종하였을 때와 마찬가지로 Paf-satRNA 및 Rs2-satRNA의 transcript 와 혼합한 Mf-CMV에 감염된 고추의 병징이 약하게 발현되었다. 선발된 약독CMV의 강독계 바이러스에 대한 교차방어효과를 검정하기 위하여 Paf-CMV 및 Rs2-CMV를 접종한 고추와 담배에 강독 Mf-CMV를 challenge한 후 교차방어 지속효과를 검정한 결과, Paf-CMV를 접종한 고추와 담배는 모두 Mf-CMV를 challenge 접종한 3주후까지 병징이 발현되지 않았으나, Rs2-CMV를 접종한 식물은 challenge 2주 후에 약 반수의 개체에서 강독계 병징이 발현되었다. 또한 challenge바이러스의 농도별 교차방어효과에서도 Paf-CMV를 접종한 고추에 정제한 Mf-CMV를 0.2 mg/ml 이하의 농도로 challenge한 경우, 접종 30일이 되었을 때까지 병징이 발현되지 않았으나, Rs2-CMV에서는 일부의 개체에서 병징이 발현되어 강독계에 대한 교차방어의 효과가 일정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한편 고추의 유묘에 약독CMV를 접종한 다음, 포장에 재배하면서 바이러스병징이 발현되는 개체를 조사한 결과, 약독 CMV접종 30-60일 후에 Paf-CMV 접종구에서 1.8-6.4%, Rs2-CMV 접종구에서 8.2-18.3%그리고 무접종구에서 2.7-47.2%의 바이러스병징이 발현됨으로서 Paf-CMV의 강독계 CMV의 감염에 대한 교차방어효과가 안정되고 높게 나타났다..

  • PDF

고추에 엽맥퇴록병을 일으키는 오이 모자이크 바이러스(CMV-VCH)의 특징 (Characteristics of Cucumber mosaic virus-VCH Causing Vein Chlorosis on Red Pepper in Korea)

  • 조점덕;이신호;김정수;최국선;김현란;정봉남;류기현
    • 식물병연구
    • /
    • 제12권3호
    • /
    • pp.226-230
    • /
    • 2006
  • 노지 포장에서 채집한 고추 잎에 바이러스 병징을 나타내는 총 62개 시료 중 32개(52%)시료가 CMV에 감염되었다. CMV에 감염된 32개체 중 22개(68.8%) 시료는 엽맥퇴록 및 엽맥괴저 병징을 나타냈으며 모두 CMV(CMV-VCH)에 단독감염되어 있었다. 생물검정결과 Nicotiana glutinosa에서 접종엽에 엽맥퇴록, 상엽에 엽맥녹대, 엽맥괴저, 순괴저에 이르는 심한 병징을 보였고, N. benthamiana와 N. tabacum cv. 'Ky-57'에서 접종엽에 무병징, 상엽에 엽맥녹대, 기형 및 물집 병징을 일으켰다. 고추 시판품종인 '부강', '마니따' 그리고 '꽈리풋고추' 모두 엽맥퇴록 병징이 나타났으며 후기에는 기형이 되었다. RT-PCR 유전자 진단결과 엽맥퇴록 병징의 시료는 모두 CMV에 감염되었으며, CMV-VCH 바이러스 입자는 약 30 nm의 구형 이었다. 자외선 흡광도는 260nm에서 최고, 242nm에서 최저였으며 핵산과 단백질 비율은 1.71이었다. CMV-VCH의 핵 단백질은 단일 단백질이며 분자량은 24.5kDa 이었다.

순무모자이크바이러스에 대한 무 육종 계통 저항성 평가 (Resistance Evaluation of Radish (Raphanus sativus L.) Inbred Lines against Turnip mosaic virus)

  • 윤주연;최국선;김수;최승국
    • 식물병연구
    • /
    • 제23권1호
    • /
    • pp.60-64
    • /
    • 2017
  • 무(Raphanus sativus L.) 육종 계통들에 대한 순무모자이크 바이러스(Turnip mosaic virus, TuMV) 저항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20개 무 육종계통들의 잎에 순무모자이크바이러스 BR 병원성을 가지는 국내 분리 계통을 즙액 접종하였다. 순무모자이크바이러스를 접종한 무 개체들은 $22^{\circ}C{\pm}3^{\circ}C$에서 재배하였으며 4주 동안 바이러스 병징 발현을 육안으로 조사하여 저항성을 평가하였다. 순무모자이크바이러스 감염에 의해서 무 육종계통들의 다른 병징 발현에 의해 분석한 결과, 16개 무 계통은 약한 모자이크, 모틀링에서 심한 모자이크 전신 병징을 보였으며 감수성으로 판별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순무모자이크바이러스 외피단백질 유전자에 대한 특이적 역전사중합효소연쇄반응에 의하여 확인되어, 순무모자이크바이러스가 병징을 발현시킨 원인이었다. 이와는 다르게 4개 무 육종계통들에서는 모자이크 등 전신 감염 병징이 발현되지 않았으며, 동일한 무 육종 계통들의 개체들에서 8주 동안 병징이 관찰되지 않았다. 역전사중합효소연쇄반응으로 조사한 결과 4개 무 육종 계통들의 상엽들에서 순무모자이크바이러스가 검출되지 않았다. 이런 결과는 4개 무 육종계통들이 순무모자이크바이러스에 대한 강한 저항성을 가지고 있음을 예시해준다.

한국 잎담배에서 분리된 PVY계통 (Two New PVY Strains Isolated from Tobacco Plant in Korea)

  • 박은경;김종진;부경생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209-214
    • /
    • 1984
  • 1980년도부터 우리나라 Burley 종 잎담배산지에서 엽맥에 녹대병상 또는 괴저증상을 나타내는 새로운 병징이 관찰되기 시작하였다. 기주범위조사, 항혈청반응, 물리적성질조사, 복숭아혹진딧물에 의한 전염여부 및 바이러스 입자 관찰을 통해 이들은 서로 병징을 달리하는 PYY의 두가지 계통으로 밝혀졌다. 이 계통들은 잎담배포장에서 자연감염에 의해 나타난 주요병징에 따라 엽맥연대계통 (PVY-VB)과 엽맥괴저계통 (PVY-VN) 으로 명명하였다. PVY 항혈청과 이 계통들의 이병즙액을 반응시킨 결과 양성반응을 나타냈으며 그 반응에서는 두계통간의 차가 없었다. 이들과 병징이 유사한 tobacco etch virus 및 tobacco vein mottling virus 항혈청과의 반응에서는 음성반응을 나타냈다. 전자현미경에 의해 약 730 nm의 사상형 바이러스 입자가 관찰되었으며 그 형태와 크기에는 두 계통간 차가 없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