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병원 추천의향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3초

척추·관절 전문병원의 환자 만족도와 추천 의향 (Patient satisfaction and recommendation intention at spine and joint hospital)

  • 박영아;이정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2호
    • /
    • pp.307-314
    • /
    • 2021
  • 본 연구는 척추·관절질환 환자 만족도와 병원 추천 의향을 분석하고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에 2019년 서울지역 소재 척추·관절 전문병원에서 환자 만족도와 추천 의향을 조사하였고, 인구·사회적 특성과 환자 만족도와의 관련성, 만족도 영향요인 및 추천 의향 등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외래의 경우 직원 용모·복장의 단정함과 청결도, 직원 친절도, 시설환경 쾌적성에서 환자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고, 대기시간 관련 문항에서 환자 만족도가 낮게 나타났다. 입원의 경우 간호 영역과 병원환경 영역에서 여성의 만족도가 높았다. 하위 영역별로는 간호 영역 중 고객 존중 및 예의, 고객 경청, 담당 간호사에서 환자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고, 병원환경 영역은 전반적인 병원 청결도와 안전 문항에서 만족도가 높았다. 환자 만족도와 주변에 해당 병원을 추천할 의향이 있는지를 묻는 문항 간 상관관계 분석에서는 환자 만족도와 병원 추천 의향은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척추·관절 질환 환자 만족도와 추천 의향 평가 결과는 척추·관절 전문병원에서 의료서비스 질 향상과 병원경영 전략 수립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간호사만족이 병원성과에 미치는 영향 -환자만족과 재방문의향, 타인추천의향 중심으로- (The Effects of Nurses' Satisfaction on Hospital Performance -Focused on the Patient Satisfaction and Revisit Intention, Recommendation Intention-)

  • 한주랑;안성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9호
    • /
    • pp.419-430
    • /
    • 2015
  • 본 연구는 이론적 고찰을 기초로 하여 대학병원의 간호사만족도, 간호사에 대한 환자만족도, 병원에 대한 환자만족도, 환자의 병원재방문의향 및 타인추천의향 간의 가설적 구조모형을 구축하고, 모형의 적합성과 경로의 유의성을 확인하였다. 연구대상은 5개 대학병원의 간호사 2,079명과 해당 병원의 의료서비스를 받은 6,776명의 환자이다. 연구결과 가설적 모형은 전체적인 적합지수를 고려하였을 때 적합한 모형으로 판단되었으며, 간호사의 만족도가 환자의 간호사에 대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환자의 간호사에 대한 만족도가 환자의 병원에 대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환자의 병원에 대한 만족도가 병원재이용의향과 타인추천의향 미치는 영향 등의 4개 경로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병원의 경영자와 관리자들이 간호사 만족도를 병원성과의 주요 요소로 포함하여 고객만족전략을 실천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입원경험이 환자의 만족도와 병원추천의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inpatients' Experience on Patients' Satisfaction and Willingness to Recommend Hospital)

  • 조명선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2호
    • /
    • pp.299-305
    • /
    • 2021
  • 본 연구는 입원환자의 만족도과 병원추천의향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연구하기 위해 '2018년 의료서비스경험조사' 원시자료중 입원의 경험이 있는 593명의 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환자의 입원 경험은 의사 요인, 간호사 요인, 시설 및 행정, 보건의료제도의 4개 요인으로 분류되었다. 의사 요인, 간호사 요인, 시설 및 행정 요인, 보건의료제도 요인은 성별, 연령, 교육수준 등의 인구사회학적 요인과 건강관련 요인을 통제한 다중회귀분석에서, 입원환자의 만족도와 병원추천의향에 각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입원환자의 만족도를 제고하기 위해 의사, 간호사 등 의료진과 병원의 시설 및 행정지원 서비스가 총체적으로 환자중심적인 태도와 방향으로 개선하는 노력 외에도 보건의료제도에 대한 신뢰와 만족을 제고하기 위한 다각적인 방안이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공공병원 간호직의 직무만족도가 환자 만족도, 재이용 의향, 타인 추천의향에 미치는 영향간의 구조모형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on the Relationship of Job Satisfaction of Nursing Staff with Satisfaction, Revisit Intention, Recommendation to others of Patient at Public Hospitals)

  • 문숙자;황은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173-184
    • /
    • 2018
  • 이 연구의 목적은 39개 공공병원 간호직을 대상으로 하여 직무자체 만족, 의사소통 만족, 평가와 보상체계 만족, 근무환경 만족, 공공병원 역할수행 만족이 환자들의 만족도, 재이용 의향, 타인추천의향 간의 구조적 인과관계를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통해 확인하기 위함이다. 이 연구의 자료는 '2012년 지역거점공공병원 운영평가'를 통해 수집된 2차 자료를 활용하였다. 이 연구의 대상자는 39개 지역거점공공병원의 간호직 2,375명과 환자 3,433명이었다. 간호직의 직무만족도 조사도구는 5개 요인과 13개 항목으로 구성되었다. 환자의 만족도, 재이용의향, 타인추천의향 설문도구는 각 1개 항목, 11점 척도(0점 매우 부정적, 10점 매우 긍정적)로 구성되었다. 이 연구의 자료분석은 SPSS 20버전과 AMOS 20버전을 활용하였다. 모형의 적합도 지수는 입원환자의 경우 ${\chi}^2$ 904.598 (df=81, p<0.001), GFI 0.938, AGFI 0.900, RMSR 0.076의 값을 갖고, 외래환자의 경우 ${\chi}^2$ 869.021(df=81, p<0.001), GFI 0.940, AGFI 0.900, RMSR 0.074값을 가진 권장기준 내 적합한 최적 모형을 도출하였다. 간호직은 공공병원에서 가장 큰 의료인 집단이면서 환자에게 직접 간호를 제공한다. 따라서 간호직의 직무만족도는 환자만족도에 지대한 영향을 끼침으로 환자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간호직의 직무만족도는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일개 종합병원의 외래환자 만족도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nfluence to Satisfaction of Outpatients in a General Hospital)

  • 김영종;김광환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12년도 춘계학술논문집 1부
    • /
    • pp.17-18
    • /
    • 2012
  • 본 연구는 병원을 이용하는 외래환자들의 불만족요인과 만족요인들을 조사하여 보다 높은 고객만족 경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대전에 소재하는 일개의 종합병원 외래환자를 대상으로 2011년 10월 24일 1일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 수집은 총 16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144부를 통계분석자료로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행정지원부문의 특성 중 전반적 만족도와 타인추천 의향에 대하여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접수 수납 절차의 신속 간편성인 편리성으로 나타났으며 검사실 외래 진료대기실의 쾌적성도 공통으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결과 고객을 만족시킬 수 있는 고객지향적 병원경영시스템을 구축 운영한다면 병원의 경쟁력은 향상되고 병원의 지속가능성은 높아질 것이며 고객만족경영이라는 경영목표도 달성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 PDF

전문병원 입원환자의 환자경험 및 추천의향 (Patient experience and recommendation intention at specialty hospitals)

  • 김지은;함명일;이경아
    • 한국병원경영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21-31
    • /
    • 2023
  • Purposes: Patient experience is a tool to evaluate the process and results of medical services provided by medical institutions from the patient's point of view. Patient satisfaction surveys are a meaningful and essential source of information for improving quality in healthcare organizations. This study aims to provide basic data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medical service that patients can feel by analyzing the recommendation intention and satisfaction of inpatients in specialty hospitals. Methodolog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879 inpatients in 28 specialty hospitals in 14 designated fields. We conducted a telephone survey with a structured questionnaire on the satisfaction and recommendation intention for specialty hospitals. Findings: In inpatients, hospital satisfaction was higher in nursing care services and hospital satisfaction was low in physicians care services. The overall patient satisfaction score was 91.4(SD=11.9) out of 100, and the intention of recommendation was 92.0(SD=14.1) out of 100. The factors affecting patient experience were designated fields, sex, age, residential area, monthly household income, and perceived health status. Practical Implications: This study confirmed the high level of patient satisfaction and recommendation intention among inpatients of specialty hospitals. Patient satisfaction can be of great value to healthcare providers in recognizing and improving the quality of care, as well as predicting patients' willingness to revisit medical institutions. This study can be used to improve the quality of hospital care services in specialty hospitals rather than general and tertiary general hospitals.

  • PDF

지역주민이 인지하는 공공병원 의료의 질, 이미지, 역할수행, 만족도, (재)이용 의향, 타인추천 의향 구조모형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for Public Hospital Quality of Care, Image, Role Performance, Satisfaction, Intent to (Re)visit, and Intent to Recommend Hospital as Perceived by Community Residents)

  • 황은정;심인옥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118-127
    • /
    • 2016
  • Purpose: The study purposes were to construct and test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on the causal relationship of community residents' perceived quality of care, image, and role performance with satisfaction, intention to (re)visit and intention to recommend hospital. Methods: A cross-sectional survey was conducted with 3,900 community residents from 39 district public hospitals. The questionnaire was designed to collected information on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community awareness of public hospitals. Community awareness consisted of 6 factors and 18 items. The data were collected utilizing call-interview by a survey company. Research data were collected via questionnaires and analyzed using SPSS version 20.0 and AMOS version 20.0. Results: Model fit indices for the hypothetical model were suitable for the recommended level: ${\chi}^2=796.40$ (df=79, p<.001), GFI=.93, AGFI=.90, RMSR=.08, NFI=.94. Quality of care, image, and role performance explained 68.1% of variance in community awareness. Total effect of quality of care process factors on satisfaction (path coefficients=3.67), intention to (re)visit (path coefficients=2.67) and intention to recommend hospital (coefficients=2.45) were higher than other factors. Conclusion: Findings show that public hospitals have to make an effort to improve community image through the provision of quality care, and excellent role performance. Support for these activities is available from both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일개 종합병원 고객관리 모형구축에 관한 연구 (Study on customer management analysis model for one General Hospital)

  • 김영종;김광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9호
    • /
    • pp.4082-4089
    • /
    • 2012
  • 본 연구는 병원을 이용하는 외래환자들의 불만족요인과 만족요인들을 조사하여 보다 높은 고객만족경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대전에 소재하는 일개의 종합병원 외래환자를 대상으로 2011년 10월 24일 1일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 수집은 총 16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144부를 통계분석자료로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행정지원부문의 특성 중 전반적 만족도와 타인추천 의향에 대하여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접수 수납 절차의 신속 간편성인 편리성으로 나타났으며 검사실 외래 진료대기실의 쾌적성도 공통으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결과 고객을 만족시킬 수 있는 고객지향적 병원경영시스템을 구축 운영한다면 병원의 경쟁력은 향상되고 병원의 지속가능성은 높아질 것이며 고객만족경영이라는 경영목표도 달성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보호자 없는 병원 제도화 방안 (Institutionalization of a Patient-Sitter Program in Acute Care Hospitals)

  • 유선주;최윤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6호
    • /
    • pp.370-379
    • /
    • 2013
  • 본 연구는 환자 및 보호자의 간병부담을 해결하기 위하여 보건복지부에서 수행한 보호자 없는 병원 시범사업에 대한 도입배경, 운영방법, 실시성과, 제한점 등에 대한 사례를 검토하고, 이를 토대로 향후 보호자 없는 병원의 제도 도입 필요성, 운영방법 등 제도화 방안을 도출하고자 수행되었다. 보건복지부 시범사업은 2007년 보호자 없는 병원 시범사업과 2010년 간병제도화 시범사업, 두 차례에 걸쳐 실시되었다. 2007년 시범사업의 결과를 살펴보면, 환자보호자의 간호간병서비스에 대한 만족도는 9.1점(10점 만점)으로 높았고, 재이용 의사 97.8%, 추천의사 98.0%로 높았다. 2007년 시범사업에서 도출된 적정 간호인력(안)은 간호사 1인당 2.3인, 간호보조인력 1인당 4.0인으로 나타났다. 2010년 시범사업 결과는 환자보호자 만족도는 8.0-9.1점(10점 만점)으로 높았고, 재이용, 추천 의향도 높았다. 그러나 2007년 시범사업에 비해 의료기관 유형 및 간호인력 배치 수준이 다양한 점 등 제한적인 측면이 있었다. 결론적으로 보호자 없는 병원을 제도화하기 위해서는 적정 간호인력 배치기준 설정, 간호서비스 제공인력 구성 및 업무 표준화, 간호인력 확보를 위한 재원 마련 및 간호요구도 평가, 질 관리 모니터링 등을 위한 정책 개발이 필요하다.

병원 외래 방문 환자의 만족도 평가 및 관련 요인에 대한 연구 - 한 3차 병원 방문 환자를 중심으로 - (Measurement of Ambulatory Patients' Satisfaction and Its Influencing Factors in a Tertiary Hospital)

  • 이상일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27권2호
    • /
    • pp.366-376
    • /
    • 1994
  • 환자 만족도의 증진은 의료 제공의 궁극적인 목적의 하나이며, 의료의 질적 수준 향상을 위해서는 환자의 만족도 평가가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판자의 만족도를 타당도와 신뢰도가 높은 도구를 이용하여 측정하고, 환자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는 우리 나라 실정에 적합한 표준화된 설문서의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환자의 만족도를 평가하는 설문지를 개발하고 한 3차 병원 외래를 방문한 827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이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평가하였으며, 환자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였다. 외래 방문 환자가 질을 평가하는 차원은 인자 분석을 통하여 병원 환경 및 편의 시설에 관련된 요인, 원무관리 및 보조 서비스에 관련된 요인과 의사진료에 관련된 요인으로 분류되었으며, 이 3개의 병원내 과정에 대한 척도들은 비교적 높은 신뢰도와 타당도를 나타내고 있었다. 전반적인 진료 결과를 나타내는 3개 문항은 신뢰도가 낮아, 서로 다른 별도 차원의 개념임을 의미하고 있었다.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전반적인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최근의 건강 상태, 진료비에 대한 인식과 진료에 따른 건강상태의 변화였고, 타인에게 병원을 추천할 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환자의 성, 초 재진 여부, 진료에 따른 건강상태의 호전에 대한 기대, 진료비에 대한 인식과 진료에 따른 건강상태의 변화였다. 앞으로의 환자 만족도에 대한 연구에서는 이 연구 결과를 참고로 하여 조사 대상의 확대, 포괄적인 설문 문항의 개발, 조사 방법의 보완 등이 필요할 것이다. 이 연구에 사용된 설문지의 입수를 원하시는 분은 저자에게 개인적으로 연락하여 주시면, 설문지를 보내드리겠습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