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병원 종사자

검색결과 306건 처리시간 0.025초

병원 종사자의 성 역할 정체감과 성 고정관념이 남자간호사에 대한 편견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he Gender Role Identity and Gender Stereotypes on the Prejudice Against Male Nurses of Hospital Workers)

  • 최주희;장철훈;김성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12호
    • /
    • pp.75-91
    • /
    • 2018
  • 여성이 대다수인 간호전문직에 남자간호사가 점차 증가하고 있으나, 그들은 성 고정관념에 따른 사회적 장벽에 부딪히며, 부서배치 등에서 차별을 경험하고 있었다. 본 연구는 병원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성 역할 정체감과 성 고정관념이 남자간호사에 대한 편견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연구 결과 양성성 집단은 성 고정관념과 남자간호사에 대한 편견이 다른 집단에 비해 낮았으며, 병원종사자들은 남자 간호사들이 일반인들에게 낯설고 생소하며, 응급실, 중환자실, 수술실 같은 병원의 특수 부서에서 주로 일할 것이라는 편견을 가지고 있었고, 성 고정관념은 남자간호사에 대한 편견에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따라서 의료기관은 남자간호사에 대한 편견을 해소하기 위해 양성 평등적인 조직문화를 구축하기 위한 계획을 수립하여 성 고정관념을 탈피하기 위해 노력하고, 간호조직 내에서 남성과 여성이 동등한 기회를 부여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노인 요양병원 종사자들의 노인 성행동 경험 (The experience of Long term Care Hospital Workers on Sexual Behaviors of the Elderly)

  • 조한아;성경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1호
    • /
    • pp.317-326
    • /
    • 2022
  • 본 연구는 노인요양병원 종사자를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여 노인 성행동에 대한 경험을 확인하기 위한 탐색적 연구이다. 자료수집은 2019년 8월부터 10월까지 실시되었다. 심층면담은 반구조화된 질문지로 실시하였다. 참여자로부터 수집된 면담 자료는 질적 주제분석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노인요양병원 종사자가 경험하는 노인의 성행동은 의미있는 진술로부터 10개의 하위주제가 도출되었고 이들은 4개의 주제로 범주화되어 각각 '노인의 성행동에 부정적 감정 생김', '노인 성행동에 대한 돌봄 부재를 깨달음', '돌봄의 역할 유지가 어려움', '성행동에 대해 치료적인 역할 수용'으로 명명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노인요양병원 종사자를 대상으로 노인의 성행동을 이해하도록 돕는 교육프로그램개발의 기초자료가 될 수 있다.

병원근로자들의 역할인식과 직무만족과의 관련성 (Relevance of role perceptions and job satisfaction of Hospital workers)

  • 박부연;신지훈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7권5호
    • /
    • pp.1197-1203
    • /
    • 2012
  • 이연구의 목적은 의료인을 제외한 병원종사자들의 역할인식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시행되었다. 연구대상은 486명의 의료지원 부서를 대상으로 하였다. 다중회귀분석 결과 정책결정이 직무만족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비의료직 종사자들의 직무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병원관리자들이 그들의 역할인식 정도를 높이기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다. 이연구의 한계점은 직무만족을 세부적으로 측정하지 않아서 직무만족에 더 중요하게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보여주지 못했다.

지역 종합병원 종사자의 조직신뢰 문화에 대한 인식이 조직신뢰 활동에 미치는 영향 (Perception of Organizational Trust Culture of Regional General Hospital Employees and its Effect on Organizational Trust Activities)

  • 정상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2호
    • /
    • pp.455-465
    • /
    • 2015
  • 본 연구는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직원들의 조직문화인식이 조직신뢰 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병원조직 관리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은 G시에 소재한 5개 종합병원 종사자 437명을 대상으로 무기명 자기입식 설문지 조사법을 사용하여 t-검정과 분산분석, 피어슨 상관분석, 다중회귀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조직신뢰 문화에 대한 인식에서는 성별, 나이, 학력, 소득수준에서 차이를 보였고, 조직 신뢰 문화 인식과 조직신뢰 활동은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조직신뢰 활동에 미치는 요인으로는 배려성과 사회적 책임, 도덕성, 역량등이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연구를 바탕으로 병원조직 차원에서 조직신뢰 문화를 향상하기 위해 병원조직 차원에서 정책적, 제도적으로 지원함으로써 병원종사자들이 인식하는 조직신뢰가 향상될 것으로 생각된다.

의료기관 종사자의 병원감염관리에 대한 인지도와 수행도 (The Awareness and Performances of Medical staffs on the Infection Control in Health Care Facilities)

  • 서민정;박은태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131-138
    • /
    • 2017
  • 본 연구는 부산광역시 소재의 11개 병원에 근무하는 의료기관 종사자를 대상으로 병원감염관리 인지도와 수행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병원 내 감염관리부서, 감염관리 지침서, 감염관리 교육의 유무에 관계없이 인지도, 수행도의 척도가 높게 나타났다. 특히, 감염교육을 받은 적이 있는 집단의 인지도, 수행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p<0.001). 감염관리에 대한 수행을 실천하지 못하는 주된 원인은 업무과다와 시간부족으로 나타났으며, 99.7%의 응답자가 감염관리 교육이 필요하다고 답하여 사회 전반적으로 병원감염에 대한 경각심이 커진 것으로 판단된다. 전체적으로 인지도에 비해 수행도가 낮게 분석되었으며, 병원감염을 낮추기 위해서는 실현가능한 제도의 개선과 종사자 개인의 적극적인 수행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종합병원 의료종사자의 병원감염관리 인지도 및 실천도 연구 (A Study on the Awareness and Practice of Hospital Infection Control among Medical Workers in General Hospitals)

  • 강연희;구재흥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5권3호
    • /
    • pp.361-370
    • /
    • 2021
  • 본 연구는 부산 시내에 있는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병원감염관리에 대한 인지도 및 실천도에 대해 파악하여 병원감염관리 방안 및 교육 등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이를 분석하였다. 일반적인 변수의 차이를 보기 위한 t-test 및 일원분산분석(one way ANOVA)을 실시한 결과 대체적으로 개인 위생관리에 대한 인지도와 실천도가 낮게 나타났고, 장비 위생관리의 인지도와 실천도는 높게 나타났다. 남성의 개인위생관리를 제외한 전 영역에서 인지도가 실천도보다 높게 나타나 병염감염관리의 인지도에 비해 실천도는 부족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Pearson 상관분석을 통한 결과로는 감염관리에 관한 인지도가 높은 사람이 실천도도 높은 결과를 나타내 병원 종사자들의 감염관리에 대한 인지도를 높이는 것이 병원감염예방에 효과적인 것으로 생각되었다. 따라서 병원감염관리에 대하여 지속적인 교육으로 종사자들의 감염관리에 대한 인지도를 상승시키고, 이를 실천하기 위한 병원 종사자들의 노력도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요양병원 종사자의 메르스에 대한 지식, 태도 및 감염예방행위 관계 (Knowledge, Attitudes and Compliance Regarding Infection Preventive Behaviors for MERS among Staff in Long-term Care Hospitals)

  • 장수정;박진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6호
    • /
    • pp.334-344
    • /
    • 2018
  • 본 연구는 메르스 대유행시 요양병원 종사자의 메르스에 대한 지식, 태도 및 감염예방행위 실천도와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자는 J도 소재 요양병원 종사자 211명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였으며, 자료수집기간은 2015년 6월 15일부터 7월 15일까지였다. 자료 분석은 SPSS/WIN 24.0을 이용하여 independent t-test, ANOVA, Welch test로 분석하였고, 사후 검정은 scheff test, Grames-hawell test 방법으로 시행하였다. 요양병원 종사자의 메르스에 대한 지식점수는 간호사와 간호조무사, 감염관리 교육경험이 있는 경우, 지난 해 인플루엔자 예방접종을 한 경우, 손소독제 사용이 용이한 경우에 높았으며, 메르스에 대한 태도는 간호사가 간호조무사와 간병인보다 긍정적이었다. 메르스 감염예방행위 실천도는 일상생활에서는 지난 해 인플루엔자 예방접종을 한 경우, 환자 간호 시에는 지난 해 인플루엔자 예방접종을 한 경우, 손소독제 사용이 용이한 경우에 높았다. 요양병원 종사자의 메르스에 관한 지식, 태도 및 감염예방행위 실천도와의 관계는 지식이 높고, 태도가 긍정적일수록 감염예방행위 실천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에 메르스와 같은 신종감염병이 유행할 때, 요양병원에서는 메르스 질병 특성 및 전파, 예방법이 포함된 감염관리 교육을 실시해 메르스에 대한 지식수준을 높이고, 태도를 긍정적으로 유도하여, 감염예방행위 실천도를 향상시킬 필요가 있을 것이다.

재활병원 종사자들의 스포츠 참여 활동과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The Effects of Participation in Sporting Activities on Job Satisfaction in Rehabilitation Hospital Workers)

  • 문경민;이현수
    • 재활복지
    • /
    • 제22권4호
    • /
    • pp.59-81
    • /
    • 2018
  • 본 연구는 재활병원에 종사하는 종사자를 대상으로 직무만족도 분석을 하여 스포츠 활동의 참여가 직무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2015년 4월부터 5월까지 8개의 부산광역시 재활병원소속 간호사, 간호조무사, 물리치료사, 작업치료사, 행정직으로 종사자를 선정 후, 40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으로 t-검정,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 탐색적 요인분석(exploratory factor analysis)과 Cronbach's ${\alpha}$분석, 일원배치 분산분석(one-way ANOVA), 사후검증(Duncan)을 실시하였고, 상관관계(correlation analysis)와 회귀분석(regression analysis)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스포츠 활동 참여 형태에 따른 직무만족도 차이 검정 결과 운동시간, 운동빈도, 운동종목 그리고 운동기간 등 모든 요소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운동시간과 운동빈도가 많고 운동경력이 높을수록, 운동종목의 경우 아쿠아로빅과 에어로빅 종목을 참여하였을 때 직무만족도가 높아진 것으로 분석되었고, 회귀분석 결과에서는 직무만족도 하위 5개 요인 중 자기평가성, 이직성향, 직무몰입 그리고 직무만족에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참여빈도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참여빈도에서는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스포츠 활동참여가 재활병원 종사자들의 직무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본 연구를 종합적으로 분석해 볼 때, 재활병원 내 직원 구성원들의 스포츠 동호회 활동과 체육시설 설치 그리고 운동시간에 대한 할애 등 지원을 통해 업무능률 향상과 활기찬 직장 분위기를 만들 수 있으므로 적극적으로 스포츠 활동을 장려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